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빨리율에 나타나는 3종의 승단관리자

        이자랑 ( Ja Rang L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빨리율(Vinayapitaka)에는 비구 혹은 비구니를 위해 다양한 잡일을 대신 했다고 보이는 대략 다음 5종의 명칭이 전해진다. 즉 사마네라(samanera, 沙彌), 우빠사까 (upasaka, 優婆塞), 아라미까(aramika, 園民), 웻야왓짜까라(veyyavaccakara, 執事人), 깝삐야까라까(kappiyakaraka, 淨人)이다. 이들은 비구(니)를 대신해서 청소 등의 노동을 하기도 하고, 혹은 비구가 범계하지 않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중 사마네라와 우빠사까는 비교적 그 정체가 명확하다. 이들은 사중(四衆) 혹은 칠중(七衆)의 하나로 거론되는, 이른바 불교교단의 기본 구성원이기 때문이다. 사마네라는 구족계를 받고 비구가 되기 전의 남성예비수행승이며, 우빠사까는 남성 재가신도이다. 한편 아라미까와 웻야왓짜까라, 그리고 깝삐야까라까의 경우에는 교단 내에서의 지위와 역할 등에 있어 불분명한 점이 많다. 이들은 승단에 예속된 노비와 같은 신분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며, 승단의 관리자로서 비구와 매우 긴밀한 관계를 갖고 다양한 일을 처리하고 있다. 본고는 빨리율에 나타나는 이 3종의 관리자에 관한 용례를 검토하며 각각의 특징을 밝혀보고자 한다. 본고의 검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의 주요 업무는 비구를 위한 정법(淨法) 실행, 다시 말해 학처에서 금지된 행동을 적법하게 만들 어주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른바 정인(淨人)으로서의 역할이다. 하지만 아라미까는 특히 주처 관리와 관련이 깊다. 이들은 비구들의 주요 와좌처였던 아라마(arama)의 청소나 수리, 건축 등을 위해 승단 최초로 수용된 노동 인력이었는데, 점차 승가나 비구에게 보시된 돈을 관리 내지 처리하는 정인 역할도 담당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정인이라 한역되며 일반적으로 정인의 대표격으로 알려 져 있는 깝삐야까라까의 경우에는 특히 식생활이라는 특정 분야와 깊은 관련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웻야왓짜까라의 경우에는 용례도 상당히 적을 뿐 아니라, 내용도 명확하지 않은 면이 있어 상세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아라미까나 깝삐야 까라까처럼 특정 분야를 담당하는 인력이었다기보다는, 아라미까나 우빠사까 등을 포함하여 승단의 잡무를 보는 다양한 인력을 총칭하는 용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In Vinayapitaka, roughly the following five titles that seem to have done diverse chores on behalf of bhikkhu or bhikkhuni; that is, samanera, upasaka, aramika, veyyavaccakara, and kappiyakaraka. They do work such as cleaning on behalf of bhikkhus or bhikkhunis, or play the role of assisting bhikkhus not to violate religious precepts. Among them, the identities of samanera and upasaka are relatively clear because these are so called basic members of the Buddhist order referred to as one of four groups(四衆) or seven groups(七衆). A samanera is a male preliminary disciplinant bonze before receiving upasampada(具足戒) and becoming a bhikkhu and an upasaka is a male laity. On the other hand, the statuses and roles of aramika, veyyavaccakara, and kappiyakaraka in the Buddhist order are unclear in many aspects. They do not seem to be at the same status as slaves subordinate to the Samgha. As managers of the Samgha, they are quite closely related to monastic managers and handling diverse affair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examples of these three types of managers appearing in Vinayapitaka and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m. The results of review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ir major work is commonly the execution of kappiya(淨法) for bhikkhus, in other words, making behaviors prohibited in study places lawful. However, aramika is particularly related to residence management. They were the first labor manpower accepted for the first time by the Samgha for cleaning, repairs, or construction of arama that was major lodging of bhikkhus and they seem to gradually become to play the role of managing or handling the alms given to the Samgha or bhikkhus. Meanwhile, kappiyakarakas seem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certain area, dietary life. Their roles seem to have become more special as the acts of storing food or materials or the acts of cooking food in the Samgha were gradually permitted. As for veyyavaccakara, although details cannot be known as not only the number of examples is quite small but also the contents are not accurate, rather than being manpower in charge of certain areas such as aramika or kappiyakaraka, it is assumed to be a term referring to diverse workers in charge of chores in the Samgha including aramika and upasaka.

      • KCI등재

        「멸쟁건도」의 다수결 원칙(yebhuyyasika)을 통해 본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이자랑 ( Ja Rang L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2 No.-

        본 논문은 율장 「멸쟁건도」에 나타나는 ``다인어(多人語, yebhuyyasika)``라는 멸쟁법의 내용을 분석하여 승가 다수결의 특징을 밝힌 것이다. 「멸쟁건도」에 의하면, 붓다가 설한 교리나 계율의 해석을 둘러싸고 의견이 나뉘어 승가에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다인어라 불리는 멸쟁법을 통해 분쟁을 가라앉혀야 한다. 다인어란 투표를 실행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지지한 의견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일견 현대의 다수결 원칙과 유사하다. 하지만 다인어는 아무리 다수가 채택한 의견이라도 그것이 붓다의 법과 율에 위반되는 것이라면 절대로 채택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 하에 운용된다는 점에서 현대의 다수결과근본적인 차이점을 보인다. 즉 반드시 여법의 승리로 분쟁은 마무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여법의 승리로 분쟁을 마무리 짓기 위해 절대적인 권한을 지니고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 것이 바로 행주인(行籌人, salakagahapaka)이라 불리는 비구이다. 행주인이란 투표를 이끌어갈 사회자 격의 비구인데, 어떤 경우에도 삿된 감정으로 잘못된 판단을 내리지 않을 인격의 소유자를 승가가 구성원의 만장일치로 선발한다. 즉 여법하게 분쟁을 가라앉혀 승가를 화합시키는 최종적 역할은 평소 구성원의 신뢰와 존경을 받는 훌륭한 비구에게 일임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인어가 보여주는 이와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생각해 봄으로써, 승가에서 발생한 분쟁을 가라앉힐 때 고려해야 할중요한 원칙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will analyze the rules for settling disputes, Yebhuyyasik a (多人語), found in the Adhikaranasamathakkhandhaka which is part of the Vinaya - Pitaka (precepts collection). I hope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majority rule as practiced in the Samgha (the community of monks and nuns). According to the Adhikaranasamathakkhandhaka, the Samgha should try to resolve the conflicts arise from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Buddha`s teachings or precepts through Yebhuyyasik a. Yebhuyyasik a is a decision-making process wherein people vote and select the interpretation which has the most support. In this aspect, Yebhuyyasik a is similar to typical majority rule. However, Yebhuyyasik a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Samgha must never adopt any ideas which go against the Buddha`s Dharma or Vinaya, even if approved by a majority. Therefore, the Yebhuyyasik a differs radically from typical majority rule in that the Samgha must resolve disputes while still observing the Buddha`s teachings. Within the Samgha, a monk with the title of Sal akag ah apaka has absolute authority to exert his influence in resolving disputes in accordance with the Buddha Dhamma. Members of the Samgha unanimously elect one monk to be the Sal akag ah apaka. His role is similar to a chairperson who makes decisions without allowing his private feelings to interfere. In other words, the Samgha leaves the resolution of disputes and the preservation of harmony to a single eminent monk who has the respect and trust of the other monks. Thus, this thesis will study several important features of the Yebhuyyasik a and analyze its significance. By doing so, my thesis will clarify the crucial rules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resolving disputes within the Samgha.

      • KCI우수등재

        개혁종단의 징계에 대한 율장적 검토

        이자랑(Lee, Ja-rang) 불교학연구회 2021 불교학연구 Vol.68 No.-

        본 논문은 1994년에 등장한 개혁종단이 기존 세력을 징계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문제점을 율장에 비추어 재고한 것이다. 당시의 개혁은 종단 운영의 부패와 정치권력과의 유착, 낡은 행정제도 등의 혁신을 목표로 교단의 개혁을 갈망하는 사부대중의 강렬한 열망이 일구어낸, 근현대불교사에 한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 하지만, 충분한 준비 없이 급박하게 이루어진 개혁 과정에서 승가가 추구해야 할 가치나 이념은 고려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이후 많은 후유증을 양산하였다. 특히 당시 개혁종단을 지지하지 않는 일부 승려들에 대한 성급하고도 가혹한 징계는 지금까지도 승가의 화합을 저해하며 갈등을 낳고 있는 대표적인 사안이다. 게다가 당시의 징계 방법은 조계종의 현 종헌・종법에도 잔존하고 있거나, 혹은 종도들의 의식 속에서 합법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어 앞으로 재발의 가능성도 높다. 이에 본고에서는 94년 개혁종단의 징계 과정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다음 세 가지 점을 율장의 규정에 비추어 검토한다. 첫째, 범승가종단개혁추진회의 주도 하에 1994년 4월 10일에 열린 전국승려대회이다. 승려대회는 초법적인 권위를 가진 대회로서 암묵적으로 허용되며 근현대 한국불교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94년 당시에도 개혁종단 성립의 일등공신이다. 둘째, 궐석심판의 문제이다. 개혁종단은 당시 반대 세력을 징계하는 과정에서 피고의 출석 없이 판결을 내렸다. 셋째, 체탈도첩(멸빈)이다. 당시 총 5명의 승려에게 체탈도첩이라는 중벌이 내려졌다. 이는 승려라는 신분을 완전히 박탈하는 징벌로 비구・비구니에게 부과할 수 있는 가장 무거운 벌이다. 이 세 가지 사안이 어떤 문제점을 각각 내포하고 있는지 율장의 멸쟁법(滅諍法)에 비추어 검토하고, 나아가 개선 방향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re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that the Reform Order, which appeared in 1994, showed in the process of punishing then-existing forces in the light of the Vinayapiṭaka. The impatient and harsh disciplinary punishments against some monks who did not support reform forces at the time is a representative issue that still hinders the harmony of the Saṃgha and creates conflict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three points, which are particularly problematic in the disciplinary process of the 1994 Reform Order, are reviewed in light of the rules of the Vinayapiṭaka. The first issue is about the National Monk Convention that was held on April 10, 1994 under the leadership of the Pŏm sŭngga jongdan gaehyŏk ch’ujinhoe (凡僧伽宗團改革推進會). The Monk Convention is implicitly regarded to have extra-legal authority,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Second, there is the issue of the default judgment. In the process of the disciplinary action against opposing groups at the time, the Reform Order issued a judgment without the presence of the defendants. The third is an eternal expulsion (褫奪度牒, 滅擯). At that time, a total of five monks were given a severe punishment called Ch’et’al toch’ŏp. This is a punishment that completely deprives a monk of his status, the heaviest punishment among those that can be imposed on a bhikṣu or a bhikṣuṇī. By examining these three issues in the light of the Adhikaraṇa-samathā dhammā (滅諍法) in the Vinayapiṭaka, I would like to clarify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discipline of the Reform Order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 KCI등재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효율적인 수행법 고찰

        이자랑(Ja Rang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8

        본 논문은 사상의학서인 『동의수세보원』에 설해진 4종의 체질과 빨리상좌부의 대표적 수행지침서인 청정도론에 설해진 선하지 못한 3종의 기질을 탐진치(貪瞋痴)라는 심리적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하며 서로의 대응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청정도론』의 기질별 수행법과 관련시켜 각 기질·체질에 따른 효율적인 수행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말기 함흥 출신의 이제마(李濟馬, 1837-1900)에 의해 창안된 사상의학에 의하면, 인간은 태양인(太陽人)·소양인(少陽人)·태음인(太陰人)·소음인(少陰人)의 4종의 체질로 분류되며 각 체질에 따라 선천적으로 몸과 마음이 이미 결정되어 태어난다고 본다. 한편, 청정도론에서도 인간을 탐하는 기질·성내는 기질·어리석은 기질·믿는 기질·지적인 기질·사색적인 기질의 6종으로 분류한다. 다만, 이 여섯 가지 기질은 불선법(不善法)과 선법(善法)으로 각각 세 가지씩 분류되어 서로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고 하는 상관관계 속에서 파악된다. 즉, 탐하는 기질·성내는 기질·어리석은 기질이 선하지 못한 불선법의 기질에 해당한다. 사상의학의 4종의 체질과 『청정도론』의 선하지 못한 3종의 기질을 탐진치 등의 심리적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해 보면, 탐욕과 자만이라는 점에서 탐내는 기질과 태음인이, 분노라는 점에서 성내는 기질과 태양인이, 근심과 걱정이라는 점에서 어리석은 기질과 소음인이 서로 대응하며, 소양인의 경우에는 탐내는 기질과 성내는 기질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정도론』에서 제시하는 기질별 수행방법에 이를 적용해 보면, 탐욕과 자만이 강한 탐하는 기질과 태음인에게는 집착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열악하고 더러운 의식주 환경에서 생활할 것이 권장되며, 구체적인 수행내용으로는 십부정(十不淨)·몸에 대한 마음챙김이라는 11가지 명상주제가 적합하다. 분노가 강한 성내는 기질과 태양인에게는 마음의 안정을 위해 잘 정돈되고 청결하며, 편안한 의식주 생활이 권장된다. 그리고 수행법으로는 자애·연민·더불어 기뻐함·평온의 사무량심(四無量心)이 적합하다. 어리석은 기질과 소음인의 경우에는 성내는 기질과 마찬가지로 편안하고 깔끔한 의식주생활이 권장되지만, 무엇보다 의식을 맑은 상태로 집중시키기 위해 자기 위주의 망상을 일으킬 수 있는 갇힌 공간을 피할 것이 강조된다. 그리고 나쁘고 해로운 법들이 일어나는 족족 즉시에 사라지게 하며 마음을 평온하게 해주는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이 권장된다. 한편, 탐욕과 성냄이라는 두 가지 기질을 지닌 소양인의 경우에는 특정한 수행환경이나 방법을 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는데,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심리적 요소를 파악하여 적절한 수행법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mpared four kinds of physical constitutions explained in Dong-ui Susebowon, a book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hich was a work on Korean medicine compiled by Lee Je-ma, and bad three types of dispositions expounded in Visuddhimagga, a representative practice manual of Theravada, based on psychological elements of greed, ill-will, and delusion, examined their corresponding relationship, and looked at efficient practice techniques according to each disposition and physical constitution by relating them to practice methods by disposition in Visuddhimagga. To compare four kinds of physical constitutions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three bad dispositions in Visuddhimagga based on psychological elements like greed, ill-will, and delusion, coveting disposition of greed and conceit corresponded with taeeumin(太陰人), angry disposition of wrath with taeyangin(太陽人), stupid disposition of worry and anxiety with soeumin(少陰人), and disposition of coveting and getting angry with soyangin(少陽人). Further, to apply ascetic methods by disposition presented in Visuddhimagga to the four different physical constitutions, living in a poor and filthy environment is recommended to taeeumin(太陰人) with coveting disposition of greed and conceit so that their obsessions can be removed. As a specific practice method, eleven meditation themes-ten kinds of foulness and mindfulness occupied with the body -are appropriate. To taeyangin(太陽人) with a disposition of getting angry with strong wrath, well-arranged, clean, and comfortable life is recommended for the stability of their mind. As an practice method for them, four divine abidings of loving kindness, compassion, gladness, and equanimity are proper. To soeumin(少 陰人) with stupid disposition, like those with a disposition of getting angry, a comfortable and clean environment is recommended but most of all, in order to concentrate their consciousness under a clear condition, avoiding a confined space is emphasized where they may be absorbed in self-centered delusion. For them, mindful of breathing that makes what is bad and harmful immediately disappear and makes the mind comfortable is recommended. Meanwhile, it is difficult to decide specific ascetic environment or method for soyangin(少陽人) with two dispositions of greed and anger; By figuring out a more notable psychological element, an appropriate ascetic method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m.

      • KCI등재

        율장에 근거한 조계종단 징계 제도의 개선 방향

        이자랑(Ja Rang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4

        본고는 율장에 근거하여, 조계종단의 현 징계제도에 보이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장에 의하면, 징계 조문을 포함한 모든 율 조문의 제정 목적은 制戒十利라 불리는 10가지로 요약된다. 이는 불교법률의 기본 원리로써, 승가의 화합과 일반사회와의 조화, 그리고 惡人의 調伏과 참회를 통한 마음의 평화와 불법 전지 등이 그 주된 내용을 이룬다. 수행자로서 잘못된 행동을 하는 자에 대해 자발적인 참회를 유도하여 죄를 벗겨주고, 청정비구로 돌아가 수행을 지속하게 해주며, 이를 통해 승가의 청정과 화합을 유지하는 것, 그리고 이는 곧 불법을 전지하는 힘이자, 승가를 바라보는 일반인의 신심을 고양시키는 원동력이 되어 승가의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율을 제정하여 지키는 목적인 것이다. 구족계 등 율을 법원으로 하는 조계종의 종헌·종법의 경우, 모든 조항의 최종적인 해석의 근거 및 정신은 이 제계십리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그러나 현 징계제도는 이러한 율장의 정신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 채, 범계자에 대한 응징과 처벌의 개념이 강한 일반 사회법에 가까운 내용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승가라는 수행자 공동체의 법률 체계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특히, 범계 행위의 확정 및 징계방법, 징계 절차, 그리고 징계자의 관리 등에 있어 율장과 심각하게 상치하는 점이 많이 발견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사안들을 직접 규정하고 있는 승려법과 호계원법을 중심으로 이들 문제점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승가의 쟁사 해결의 원칙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Based on the precepts collection(Vinaya-pitaka), this treatise is aimed at pointing out some problems revealed in the present disciplinary system of the Jogye Order and proposing a direction for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collection of precepts,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s as to all the precepts including disciplinary action are summarized in the 10 kinds of benefits obtained from observing the provisions of the precepts(制戒十利). This mainly comprises basic principles of Buddhism`s law, such as the harmony between the Buddhist clergy and the general society, showing people how to fine peace of mind through regulating behavior and showing repentance, transmission and maintenance of the Buddha`s teaching, etc. The precepts tells a practitioner who behaves badly how to voluntarily repent and be free from guilt, allowing one to return to the position of a pure and clean person and keep up the practice; through this, purity and harmony of the Buddhist clergy are maintained. All of these are the power of transmitting and maintaining the Buddha`s teaching and are also the driving force edifying laymen`s faith in the clergy, resulting in mutual benefit. This i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precepts and observing them. As far as the constitution and laws of the Jogye Order based on the precepts are concerned, the foundation and spirit of the final interpretation of all the provisions cannot go against above-mentioned 10 kinds of benefits. However, the current disciplinary system is considered undesirable as the law system of the practitioners` community of the clergy in that it contains the contents similar to those of the general laws of society, which emphasize the concept of punishment and penalty against the immoral without reflecting any spirit of the precepts collection. Particularly, seriously conflicting points with the precepts collection are found in many fields; immoral behaviors, the way of disciplinary action, the procedure of it, the supervision of the disciplined and etc. Accordingly, focusing on the monk`s law and the adjudication board act of the Jogye Order, which directly define the provisions as to these matters, this treatise tries to clarify the principle of settling disputes among the clergy.

      • KCI등재

        제정일치적 天降관념의 신라적 변용

        이자랑(Lee, Ja-rang)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법흥왕 14년(527)에 공식적으로 불교가 수용될 무렵, 신라 왕실은 무적(巫的) 종교에 기반을 두고 천강(天降) 내지 천손(天孫) 관념으로 무장한 귀족세력과 팽팽하게 맞서고 있었다. 불교는 이러한 귀족세력을 약화시키고 중앙집권적인 왕권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를 신라 왕실에 제공해 준다. 신라왕실이 왕권 강화에 불교를 사용한 대표적인 예로 거론되는 것은 전륜성왕(轉輪聖王)설, 진종(眞種)설, 왕즉불(王卽佛)사상 등인데, 이 중에서도 특히 진종설은 석가모니의 가계를 그대로 신라 왕실에 적용함으로써 석가의 권위를 빌어 신라 왕실의 권위를 부각시키고자 한 매우 강력한 왕권 강화 논리이다. 더구나 진종설은 진평왕을 중심으로 한 신라 중고기 왕실에서만 확인되는 독자적인 개념이라는 점에서 신라불교의 고유성을 밝히는데 있어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진종설을 중심으로 신라 중고기 왕실의 독특한 왕권 강화 방법의 배경과 의의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진종설이야말로 기존의 제정일치적 천강 관념을 비롯하여 신라의 지배세력들의 의식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던 ‘혈연’의식의 불교적 변용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나아가 왕권 강화에 활용된 신라불교 고유의 특징을 밝혀보고자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고대인도의 아쇼까(Aśoka)왕이 취한 왕권 강화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 문제를 논함으로써, 신라 사회의 특수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아쇼까왕이 ‘모든 사람의 평등’이라는 매우 불교적인 개념에 근거하여 왕권 강화를 도모했던 것과 달리, 신라 왕실은 오히려 석가 왕실의 가계를 모델로 삼아 ‘신라 왕실의 특별한 혈연’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왕권 강화를 도모했다고 하는 흥미로운 차이는 신라불교가 어떤 점에서 정치적 변형과 발전을 이루며 활용되었는가 하는 점을 보다 선명하게 부각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Silla(新羅) officially accepted Buddhism in 527, the 1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Beopheung(法興王, r. 514-540). At that time, the Silla royal family was evenly opposed by an aristocracy that believed in Shamanism and strongly believed in the concept of ‘descended from Heaven’(天降) or ‘Son of Heaven’ (天孫). Buddhism offered an ideology that weakened the power of this aristocracy and strengthened the centralized royal authority of the Silla royal family. Theories such as Cakravartin(轉輪聖王, Wheel-turning Sage King), Real Lineage(眞種), the King is Buddha(王卽佛) and others, are typical examples from Buddhism used to reinforce the power of the Silla royal family. In particular, the Real Lineage Theory was used to apply Śākyamuni’s(釋迦牟尼) family tree to that of the Silla royal family. This was the powerful logic us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of the Silla royal family by borrowing from the prestige of Śākyamuni. Moreover, the Real Lineage Theory is unique that it was only applied to the Silla royal family during the Mid-Ancient Silla period, from the reign of King Beopheung(法興王, r. 514-540) to King Muyeol(武烈王, r. 654-661), with special emphasis on King Jinpyeong(眞平王, r. 579-632). This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the character of Silla era Buddhism.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using special means to consolidate the sovereign rights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Mid-Ancient Silla perio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Real Lineage Theory. Then, this paper will clarify that the Real Lineage Theory is a Buddhist acculturation of the concept of ‘Descended from Heaven’, a common belief in theocracy, and the inherent sense of divine blood ties that rulers commonly felt. Futhermore, it will reveal an innate characteristic of Silla Buddhism that was utilized to reinforce royal authority.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try to point out a characteristic of Silla society through a discussion which revolving around a comparison with King Aśoka’s consolidation of power in ancient India. King Aśoka aimed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throne using a basic Buddhist concept, “the equality of all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Silla royal family reinforced its own sovereign power by emphasizing the special blood ties of the Silla royal family which they modeled on the lineage of Śākyamuni’s royal family. The differences should make it clear that Buddhism was used to influence political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in Silla.

      • KCI등재

        초기불교승가의 운영 원리와 지도자의 역할

        이자랑 ( Lee Ja-r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승가(僧伽, samgha)는 고따마 붓다의 법과 율에 근거하여 수행하고자 모인 사람들로 구성된 공동체이다. 세간과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출세간의 집단인 만큼, 운영 원리 역시 세간과는 다르다. 본고에서는 초기불교승가의 운영 원리를 정신과 물질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신적인 면에서 가장 가치를 두는 운영 원리는 `화합갈마(和合?磨, samaggakamma)`의 실행이라고 생각된다. 화합갈마란 동일한 경계 안에 속한 구성원들이 전원출석한 자리에서 올바른 진행 절차에 따라 만장일치로 결론을 내는 것을 말한다. 화합갈마를 통해 내려진 결론은 승가 운영에 있어 최고의 권위를 갖게 된다. 단 한명의 이의 제기자도 없이 구성원 전원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곧 승가 화합을 실현하는 지름길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한편, 물질적인 면에서는 `의식주의 공평한 분배`를 통해 평등을 실현하는 것이 운영 원리의 핵심이라고 생각된다. 승가에 보시된 음식이나 옷감은 구성원에게 평등하게 분배되었으며, 승원이나 토지와 같은 부동산 역시 구성원이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이 두 가지를 축으로 초기불교승가는 운영되었으며, 이것은 곧승가 운영의 최고 이념인 `화합`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승가의 화합 실현에 있어 승가의 지도자들은 실제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보았다. 승가의 지도자는 붓다가 설한 법과 율에 근거하여 올바른 판단을 하고, 이를 근거로 구성원들을 교화하며 승가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승가운영의 정신적 원리인 화합갈마가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지도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승가 운영에 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여법` 과 `평등`이라는 두 가지 운영 원리 속에 담긴 의미가 명확해질 것이며, 특히 승가의 대표적 가치 이념인 화합을 실현함에 있어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자질이나 역할의 중요성도 드러날 것으로 생각된다. Samgha is a community formed by people who gather to practice Buddhism according to the laws and rules of Gotama Buddha. Since it is a group of people who pursue valu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eneral public, its managing principle is also different. In this paper, we examine managing principles of early buddhist samgha from both spiritual and materialistic perspectives. On the spiritual side, practicing “samaggakamma”(和合?磨) was the most valued principle, indicating that all members of a group were present and could reach a unanimous conclusion according to proper procedures. The resulting conclusion had the highest order of authority in terms of managing samgha. In other words, drawing a unanimous agreement without a single opposing view was perceived as a shortcut to realizing harmony in samgha. From the materialistic perspective, the key to managing the principle of samgha was to achieve equality through “fair distribution of clothes, food and living areas.” Food and clothing offered to samgha were evenly distributed among the members, who also had equal access to using the temple property and land. Early Buddhist samgha was managed based on these two principles, which were viewed as concrete methods of achieving “harmony,” the noblest value in the management of samgha. Going further, we examine the role of samgha leaders in achieving harmony. It seems that a leader of samgha was expected to make right judgments based on the laws and rules of Buddha, enlighten samgha members accordingly, and guide samgha in the right direction. The role of a leader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ensuring that the spiritual principle of managing samgha ― that is, samaggakamma ― is duly achieved. We expect that our discussion will help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wo core management principles of samgha, namely harmony and equality, and underscore the qualifications and role of the samgha leader in achieving the highest value of harmony.

      • KCI등재

        결집과 불교 정전(正典)의 편찬

        이자랑 ( Lee Ja R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5

        본고에서는 인도 불교사의 초기에 이루어진 제1∼3차 결집(結集)을 중심으로 불교의 정전화(正典化) 과정을 살펴보았다. 불교 정전은 삼장(三藏, tri-pitaka)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경장·율장·논장의 셋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장에는 교리적 가르침이, 율장에는 승가의 일원으로서 지켜야 할 규율과 관련된 가르침이 담겨 있다. 한편, 논장은 경장에 담겨있는 내용을 철학적으로 연구하여 조직하고 정리한 것이다. 대부분의 불교 문헌들은 삼장이 결집이라 불리는, 일종의 `정전 편찬회의`를 통해 편찬·전승되어갔다고 전한다. 불교 역사상 지금까지 총 6회의 결집이 실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중 초기에 이루어진 제1∼3차 결집에 관해서는 그 역사성을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있다. 하지만 정전화와 관련하여 대다수의 불교문헌이 이들 결집을 언급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먼저 이들 관련 전승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사실적 요소를 가려내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제1차 결집은 붓다가 설하고 제정한 법과 율을 있는 그대로 보존하고 전승한다는 입장에서 이루어졌고, 암송에 탁월한 능력을 지닌 일부 비구들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그 후 100년 정도의 세월이 흐르면서 구성원들 사이에서 일상생활과 관련된 율 조문의 실천과 이해를 둘러싸고 의견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교단에 분열을 발생시켰고, 나아가 각자의 이해를 반영하여 독자적인 정전을 만들려는 움직임도 야기한다. 분열은 결집의 형태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외부 세력의 개입이 용납되지 않았던 제1·2차 결집과는 달리, 제3차 결집에서는 왕이라는 권력이 개입하여 결집 내용을 인도 각지에 전파하는 전도사 파견을 지시하고 있다. 이 시기에 이르면, 정전의 유지 및 전승이 승가 내부의 차원을 넘어 국가 권력과도 관련을 갖고 실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제3차 결집 이후에 실행된 대부분의 결집이 왕의 지원을 받아 특정 부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제3차 결집은 불교 정전화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분기점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Buddha`s teaching as the authorized Buddhist canon, with a focus on three councils that took place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As the word tri-pitaka(三藏) indicates, the Buddhist canons are composed of Sutra-pitaka(經藏), Vinaya-pitaka(律藏) and Abhidharma- pitaka(論藏). The first two contains teachings on doctrines and disciplines for monks, and the latter includes the contents of philosophical and systematic study on the Sutra-pitaka. Most of the Buddhist texts tell that the tri-pitaka were compiled and handed down through councils. In the history of Buddhism, a total of six councils were held, but scholars have not reached a consensus on the problem of whether the first three are historical facts or not. But,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Buddhist literature refers to these councils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uthorized Buddhist canon, I think it is best to review these related traditions critically and to identify factual elements. The first council was carried out with aim of preserving and passing down the teachings of Buddha, and it is presumed to have been handed down to some bhikkhus with excellent ability in recitation. However, about 100 years later, there is a disagreement among members about the practice and understanding of the rules related to daily life. As a result, it has caused divisions in the denomination, and it also creates a movement to create an independent canons that reflects their understanding. The schism seems to have influenced the form of the councils. Unlike the first and second councils, in which intervention of external forces was not allowed, in the case of the third councils instructed the dispatch of the missionaries to spread the contents of the council to all parts of India. By this time, it is possible that the maintenance and tradition of the canons could have been carried out in relation to the state power beyond the dimensions of Samgha.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councils that have been held after the third council are supported by the king and are centered on a particular sect, the third council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uthorized Buddhist canon.

      • KCI등재

        초기불교승가의 소유와 분배

        이자랑(Lee, Ja-rang)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모든 생산 활동의 금지, 하루 한 끼의 식사, 삼의일발(三衣一鉢), 사의(四依) 등등. 불교 수행자의 의식주 생활과 관련하여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이 원칙들은 불교가 철저한 무소유를 지향한 종교였을 것이라는 막연한 선입관을 갖게 한다. 그런데 승가의 일상을 담은 율장(律藏, Vinayapiṭaka)을 보면, 승가는 이미 초기 단계부터 신도의 초대식에 응하고, 정사나 거사의(居士衣)를 수용하는 등 안정된 의식주 생활을 향유하고 있다. 수행자에게 있어 너무 사치스럽다거나 재가신도의 경제사정을 위협할 정도가 아니라면, 율장에서는 보시물의 수용에 큰 제한을 두지 않는다. 붓다의 관심은 물질적 소유의 여부 그자체가 아닌, 물질에 대한 욕망과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물질을 눈앞에 두고 욕망과 집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출가자의 의식주 생활이 담긴 빨리율을 중심으로 비구 개인의 소유 및 승가 차원에서의 분배 원칙을 확인함으로써, 물질과 욕망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붓다가 어떻게 다스려갔는가 하는 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비구의 의식주 생활에 관한 조문을 검토한 결과, 다음 세 가지 관점에서 이 문제가 조절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개인적 소유의 관점이다. 삶에 필요한 최소한의 소유라는 원칙을 통해 물질에 대한 욕망이나 집착이 발생할 수 있는 여지는 차단하지만, 결코 육체를 괴롭힐 정도의 무소유를 지향하지는 않았으며 평안한 수행 생활을 위한 충분한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는 승가 차원에서의 분배의 관점이다. 대부분의 물질을 승가 소유로 하고 모든 구성원에게 불만 없이 분배함으로써 구성원들에게 소유욕을 키우지 않으면서도 모든 구성원들이 거의 동일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셋째는 비구 개개인의 인식 변화라고 하는 관점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몫에 대한 만족과 타인에 대한 양보를 통해, 물질에 대한 탐욕이나 집착이 아닌 평안한 공유와 화합을 강조하고 있다. The prohibition of all the production activities, one meal a day, three robes and one bowl (三衣一鉢), and the four necessities(四衣), are the principles which are mentioned as the Buddhist practitioners’ archetypal live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se principles make us have a vague prejudice that Buddhism was a religion aimed at thorough non-possession. However, if we look at the collected Buddhist precepts (律藏, Vinayapiṭaka) that prescribe the daily lives of Buddhist monastic communities, we can see that, from Buddhism’s earliest history, Buddhist communities lived comfortably with food, clothing and shelter provided by lay believers who would invite Buddhists to dinner and/or donate all their necessities. As long as something is not too extravagant and doesn’t place an economic burden on the donor, the Buddhist precepts do not place much restriction on what can be donated. Buddha’s concern was not the possession or the non-possession of materials themselves but the liberation from desire for and attachment to materials. However, it may not have been easy to not have desire and attachment before the materials. This treatise intends to confirm how Buddha tried to mitigate the problems that sometime arise from excessive want and attachment to things by consideringthe principles that regulate what a monk can possess and the distribution of goods within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I will focus on the Vinayapiṭaka that deals with the distribution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monks. From a review of these provisions in the Vinayapiṭaka, I will confirm how the distribution of these things was designed to overcome excessive want and attachment. The first thing we must look at is allowable individual possessions and how want and attachment to things is blocked by the principle of having only enough to live but not to the point of tormenting the body. Consideration must also be given to living a life of Buddhist practice without excessive discomfort. The second thing we must look at is the distribution of wealth within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The Buddhist community views almost a11 material goods as belonging to the Buddhist community and distributes them among a11 members without anyone feeling slighted. Monks therefore develop no attachment to things but accept such distribution with almost a feeling of contentment. The third aspect we must look at is the individual monks’ change in perception. By being satisfied with what they have and conceding to others, they emphasize peaceful co-ownership and harmony, not lust or attachment to things.

      • KCI등재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

        이자랑(Lee, Ja-R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4

        불멸(佛滅) 후 100년경부터 시작된 불교교단의 분열은 이후 200~300년 동안 이어졌으며, 그 결과 교단은 18 혹은 20여개의 집단으로 나뉘었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이 기간을 ‘부파불교(시대)’, 이때 발생한 각 집단을 ‘부파’라고 부른다. 분열 기사를 전하는 제 전승을 통해 분열의 원인 등을 엿볼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이들 부파는 주로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부파 분열사에 대해 직접 언급하는 이들 자료를 통해서는 부파 발생의 원인은 파악할 수 있어도, 각 부파의 성립 요건이나 운영 실태까지 알 수는 없다. 다시 말해, 불멸 후 100년경에 발생하여 이후 인도불교사의 주역으로 활동했던 여러 부파가 실제로 어떤 성격의 집단이었으며, 하나의 부파로 인식되는 기준은 무엇이었는지 명확하지 않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에서 부파의 실상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부파의 정체성 확립에 있어 특히 ‘율(律, vinaya)’이 갖는 의미의 중요성이 근년 지적되고 있다. 기존에는 교리에 대한 해석의 차이가 곧 부파의 발생 원인이자, 교리 그 자체가 각 부파의 성격을 규정짓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이라고 생각되어 온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근년에 이루어진 많은 연구들은 동일한 율의 수지가 곧 동일한 부파에의 귀속 의식을 심어주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을 것이라는 점에 동의한다. 예를 들어, 빨리율에 근거하여 파승(破僧, saṃghabheda)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베헤르트(Bechert)의 연구는 동일한 갈마(羯磨, 승단회의)의 실행 여부가 독립된 현전승가(現前僧伽)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건이었음을 보여준다. 부파 역시 하나의 독립된 현전승가를 기준으로 성립되었을 것이므로, 이 연구 결과는 부파 분열과 관련해서도 유용하다. 또한 부파 간에 갈마설의 차이에 의해 자파와 타파를 구별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예도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동일한 구족계를 받고 동일한 갈마를 실행하며, 동일한 규범에 따라 생활하는, 이른바 ‘율의 공유(共有)’야말로 부파의 가장 중요한 성립 요건이었을 것이라는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division of the Buddhist order started around 100 years after the Buddha’s death and continued for 200~300 years. As a result, the Buddhist order was divided into 18 to 20 groups. The academic circles call this period ‘Sectarian Buddhism(Era)’ and each group that was generated in this period is called a ‘sect’. The causes of the division can be inferred from the transmitted documents about the division stories. According to them, the sects seem to have been generated by th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Buddha’s teaching. However, even though the cause of the generation of sects can be understood from these documents that directly mention the history of the division, the conditions of the establishment of each sect and their operation status cannot be known. In other words, the actual character and the criteria for recognizing a sect are not clear about the several sects that were established around 100 years after the Buddha’s death and played major roles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m, the reality of the sects need to be examined from various angles. Regarding this problem, the importance of the meaning of vinaya 律 in the identity of sects has been pointed out in recent years. In the past,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doctrines had been believed to be the cause of the generation of sects and the doctrines themselves to be the most fundamental factor that determine the character of each sect. However, many recent studies agree that the same vinaya w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the sense of belonging to a sect. For example, the study by Bechert, which specifically revealed the concept of saṃghabheda 破僧 based on Vinayapiṭaka 律藏, shows that the practice of the same kamma 羯磨 was the absolute condition that determine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sammukhībhūtasaṃgha 現前僧伽. This finding is also relevant with regard to the division of sects because the sects must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an independent sammukhībhūtasaṃgha. Furthermore, some examples show the possibility that sects were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ces of kammavācā 羯磨語. According to these examples, the sharing of vinaya which involves the receiving of the same upasampadā 具足戒, the practice of the same kamma, and compliance with the same norms was likely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sect. In this paper,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sects in Indian Buddhism is addressed based on these results of research, while investigating such issues as the ‘sharing of vinaya’ and the establishment of sects, and Mahāyāna as a school that did not form an independent religious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