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방가르드 인종 코미디: 영진 리의 『용비어천가』

        이정화(Jeonghwa Lee) 한국영미어문학회 2013 영미어문학 Vol.- No.106

        The current cross-national, cross racial, and cross cultural environment influences today’s new subjectivity formations. Such newly-created transnational subjects are even difficult to be classified as Asian American, as racial or national borders fall apart.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work of Asian American woman playwright Young Jean Lee’s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employs frames of both stand-up and sketch comedies and exaggerates the representation of stereotypes against Korean Americans, Koreans, and white male Americans. Laughs generated by Bertolt Brecht’s “alienation effect” and conceptualized with a Sianne Ngai’s litery term, “ugly feeling” constantly lead the cosmopolitan audience to engage with the issues of race, gender, and ethnicity. The main plots of the play are two; one is the Artaud-like theater of cruelty where Korean women and a Korean-American woman show macho behaviors and another is the Brechtian epic theater where a white couple continues to find the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 The two different plots do not interfere with each plot, but show all the characters try to expose their inner selves to the world and to stand up to a lot of suppression of minorities and of feminity they have experienced so far. Thus, a Young Jean Lee’s new version of racial comedy presents one stage where Koreans, Korean Americans, and white Americans can stand free as transnational.

      •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내 블록체인 적용에 관한 조사

        이정화(Lee Jeonghwa),Demeke Shumeye Lakew,하태윤(Ha Taeyun),조성래(Cho Sungra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을 적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 대해 조사하였다. 블록체인의 정의와 에너지 시스템 내 블록체인 도입의 긍정적 효과 및 필요성에 대해 제시한다. 또한 탈중앙화, 확장성, 불변성 등의 이점과 실제 스마트 그리드 내 다양한 시나리오에서의 블록체인 적용 사례를 설명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비생산적 논변에서 생산적 논변으로의 실행 변화 탐색 -인식론적 자원과 맥락을 중심으로-

        이정화 ( Jeonghwa Lee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 논변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비생산적, 생산적 논변 실행에서 각각 어떠한 인식론적 자원들을 활성화시키는지 탐색하고, 논변 실행 변화에 어떤 맥락이 기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논변 활동에 참여한 소집단 학생들의 수업 실행과 면담을 녹화 및 녹음하여 전사했으며, 학생 활동지와 연구자의 필드노트를 수집하여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점 집단은 비생산적 실행에서 전파, 신뢰, 축적 자원을 활성화시키다가 생산적 실행에서 구성, 이해, 축적, 형성, 반박 자원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론적 자원 변화에 따른 실행 변화에 기여한 맥락은 친숙하지 않은 형태의 논변 과제가 제공된 것과 더불어 소집단 내 인식적 권위자의 정서적, 인식적, 개념적 지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맥락 의존적인 인식론에 따른 실행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들에 추가적인 사례 연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추후 학생들의 진정한 과학 참여를 위해 생산적인 인식론의 형성 및 안정화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at kind of epistemological resources were activated in unproductive and productive practice by students participating in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to explore which contexts result in changes in argumentative practice. We collected transcriptions of participants’ argumentative lessons and interview, participants’ work sheet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cus group activated different kinds of epistemological resources depending on their practice; propagated, belief, and accumulation in unproductive practice and constructed, understanding, accumulation, formation and rebuttal in productive practice. We found two contextual cues that led to these changes; unfamiliar form of argumentative task was provided and emotional, epistemic, and conceptual support of the epistemic authority. This work can be provided as additional case studies to analyze changes in practice according to learner context-dependent epistemology, and we expect to contribute to discussions of productive epistemology and stabilization for students’ authentic science engagement.

      • KCI등재

        사회적 배제가 농촌 단독가구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이정화 ( Lee Jeonghwa ),오영은 ( Oh Young Eu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9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3 No.4

        Objectives: Korea can be considered to be an aged society and discussions concern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re actively under way. Despite this, Korea has not been stripped of the stigma of having one of the highest OECD suicide rates for the past 10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various types of exclus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in rural areas, including economic, health, housing, education, relationship, social and community exclusion. It also examines the effects these factors have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Methods: For this study, data was gathered from 248 participants aged 60 and over by means of face to face interviews conducted with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elderly women show higher health exclusion, educational exclusion and basic service exclusion than elderly men. Examining the effect that the social exclusion of rural elderly has on suicidal ideation, it can be seen that community exclusion, cultural exclusion and gender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of the rural elderly. And it is actually required to develop the special social services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for the rural elderly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농촌 초고령 노인의 거주유형과 삶에 관한 질적 연구

        이정화(Jeonghwa Lee),오영은(Young Eun Oh),이보람(Boram Lee)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3

        본 연구는 농촌 초고령 노인의 거주유형에 따른 가족 및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들의 삶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구례ㆍ곡성ㆍ순창ㆍ담양에 거주하는 100세 이상의 전체노인과 면접에 동의한 95세 이상 노인 및 그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가지고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및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을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1년 백세인 연구결과와 거주유형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가족동거 비율이 감소한 반면 독거가 증가했고 요양시설 거주가 새롭게 등장하여 초고령 노인 거주유형의 급속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거주유형별 초고령 노인의 삶을 살펴보았다. 가족동거 초고령 노인의 동거과정은 지속적으로 동거, 고향으로 돌아온 자녀, 자녀 곁으로 돌아온 엄마라는 세 가지 의미단위로 구분, 분석하였다. 초고령 노인 자녀 부양자는 자신이 더 아파도 병원 한번 제대로 가지 못하는 현실, 초고령 노인을 모시는 자부심과 부담감의 양가감정, 어른대접을 받지 못하는 현실로 의미단위를 나누고 해석하였다. 독거노인의 삶에서는 독거노인의 혼자살기의 모습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가족과 지역사회의 역할을 조명하였다. 특히 남성독거 백세인의 등장이 새로운 변화로 부각되었고 농촌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마을회관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시설거주 초고령 노인에 대해서는 시설입소과정과 적응, 시설거주 노인과 가족, 지역사회라는 상위주제로 낯선 요양시설에 거주하게 되면서 우울과 부적응을 겪기도 했지만, 정기적으로 찾아오는 자녀들과 지역사회 참여로 인해 고립되지 않는 삶의 모습을 조명하였다. 초고령 노인 돌봄이 가족에서 제도 및 지역사회로 이동하고 있으나 가족은 여전이 초고령 노인의 삶을 지탱해주는 버팀목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초고령 노인의 거주유형별로 가족과 지역사회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그리고 초고령 노인에 대한 복지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eaning of family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life of centenarians and semi-centenarians. This study explores the living arrangements, family relations and interactions with communities of Korean centenarians. Data is gathered from centenarians and their care-give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with a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 in Gurye, Gokseong, Sunchang and Damyang counties. The responses were transcribed verbatim for analysis and to elicit some emerging themes from the interviews. As a results, the living arrangements of centenarians are as follows: ‘live with family’ 51%, ‘live alone’ 32%, ‘live in care facilities’ 17%. About half of centenarians live with adult children while the rest live apart from family members. Themes from the result related to the life changes of centenarians and their family life were elicited in three categories based on living arrangement. It shows changes in the norm of the eldest son s support. Siblings take turns caring for the elderly.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physically healthier and more cognitive than other types. The elderly living in nursing home were not isolated because their children were visiting. The family structures and family interactions of the oldest old in Korea have dramatically changed. Despite changes in the norm in terms of caring for older parents and the increase in family dissolution of adult children, 83% of the oldest old still live in their communities. These days, family caregiving is shifting more and more to community. Therefore, the systematic cooperation between families and communitie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Such cooperation also makes it possible for the oldest-old to live in their community for a longer time. On the basis of this study,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IPA 기법으로 들여다본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정화(Lee Jeonghwa),유혜린(Yu Hyery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이란 교사와 유아가 교육 현장에서 서로 관계를 맺고 영향을 주고받는 모든 과정과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영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얻는 양질의 경험들은 대부분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은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매우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PA 기법을 이용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는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더 나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실제를 도모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실제적 방향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의 만 3~5세 담임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이정숙(2003)이 개발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7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IP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척도의 30개 문항 중 13개 문항이 1사분면에 위치하여 지속유지 문항으로 나타났고, 7개 문항이 2사분면에 위치하여 집중개선 문항, 또 다른 7개 문항이 3사분면에 위치하여 점진개선 문항, 나머지 3개 문항이 4사분면에 위치하여 과잉지향 문항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정리하였고, 특히 집중개선이 필요한 문항과 점진개선이 필요한 문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이들의 인식과 실행 정도를 확인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점검하여 향후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eacher-child interaction can be said to be all processes and methods in which teachers and children related and influence each other in educational settings. Since most of the high-quality experiences the children get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re achieved through teacher-child interaction, it can be seen that teacher-child interaction is an essential variable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IPA technique.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expected to provide specific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w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a perception surve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developed by Jeong-sook Lee(2003) was conducted on 455 teachers working for 3-5 years 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IPA method using SPSS v. 27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30 item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scale, 13 items wer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and were found to be continuous maintenance items, 7 items were located in the second quadrant and were identified as intensive improvement items. Another 7 items were located in the third quadrant and were interpreted as gradual improvement items. The remaining 3 items were located in the fourth quadrant and were observed as over-oriented items. We especially discussed the items requiring intensive and gradual improvement and suggest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two kinds of items.

      • KCI등재후보

        일본 중소기업 사업조정제도의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이정화 ( Jeonghwa Lee ),이면헌 ( Myunhyn Lee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8 중소기업정책연구 Vol.3 No.3

        현재 우리나라 중소기업 사업영역 보호를 위한 제도로는 적합 업종제도와 사업조정제도가 있다. 그간 사업조정제도는 유통업 및 제조업 등 다양한 업종에서 대ㆍ중소기업간 갈등해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으나, 최근의 사업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사업조정제도 관련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은 일본 사업조정법과 외형상 유사한 점이 없지 않다. 그러나 구체적 법조항의 내용과 법집행의 실태는 일본법과 매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탐색적 연구를 통해 일본의 사업조정법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 사업조정제도와의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사업조정제도에 대한 네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방자치단체 사업조정심의회 활성화, 둘째, 사업조정제도의 목표를 시장연착륙을 위한 제도설계로의 전환, 셋째, 사업조정제도를 통한 사업안정화로서의 정책기능 강화, 마지막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관계로의 전환 등이다 Until now the business adjustment system has played a key role in resolving conflicts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However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find new directions in response to recent business environment changes. The Japanese system is a good example of research in business adjustment sector. Comparing business adjustment system of Korea to that of Japan, they are similar, but different from the actual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Korean system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rom the comparison with Japanese system in business adjustment system through an exploratory study. Through this study, four policy implications for the business adjustment system in Korea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local governments, business coordination councils. Second, the goal of business adjustment system should be shifted for soft landing in market. Third, the policy function should be strengthened as business stabilization through business adjustment system. Fourth, it is needed to be pursued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large corporations and SME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운영기술척도의 타당화

        이정화(Lee Jeonghwa),전희정(Chun Heej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구성주의 인식론은 새로운 지식의 구성 및 창출을 추구함으로써 지식의 양과 질이 급속하게 변화되어가고 있는 현대 사회의 흐름에 보다 부합되는 교육 기저로 수용되고 있다. 이에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학습 환경 관리를 지원해줄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원의 한 방편으로 객관적인 평가 도구를 제안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개발, 검증된 구성주의 학습환경운영기술 척도의 한국어 버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척도의 원 개발자에게 한국판 척도개발에 대한 승인을 구했고 번역을 거쳐 척도의 한국어 버전을 마련하였다. 이를 경상도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배부하여 최종적으로 255 명의 교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pss 22.0 및 Mplus 8.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요인 부하량이 .40 이상인 18 개 항목으로 구성된 4 개 요인 모형을 추출하였다. 각 요인을 ‘소통과 협력적 상호작용’, ‘사고기능발달 지원’, ‘지적관계구성’, ‘교수학습방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 모형은 적합한 양호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 운영기술 척도는 CLES2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여 양호한 수렴 타당성을 보였다. 넷째, 척도의 내적 일관성 계수는 .93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 운영기술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양호한 척도라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Constructivism is being accepted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base which is more consistent with the current modern society comparing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education. It s because the constructive approach to education emphasiz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on of new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for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management skills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broad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Upon the approval from the original developer followed by transl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5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youngsan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Mplus 8.1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em analysis affirmed that each item was consistent with the entire scale and the distinctive powers of the items were at an acceptable level. Secon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 four-factored structure composed of 18 items, which have factor load values of .40 and above was finalized. Thir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indicated that the fit indexes had values significantly above acceptable values, which confirmed the 4-factored structure. Fourth,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scale, which showed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scale and CLES2, was good. Fifth, the scale’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hich was .94, indicated high reliability.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ncluded that this scale is an appropriate instrument to evaluate teachers’ management skills withi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