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이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미치는 영향

        이재순 ( Lee Jaesoon ),이유미 ( Lee You-mi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2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이 유아기 자녀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와 H시 소재 어린이집 및 유치원 학부모 317명이다. 전자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 Scheffe’s 사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수준은 어머니의 연령, 학력, 취업 여부, 자녀와의 대화 시간, 가구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는 미디어 리터러시, 부모효능감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비판적 리터러시, 양육행동효능감, 사회적역할수행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오늘날,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대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부모효능감의 영향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media literacy and parental efficacy on smart media intervention for early-years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17 parents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 and H, Gyeonggi-do. For the data collected through electronic survey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d one-way variable analysis, Scheffe's post-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mart media intervention of mothers early-years children according to the mo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us, conversation time with children, and household incom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mart media intervention of mothers early-years childre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media literacy and parental efficacy. Third,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smart media intervention of mothers early-years children were found to be critical literacy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al efficacy, and social role performance 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objectively proved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and parental efficacy on mother's smart media intervention today, when the use of smart media by early-years children is rapidly increasing.

      • KCI등재

        SNS 사용특성이 신용대출 상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원훈 ( Wonhoon Chung ),이재순 ( Jaesoo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SNS 사용특성(프로필 사진, 사용량)이 대출 상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신용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NS 대출상품인 T사 A대출 프로그램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항로지스틱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방성, 외향성이 높은 ‘캐릭터ㆍ유머’, 성실성이 강한 ‘취미 등 사회활동’, 자기주관이 강하고 신경성이 높은 성향인 ‘사물ㆍ동물’ 등을 프로필사진으로 선택한 경우 상환 가능성이 컸다. 둘째, SNS상의 총게시글 수가 많을수록 상환 가능성이 컸다. 셋째, 대출 기간이 길수록 연체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과 밀접한 SNS 사용특성을 포함한 빅데이터 자료를 대출 심사 시에 적용하면, 금융거래 기록이 없는 차주(씬파일러)에 대한 대출 실행 시 유용할 것이다. 또한, 향후 댓글 수, 친구 수 등의 추가 변수를 포함한 후속 연구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SNS usage characteristics (i.e. profile photos, rate of usage) that are increasing in daily life can be used for credit evaluation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n loan repayment. We conducted bionomial logistic analysis with data from Company T’s A loan program, a SNS-rated loan product.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who use “character and humor photographs” to show openness and extroversion, “social activities and hobbies photos” and “objects and animals” to show strong self-subjectivity are highly likely to repay.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re total posts, the more likely you are to repay. Finally, The longer the loan period, the more likely the loan is to be overdue. Therefore, It is useful to use big data,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NS usage, as variables in loan screening to thin-filers who do not have financial transaction records. Also, This study would attempt follow-up research including additional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comments and friends

      • KCI등재

        친환경 비가교 폴리에틸렌의 전기적 특성과 워터트리 가속열화에 관한 연구

        이준호(June-Ho Lee),공태식(Tae-Sik Kong),김성중(Seong-Jung Kim),권기형(Ki-Hyung Kwon),이재순(Jaesoon Lee),구광회(具晄會),조규철(Kyucheol Cho) 대한전기학회 2012 전기학회논문지 Vol.61 No.6

        The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is the most widely used insulating material for power cable. Due to its thermosetting characteristics, the XLPE can not be recycled, while the needs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and recyclable insulator is rapidly increasing. In this paper, some important and basic electrical properties of non-crosslinked polyethylene such as conduction current characteristics, water the tree characteristics, AC breakdown test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t was shown that some of the tested samples had better performances from the application point of view for replacing current XLPE.

      • KCI등재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지속가능 요인 분석

        임채선(Lim, Chaesun),오동훈(Oh, Dong-Hoon),이재순(Lee, Jaeso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20 도시 행정 학보 Vol.33 No.4

        본 연구는 2020년 현재 국제 정세 및 남북관계의 변화 속에서도 중단없이 지속되고 있는 남북교류협력사업을 행동경제학 전망이론을 적용하여 그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남북교류사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북체육교류사업, 남북저작권협력사업, 겨레말큰사전 편찬사업이 분석의 대상으로 이들은 모두 커다란 이익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사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사업을 대상으로 남북관계의 지속성을 가능하게 했던 사업들의 북측 정책담당자나 혹은 행위자들의 선택을 전망이론의 가치함수로 분석하여 네 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망이론 통찰의 시작점인 준거점 의존성이다. 북측 입장에서 기준이 되는 시점에서 특정 판단과 행동을 선택하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북측이 원하는 사업인 것이다. 둘째, 위험상황에서 손실회피이다. 비정치적이고 비군사적인 사업을 선택함으로써 현시점에 국가가 처한 위험을 회피하는 의사결정을 선택한다. 셋째, 소유효과이다. 이는 현재 가진 것보다 나은 것을 얻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보수성향을 의미한다. 자신들이 만든 저작권, 유능한 체육인, 고유어 보존이라는 것을 자신들이 보유한 소유물로 간주한다. 마지막으로 확실성 효과로 위험이 큰 이익보다는 작더라도 확실한 이익을 선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명분도 확실한 이익이라는 인식이 실리적인 이익보다 우선한다. 이러한 4가지 지속가능성 제고요인은 향후 남북한 정부간 교류 및 민간교류 사업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남북관계는 국제관계속에 존재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관여되어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비정치적이고 비군사적인 사업을 선택하여 위험 상황에서 손실회피가 가능해야 하며, 경제적 이익보다는 사업의 명분과 공동번영, 미래세대를 준비할 수 있는 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which have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despit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inter-Korean relations as of 2020, by applying the theory of behavioral economics. The research subjects ar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Sports, Inter-Korean Copyright Exchange, and The Joint Compilation of Gyeoremal-Keunsaje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three projects are sustainable and stable, although they do not guarantee great profits. In this study, four factor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prospect theory to the choices of North Korean policy makers or actors in the three projects that enabled the continuity of inter-Korean relations. The first is the dependence of the reference point, which is the starting point for insight into prospect theory. North Korea has chosen certain judgments and actions at its reference point. Specifically, it was what the North wanted. The second is loss aversion in risky situations. By choosing non-political and non-military project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makes decisions that prevents risks the country faces at present. The third is the Endowment Effect. This implies a conservative tendency not to take risks to get something better than what they currently have. They regard copyrights they create, competent sportsmen, and preservation of native words as their property. The last is the certainty effect, preferring a definite benefit, although small, rather than a high risk benefit. In this respect, the perception that justification is also a clear benefit takes precedence over practical gain. These four sustainability-enhancing factors will serve as important factors for promoting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Development of a Quadruped Robot for Participation in the Dronebot Challenge

        안동현(DongHyun Ahn),김현석(HyeonSeok Kim),김건오(GeonO Kim),윤성준(SungJoon Yoon),전호진(HoJin Jeon),김승준(SeungJun Kim),남궁준연(Junyeon Namgung),홍승표(SeungPyo Hong),이재순(JaeSoon Lee),조백규(Baek-Kyu Cho)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지 Vol.38 No.10

        This paper introduces PongBot, a quadruped robot developed for preparation in the Dronebot Challenge held in Jangseonggun, Jeollanam-Do, South Korea in November 2020. The Dronebot Challenge, hosted by the Army Headquarters, is a competition to demonstrate that drones and robots can be useful for military purposes. In 2020, this competition consisted of a total of 8 events and we participated in the ‘Traveling on rough terrain’ event, which consisted of various terrains, such as, slopes, unpaved roads, and streams. PongBot is a quadruped robot that uses an electric motor and can walk for more than an hour on various terrains. Also,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competition, the robot had a system which could be remotely controlled from a ground control station. In addition, by applying the SLAM algorithm, the robot operator received information about its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by deriving record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The performance of this robot system and SLAM algorithm was verified through this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