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분류의 다양성과 원리: 지식의 탄생을중심으로

        이정우 ( Jeong Woo Lee ),심경호 ( Kyung Ho Sim ),이상욱 ( Sang Wook Yi ) 한국과학철학회 2014 과학철학 Vol.17 No.3

        세계 속의 대상을 인지하고 분류하는 작업은 필연적으로 그와 관련된 지식의성장과 함께 이루어진다. 우리는 이 점에 주목하여 우선 동서양의 사유에서 분류가 얼마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를 서술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분류가 그저 다양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배후에 특정한 원리가 숨어 있으며,그 내재한 원리가 특정한 종류의 지식의 탄생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는 점을 보이려 노력한다. 이 작업은 세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우선 2절에서는 서양 자연과학에서 분류가 어떻게 수행되었고 그것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주로 ‘자연종’ 개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해명한다. 3절에서는 서양 인간과학이 대상들을 어떻게 분류했으며, 그러한 분류에서의 존재론적 재분절화가 어떻게 새로운 인간과학을 도래하게 했는지를 분석한다. 4절에서는 조선 시대에 이루어진 분류의 작업이 어떻게 성리학적 분류 체계로부터 경험적 분류체계로 이행했는지에 대해 유서(類書)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동서양을 막론하고 얼마나 다양한 원리들에 입각해 분류가 이루어졌는지와 그러한 분류 작업이 존재론적 전환을 통해 어떻게 새로운 지식의 탄생에 기여했는지를 탐색한다. Any classification of objects in the world is necessarily linked to thebirth of its accompanied knowledge. We investigate diverse classifyingefforts in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and argue that behind theconfusing diversity of alternating classification systems, we can recognizecertain principles which guided the entire classification efforts. We alsotry to show that the principl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birth ofspecific kinds of knowledge. In order to achieve this, we look at threeareas of knowledge: current natural sciences, western human sciencesand Korean Confucianism in Chosun period. First, we examine whether‘natural kinds’ concept is adequate to explain the practice of currentnatural scientific research. Second, we analyze how western hujmanscience had been established through ‘ontological re-articulation’ of itsobjects. Lastly, we discuss how the transition from Sung Confucianisticclassification to ‘empirical’ classification was achieved in the taxonomictexts of Chosun period. We endeavored to illustrate how some guidingideas or principles had shaped the resulting classification systems ineach case.

      • KCI등재

        기술보고 : 관입형 피조미터와 시피지미터를 이용한 안성천 상류구간 하상 수리전도도 측정

        이정우 ( Jeong Woo Lee ),전선금 ( Seon Geum Chun ),이명재 ( Myeong Jae Yi ),김남원 ( Nam Won Kim ),정일문 ( Il Moon Chung ),이민호 ( Min Ho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15 지질공학 Vol.25 No.3

        안성천에 위치한 공도 수위표 상류 구간에 대해 하상퇴적층을 통과하는 하천수-지하수 상호교환량과 수리경사를 측정하여 하상퇴적층의 수리전도도를 산정하였다. 하천수-지하수 상호유동량은 자체 제작한 시피지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수리경사는 장심도와 단심도 두 가지 종류의 관입형 피조미터를 하상퇴적층에 설치하여 피조미터내 수두 차이와 관입깊이 차이를 측정하여 산정하였다. 하천수-지하수 교환량은 -1.55 × 10-6~1.77 × 10-5 m/s, 연직방향 수리경사는 -0.122에서 0.030로 측정되었다. 교환량과 수리경사로 부터 연직방향 수리전도도를 산정한 결과 1.77 × 10-5~1.97 × 10-3 m/s로 지점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는 Calver (2001)가 제시한 하상퇴적물 수리전도도의 일반적인 범위내에서 분포하였으며, 모래, 자갈층이 잘 발달되어 있어 기존의 국내 측정 결과 사례에 비해 큰 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고강도 스테인레스 재질의 피조미터와 시피지미터를 이용하여 하상퇴적층의 수리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내구성과 휴대성이 우수하여 실무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reambed hydraulic conductivity along the upper reaches of the Gongdo stage of Anseong Stream was estimated through measurements of stream-aquifer exchange rates (using a seepage meter) and vertical hydraulic gradients (using a manually driven piezometer). From the measured data, it was found out that the stream-aquifer exchange rates varied from -1.55 × 10-6 to 1.77 × 10-5 m/s, the corresponding vertical hydraulic gradient varied from -0.122 to 0.030, and the values of the streambed vertical hydraulic conductivity were estimated from 1.77 × 10-5 to 1.97 × 10-3 m/s, with variations representing local differences. The results are within the general range of streambed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suggested by Calver (2001) and are slightly higher than values previously measured at other stream sites in Korea. The combined use of a drive-point piezometer and seepage meter (both constructed of high-strength stainless steel) is expected to be of practical use in the estimation of streambed hydraulic conductance, given the durability and portability of the instruments.

      • SCOPUSKCI등재

        증례보고 : 악성고열증의 감수성 여부를 유전자 선별검사로 결정한 임상경험

        이정우 ( Jeong Woo Lee ),이지선 ( Ji Sun Yi ),이준례 ( Jun Rye Lee ),김동찬 ( Dong Chan Kim ) 대한마취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7 No.3

        Malignant hyperthermia (MH) is a potentially fatal pharmacogenetic disorder manifested as a life threatening hypermetabolic crisis in susceptible individuals following exposure to inhalation anesthetics and to depolarizing muscle relaxants.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MH susceptibility is difficult. The gold standard for determination of MH susceptibility is the in vitro contracture test. However, it is invasive, requiring skeletal muscle biopsy and is not widely available. Recent advances in genetic testing for mutations that result in MH during anesthesia have helped some genetic test have limitations in clinical application due to the diversity of mutations. In Korea, we found the RYR1 genetic mutation by molecular genetic testing for MH susceptibility in a family for which MH had occurred. Based on the results of genetic testing, we could known MH susceptibility of 2 patients. We believe that the genetic testing for MH can be developed and used with some limitations in clinical settings in Korea. (Korean J Anesthesiol 2009;57:387∼91)

      • KCI등재후보

        콘빔 전산화단층촬영(CBCT) 시스템에서 기계적 오류에 관한 연구

        이이성(Yi-Seong Lee),유은정(Eun-Jeong Yoo),김승근(Seung-Keun Kim),최경식(Kyoung-Sik Choi),이정우(Jeong-Woo Lee),서태석(Tae-Suk Suh),김정구(Joeng-Koo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3 방사선기술과학 Vol.36 No.2

        본 연구는 선형가속기의 회전불균형의 영향으로 발생 되는 CBCT 영상의 setup 오차 변화를 분석하여, 회전불균형에 대한 정도관리의 필요성을 연구 하였다. CBCT 시스템의 3차원 체적영상모드를 이용하여 360° 회전과 180° 회전으로 Catphan503 팬텀과 균질 팬텀의 3차원 영상을 획득하였고, setup 오차를 측정하기 위해 나선형 CT의 기준영상과 함께 비교 분석 하였다. 표준 정도관리의 절차를 시행하여 정상적인 상태를 확인하고, 임의적으로 갠트리의 회전균형을 조절한 후, 균형상태와 불균형상태의 각각 CBCT 영상에 대하여 X, Y, Z, Roll, Pitch, and Yaw의 6차원적 관점에서 setup 오차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Setup 오차의 변화율은 갠트리 회전균형의 조정 전·후를 확인한 결과, 직교 좌표계는 360°의 회전에서 X축 방향으로 0.6 mm, Y축 방향으로 0.5 mm, Z축 방향으로 0.5 mm의 최대 변화율을 보였다. 180°의 회전은 X축 방향으로 0.9 mm, Y축 방향은 0.2 mm, Z축 방향은 0.3 mm의 최대 변화율을 보였다. 또한 회전 변환계는 회전 불균형이 커질수록 평균적인 값의 차이가 점점 증가하였고, 최대값은 1.1°를 나타내었다. 영상의 분해능은 균형 조정 전ㆍ후 영상분석 툴에서 2 lp/㎝ 차이를 나타내었다. CBCT 시스템의 정도관리는 기준 권고안을 만족하였다. 갠트리의 회전 불균형이 클 때, setup 오차의 직교좌표계의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회전 변환계의 변화율은 기준 권고 값인 1°에 해당하는 값과 초과하는 1.1°를 나타내었다. 이는 갠트리의 불균형이 setup 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회전 변환계의 setup 오차에 대한 6차원적인 보정이 더욱 요구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확하고 정교한 영상유도 방사선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갠트리의 균형도를 확인해야 하며, 정도관리 항목으로 추가되어야 한다고 사료되어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te of setup variance by the rotating unbalance of gantry in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 The equipments used linear accelerator(Elekta Synergy ™, UK) and a three-dimensional volume imaging mode(3D Volume View) i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system. 2D images obtained by rotating 360°and 180° were reconstructed to 3D image. Catpan503 phantom and homogeneous phantom were used to measure the setup errors. Ball-bearing phantom was used to check the rotation axis of the CBCT. The volume image from CBCT using Catphan503 phantom and homogeneous phantom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images from conventional CT in the six dimensional view(X, Y, Z, Roll, Pitch, and Yaw). The variance ratio of setup error were difference in X 0.6 ㎜, Y 0.5 ㎜ Z 0.5 ㎜ when the gantry rotated 360° in orthogonal coordinate. whereas rotated 180°, the error measured 0.9 ㎜, 0.2 ㎜, 0.3 ㎜ in X, Y, Z respectively. In the rotating coordinates, the more increased the rotating unbalance, the more raised average ratio of setup errors. The resolution of CBCT images showed 2 level of difference in the table recommended. CBCT had a good agreement compared to each recommended values which is the mechanical safety, geometry accuracy and image quality. The rotating unbalance of gentry vary hardly in orthogonal coordinate. However, in rotating coordinate of gantry exceeded the ±1° of recommended value. Therefore, when we do sophisticated radiation therapy six dimensional correction is needed.

      • KCI등재

        피라미드형 패조류용 어초의 수리학적 특성

        손병규(Byung-Kyu Sohn),이정우(Jeong-Woo Lee),이병호(Byung-Ho Yi),윤한삼(Han-Sam Yoon)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피라미드형 패조류용 인공어초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Froude 상사법칙을 적용한 고정상 및 이동상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현장 설계외력(파랑, 흐름 등) 조건에 따라 이론적/실험적 검토를 하였다. 실험 결과는 파랑-흐름 공존장에서 어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무차원영향인자(설계파라메타)인 쇄파상사지수, 수립자속도, 파압 등을 사용하여 상호관련성을 검토하였다. 그 실험결과, 어초의 활동을 일으키는 한계조건은 고정상 실험에서는 쇄파상사지수에 따라서 무차원 최대수립자속도가 약 0.4 이상일 때, 이동상 실험에서는 무차원 파압에 따라서 상대수심이 약 0.11 이하일 때 나타났다. 또한 상대수심에 따른 수평 및 연직 파압은 상대수심이 증감함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conducted hydraulic testing to assess the stability of two types of pyramid-shaped artificial reefs (ARs) constructed to promote the growth of shellfish and seaweed. Previous theoretical and hydraulic experimental studies have clearly demonstrated Froude simil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ome dimensionless design parameters affected the stability of both types of artificial reefs under various wave and current field conditions (e.g., surf similarity parameters, water particle velocity, wave pressure). In the fixed bed condition, the dimensionless water particle velocity based on the surf similarity parameter was large (about 0.4), and in the moveable bed condition, the relative water depth based on the dimensionless wave pressure was low (about 0.11). In addition, horizontal wave pressure and uplift pressure varied by relative water depth, demonstrating the tendency for wave pressure to decrease linearly with increased relative dept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 of more stable design technology forartificial reefs should be based on long-term data and additional study of sliding due to wave action.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ydraulic experiments in solving problems that have emerged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rtificial reef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가 골연골 플러그를 이용한 슬관절 불안정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서승석(Seung-Suk Seo),서진혁(Jin-Hyeok Seo),이정우(Jeong-Woo Yi),정동욱(Dong-Wook Jung),김도훈(Do-H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1

        목적: 박리성 골연골염의 불안정성 골연골편을 자가 골연골 플러그를 이용하여 고정을 한 치료 방법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자고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International Cartilage Repair Society 2, 3, 4단계에 해당되는 불안정성의 박리성골연골염을 가진 환자 중 자가 골연골 플러그로 골편 고정이 가능하였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 전 및 최종 추시 시의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점수를 비교하여 임상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환자는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나이는 19.1세였고, 병변은 대퇴내과 외측면이 16예, 대퇴외과 관절면이 2예, 대퇴골 활차부위가 1예였다. 병변의 평균 크기는 5.68 ㎟, 사용된 골연골 플러그의 개수는 평균 4.3개, 평균 추시 기간은 38개월이었다. 수술 전 Lysholm 점수와 IKDC 주관적 점수는 수술 후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결론: 자가 골연골 플러그를 이용한 박리성 골연골염의 불안정성 골편의 고정은 남아 있는 조직을 이용하고 보존할 수 있어 장점이 있는 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fixation of the unstable osteochondral dissecans (OCD) lesion with autologous osteochondral plug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9 patients who were relevant to the International Cartilage Repair Society 2, 3, or 4 who were treated with autologous osteochondral plugs and followed-up for more than 2 years from January 2004 to January 2012.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preoperative and last follow-up scores of Lysholm score and subjectiv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core. Results: All patients were male and the average age was 19.1 years. Of the 19 cases, there were 16 cases of medial femoral condyle lateral side lesion, 2 cases of lateral femoral condyle articular surface, and 1 case of femoral intercondylar notch lesions. The average size of the lesion was 5.68 ㎟, and average use of osteochodral plugs were 4.3.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8 months. Preoperative Lysholm score, IKDC subjective scor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nclusion: Fixation with autologous osteochondral plugs for unstable OCD uses the remnant tissues therefore conserving it, which is thought to be the positive aspect of this type of operation.

      • KCI등재

        후과 골절의 존재 여부에 따른 족관절 골절의 결과 비교 연구

        이창수(Chang Soo Lee),서진수(Jin Soo Suh),이정우(Jeong Woo Y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4

        목적: 족근 관절 골절에 있어서 후과 골절은 원위 경골 관절면을 침범하고 체중 부하 축에 관련되며 정복과 고정도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들은 후과 골절이 동반된 족근 관절 골절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기 관절염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불량한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가정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족근 관절 골절에 대하여 관혈적 정복술 후 금속 제거술을 시행하였던 142명의 환자 중, 양과 골절 및 삼과 골절이 있었던 52명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5개월이었고, 이중 후과 골절이 없는 양과 골절이 36예였고, 후과 골절이 동반되어 후과 골절에 대해 고정술을 시행한 삼과 골절이 16예였다. 두 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36세, 43세였고 성별 분포, 수상 기전, 흡연 여부 등에 있어서 차이는 없었으며, 수술 후 재활 과정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VAS는 후과 골절이 없는 양과 골절군에 있어서 8.8점, 후과 골절이 동반된 삼과 골절군에서 8.6점이었고(p=0.67), AOFAS score는 각각 84.0점, 83.5점으로(p=0.64)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방사선학적 분석을 위해 금속 제거술을 시행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최종 추시시 Kellgren-Lawrence scale은 각각 1.00점, 1.31점으로(p=0.29)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족근 관절 골절에 있어서 후과 골절이 동반된 경우에도 만족할 만한 정복과 고정을 얻는다면 후과 골절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두 군 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차이는 없었다. Purpose: Posterior malleolus fractures of the ankle involve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distal tibia, and are related to the axis of weight bearing, which often causes difficulty in reduction and fixation. It was assumed that patients with ankle fractures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us fractures would be more prone to arthritis than those without such fractures.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wa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rthritis and an ankle fracture with a concomitant trimalleolar fracture or bimalleolar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ankle joint between Nov. 2000 and Sep. 2005, 52 patients had a bimalleolar fracture or a trimalleolar fracture, and underwent metal removal.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radi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52 patient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5 months. Thirty-six patients had a bimalleolar fracture without a posterior malleolus fracture, and 16 patients had a trimalleolar fracture with internal fixation. The mean ages of the two groups were 36 and 43 years of ag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distribution, route of trauma, and smoking between the two groups. The post opera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was applied equally to both groups. Results: The VAS score of thebimalleolar fracture and trimalleolar fracture was 8.8 and 8.6, respectively. The AOFAS score of the bimalleolar fracture and trimalleolar fracture was 84.0 and 83.5,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Only the patients who underwent metal removal were included because of the radiological analysis. The Kellgren-Lawrence scale of the bimalleolar fracture and trimalleolar fracture was 1.00 and 1.31,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with ankle fractures concomitant with posterior malleolus fractures had equally favorable outcomes to those patients with ankle fractures without a concomitant posterior malleolus fracture. Studies with more cases, a longer follow up, and prospective approache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e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