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읽기수준을 보이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UDL 원리를 적용한 디지털북 개발 연구

        이정은(Lee, Juengeun)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읽기수준을 보이는 중등기 발달장애학생들이 자신의 능력과 특성에 맞게 독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원리를 적용한 디지털북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기획, 개발, 평가로 이루어진 다음과 같은 3단계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첫째, 디지털북 기획 단계에서는 디지털북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디지털북 개발과 관련된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 적용 선행연구결과 분석, 디지털북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행연구결과 분석 등을 통해 개발의 세부안을 기획하였다. 둘째, 디지털북 개발 단계에서는 프로그래머와 협력하여 디지털북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프로토타입에 대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한 후 검토안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북을 개발하였다. 셋째, 평가 단계에서는 특수교육전문가와 도서전문가로 이루어진 25명의 평가진을 구성하여 사용성 평가를 하였고, 현장적용 검토를 위해 평가진 중 교사들을 통해 다양한 읽기수준을 가진 중·고등학생 30명의 디지털북 독서 활동을 관찰하고 독서 활동 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UDL 원리를 적용한 디지털북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위해 제언하고 이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gital Book using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so that teena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exhibit diverse literacy levels can participate in reading activities per their skills and interes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art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First, in designing the study, an analysis of demand for Digital Books and literature reviews of research into Digital Book user interfaces and application of UDL principles were conducted. Secon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study, a prototype of the Digital Book was conceiv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a programmer. The prototype was reviewed by an expert consultant and revised to develop the final Digital Book. Third, in the evaluation stage, an advisory group of 25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or reading specialists evaluated the user experience. In reviewing the field application, the Book was distributed to 30 student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in the advisory group. The students were observed for their reading activity and interviewed afterwards.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determined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developing UDL-based Digital Books are proposed.

      • KCI등재

        특수학교 자유학기의 교육과정 현황 및 실행전략 분석

        이정은(Lee, Juengeun),손지영(Son, Jiyo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3

        연구목적: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계획과 운영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그리고 학생평가 등에 적용된 다양한 실행전략을 분석하여 2018년 전면적으로 시행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적절한 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6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로 참여하였던 14개 특수학교에서 작성한 각종 자유학기 운영 계획서 및 결과 보고서 등의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연구문제에 따라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개발하였다. 또한 조사항목에 따른 자료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14개 연구학교에서는 첫째, 교육과정 편성을 위해 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감축하여 자유학기 활동시간을 배정하였다. 둘째, 교과는 자유학기 취지에 맞게 활동중심 및 주제융합 수업이 주로 이루어졌고 자유학기 활동과 연계되어 진행되었다. 셋째, 자유학기 활동은 외부강사와의 협력교수 및 지역사회유관기관을 많이 활용하였다. 넷째, 학생성장기록 및 포트폴리오가 주로 학생평가를 위해 사용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운영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Incorporat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special schools requires a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most appropriate for special schools by examining practices applied in 2016, including a review of the current curriculum, plans for curriculum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student evaluation measures. Method: Fourteen special schools that offer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2016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specific items of inquiry were identified to be validated by experts, and results were tested for reliability. Results: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ports submitted by school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reduced to allot time for free learning semester activities. Second, the curriculum was restructured to reflect major them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nd an activity-based pedagogy. Third, the teaching staff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was outsourced by partnering with external instructors or community organizations. Finally, student progress reports or portfolios were mainly used for student evaluation. Conclusion: Based on findings, effective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for special education schools are suggested, and its future dire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통합학교 중등 일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수준 비교

        이정은(Lee Juengeun),염명숙(Yeom Myungso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통합학교 중등 일반교사들이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ㆍ고등학교에 재직 중이며, 장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교의 중등 일반교사들은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으나, 그에 비해 실천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UDL 적용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 즉 UDL을 적용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교사일수록 실제로 학급에서 UDL을 실천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학교급간, 즉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 간에는 UDL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유사하게 나타났고, 그 실천 정도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거나 실천하고 있는 전략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편적 학습설계가 반영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과 교사연수의 필요성, 적절한 교수전략의 적용을 위한 방안 연구 등 향후 일반학교 교육과정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정책과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as introduced recently as a new paradigm for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was set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for the necessity and the application of the UDL in inclusive setting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9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the necessity of the UDL was higher than their application of the UDL on inclusive education. Second, the perception and the application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in this survey had some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ses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ose of the high school teachers. Fourth, this study had identified several strategies of the UDL that the teachers thought of as important. Ultimately discussions and several implications on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UDL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 사례연구

        이정은(Lee, Juengeun),염명숙(Yeom, Myungsook),김항중(Kim, Hangjo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을 위해 대학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의 사례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서 중등특수교육과의 재학생들을 또래 지원자로 활용하고 다양한 영역의 내용전문가인 여러 학과의 교수들과의 협력을 이루는 등 대학 내의 다양한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기 위해 어떠한 원칙과 전략, 절차 등을 적용할 수 있는지와 수강생, 학부모, 또래지원자 각각에게 프로그램의 운영과 성과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실시하는지를 밝히고 그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를 통해 도출한 대학기반의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개발과 운영을 위해 논의해야 할 내용으로서 개발 및 실행과정과 프로그램 평가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밝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based post 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oing so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for these individual. Method: This post secondary education program was described systematically from its planning to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The focus was on the role of each faculty member, strategies of execution, and main classes and activities that constitute the program.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in which the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evaluate the classes and activities that they experienced. As a result, various kinds of data from the participants, their families, and peer supporters were collected and reflected upon. Conclusion: We analysed the data from the evaluation of this program and discussed the appropriate direction that post secondary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proceed.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특별한 관심 분류체계’ 개발

        박현옥(Park, Hyun Ok),이정은(Lee, Juenge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이 나타내는 특별한 관심에 대한 분류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n = 284) 학부모와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특별한 관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초 자료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특별한 관심이 무엇인지를 묻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기초 자료 수집 결과, 총 1063개의 특별한 관심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특별한 관심 분류 체계를 개발하였으며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2명의 연구자가 각각의 응답 내용을 대조하여 특별한 관심의 주요범주를 구분하여, 그 결과에 대해 2명의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토 받았다. 2) 검토 받은 내용을 반영하여 특별한 관심의 주요범주와 하위범주, 반응유형으로 구성된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분류체계에 대해서는 7명의 교수, 17명의 유치, 초등, 중등 교사, 4명의 언어치료사로 구성된 총 28명의 교육전문가에게 분류체계 개발절차와 개발결과의 타당도에 대한 검토를 받았다. 3) 최종적으로 이들에게 검토 받은 내용을 반영하여 주요범주, 하위범주, 반응유형이라는 3가지 축으로 구성된 자폐스펙드럼장애 학생의 특별한 관심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이 분류체계 개발의 의의를 밝히고,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이해하고 교육하는데 이 체계가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어떠한 연구들이 향후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circumscribed interests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o accomplish this goal, parents and educators of 284 ASD students of varying age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mprised of free response questions on past and current special interests of ASD students, observed by their parents and educators. In this survey 1063 responses were collected, which were then categorized using the three following steps. 1) Two researchers compared the contents of the responses and separated them into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classification were validated by two experts. 2) Referring to the comments made by the experts in the previous step, researchers tried to refine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circumscribed interests. In this process, seven professors, seventeen special teachers, and four speech pathologist evaluated and commented on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refined classification system. 3) A final class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containing six categories and twenty-seven subcategories, in addition to examples of interests in each subcategories and the three response types of ASD students to the circumscribed intere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a future direction for the use of this system was discuss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nd educate ASD students.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특수교육 예비교사의 성과기대와 자기효능감 분석

        이정은 국립특수교육원 2012 특수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과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경험과 태도를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이들의 성과기대와 자기효능감은 어떤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6개 대학에서 초등 및 중등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2~4학년 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초등 특수교육 예비교사, 중등 특수교육 예비교사) 간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학생에 대한 경험과 태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은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성과기대 및 자기 효능감 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특수교육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성과기대와 자기효능감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교사역할에 대한 성과기대가 자기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IPA 방법을 통해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역할의 각 항목에 대한 성과기대-자기효능감 차이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각 유형(높은 성과기대/높은 자기효능감, 높은 성과기대/낮은 자기효능감, 낮은 성과기대/낮은 자기효능감, 낮은 성과기대/높은 자기효능감)별 교사역할 항목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특수교육 예비교사에게 다문화교육 실시와 다문화가정 학생지도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교육과정을 강화해야 할지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special educator's experience with and attitude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udents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backgrounds, then to analyze the outcome expectancy and self-efficiency of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or in regards to the role of an educator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12 students major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from 6 universities were survey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could summarized as: First, the two groups (those majoring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nd those majoring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showed no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s or levels of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or students from CLD backgrounds. Second, the two groups also showed no difference in levels of outcome expectancy and self-efficiency on the role of an educator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both groups showed higher levels of outcome expectancy than self-efficiency on the role of an educator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by analyzing levels of outcome expectancy and self-efficiency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e were abl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ategori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ors. In the final part of this article, suggestions on how to strengthen the current curriculum of pre-service special educators were made in order to increase the educators' capacity in dealing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udents from CLD backgrounds.

      • KCI등재

        다문화 교육을 위한 일반교육 교사와 특수교육 교사 간 역량 비교 분석 : 다문화교육 거점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The dramatic demographic shift in Korea is more apparent in the schools than anywhere else. But this change in the racial, cultural, and linguistic diversity of the student population is not the problem. The problem lies in the way teachers have responded to that change. Concurrently multicultural education scholars have become persistent in their arguments that teachers should become knowledgeable that about cultural diversity and develop pedagogical skills and attitudes to teach thes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competence including experience, belief, attitude, knowledge, and self-efficacy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4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both general and special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urvey was composed four sub-categories: experience, attitude, outcome expectancy belief, and efficac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teachers had fewer experience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the general teachers.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ttitude and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 special teacher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of outcome expectancy belief than the general teachers. Fourth, the both of special and general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outcome expectancy belief than self-efficacy. In the final part of this article, discussions and several implication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related with special education were provided.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을 포함하여 모든 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특수교육 교사가 어느 정도의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다문화교육 거점학교로 지정된 105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일반교육 교사 68명과 특수교육 교사 7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경험, 관점, 태도, 성과기대, 교사효능감으로 구성된 다문화교사역량 설문에 응답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사의 다문화교육이나 다문화가정 학생과 관련된 경험은 몇몇 항목에서 일반교육 교사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교육 목적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태도, 교사효능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특수교육 교사가 일반교육 교사보다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역할에 대해 높은 성과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 교사 집단은 대체로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성과기대가 교사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에서 다문화교육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접근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독서활동 지도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지원 요구

        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and practice instruction for reading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what their needs are.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271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hought the purpose of reading instruction was important when practicing it. Second, reading instruction was mainly conducted during the Korean language course, and teachers considered various factors in selecting books for the reading activity. Thir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a variety of reading activity pedagogics but used them in a limited way in practice. Fourth, teachers recognized improv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self, others, and society; improvement in literacy; self-determination; and task performance improvement as the major achievements of reading activities. Fifth, it was possible to see the opinions of teachers on ways to support reading activities and its pedagogics to strengthen teaching abilitie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relevant policie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dentifying specific pedagogics to strengthen the teachers’ instructional ability. 연구목적: 특수교사들이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서활동 지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실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그들의 요구는 어떠한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의 중등 특수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양한 독서활동 지도 목적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독서활동 지도는 주로 국어교과 시간에 진행되며, 교사들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독서활동을 위한 도서를 선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다양한 독서활동 지도전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자신이나 타인과 사회에 대한 이해 증진, 문해력향상, 자기결정력 및 과제수행력 향상 등을 주요한 독서활동의 성과로 보았다. 다섯째, 독서활동 지도와 독서활동 지도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구체적인 지원 요구가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현재의 발달장애학생의 독서활동 현황 및 지원 요구를 살펴보고, 독서활동 지도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사교육의 구체적인 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운영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요구

        Son, Jiyoung,Lee, Juenge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2

        The study investigated parental perceptions and needs on the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 total of 1,960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a nationwide survey that consists of one short-answer question and twelve multiple-choice questions. Parents considered facilitation of safe school life and inclusion as the most positive aspects of the system. The need for more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as a parental concern. Parents identified the most pressing areas for improvement as the extent of support, personnel certification, and on-the-job training. Specific needs concerning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ere identifi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the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Korea.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운영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1,960명의 장애학생 부모에게 선다형 문항과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응답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행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서 부모들은 ‘장애학생의 안전한 학교생활 지원’과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참여기회의 확대’를 현행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가장 큰 혜택으로 보았다. 둘째, 부모들은 현재 지원되고 있는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외에 다양한 제도와 개인 역량에서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셋째, 이들은 보조인력의 지원범위와 자격제도, 연수 및 훈련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부모들은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에서 자격기준 선발 및 배치, 양성제도, 연수, 지원범위, 관리, 근무여건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해 구체적인 요구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를 논의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제안 탐색

        문현미,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 Vol.22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과 관련하여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살피고, 그들이 예상하는 고교학점제 운영의 어려움과 바림직한 운영 방안 등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모델 개발교 교사를 포함하여 총 12명의 중등특수교사와의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한 후 면담한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담한 내용은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인식,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시 예상되는 어려움,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시 예상되는 어려움,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한 제안, 교육부・교육청 수준의 지원 요구 등 5개의 중심주제와 그에 따른 19개의 하위주제와 68개의 핵심내용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분석된 주제와 내용을 근거로 연구 결과를 논의하여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perceptions of special school teachers regarding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pecial schools and to explore difficulties and the desirable operation methods expected by them.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teachers at schools developing a high school credit system model for special schools, and the interview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Contents of interviews were found to have five central themes,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pecial schools, expected difficulties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and suggestions for desirable operation and demands for support at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Education Office) with 19 sub-themes and 68 key contents.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zed themes and their contents,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the desirabl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schools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