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모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Black Raspberry 발효주의 품질 특성

        이윤지(Yoonji Lee),김재철(Jae Cheol Kim),황금택(Keum Taek Hwang),김동호(Dong-Ho Kim),정창민(Chang Min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5

        시판 효모 4가지(Fermivin, FM; Saf-instant yeast red, SI; Angest wine active dry yeast, AW; Angest instant yeast high sugar, AI)를 이용하여 복분자 발효주를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FM(2.7%)과 AI(2.8%)가 SI(2.4%)와 AW(2.5%)보다 높았으며, 검출된 주요 유리당인 glucose의 함량은 AW와 AI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알코올 함량은 AW(11.95%)에서 가장 높고, SI(11.75%)에서 가장 낮았다. pH는 FM(pH 3.73)에서 가장 낮았으며, 총 산도는 효모별로 차이가 없었다. 모든 시료에서 검출된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였으며, 효모별로 검출된 유기산 함량은 달랐다. Malic acid의 경우 SI(2.92 mg/mL)에서 가장 많았고 AI(1.83 mg/mL)에서 가장 적었다. L, a, b 값은 SI에서 높고 AI에서 낮았으며, 탁도는 효모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복분자 발효주의 total phenolics와 total anthocyanin 함량은 효모 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국내에서 판매되는 수입산 레드 와인보다 높았다. 항산화능 역시 효모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FM, AI, AW, SI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능 지표에는 total phenolics와 anthocyanin의 함량뿐만 아니라 anthocyanin 조성도 영향을 미쳤다. Four different yeasts (Fermivin (FM), Saf-instant yeast red (SI), Angest wine active dry yeast (AW) and Angest instant yeast high sugar (AI)) were used for the fermentation of black raspberry wine. The amount of reducing sugars in FM (2.7%) and AI (2.8%) were higher than those in SI (2.4%) and AW (2.5%). The amount of glucose (the major free sugar) was higher in AW (2.57 mg/mL) and AI (2.50 mg/mL) than FM (2.03 mg/mL) and SI (1.75 mg/mL). AW (11.95%) had the highest alcohol content, while SI (11.75%) had the lowest. The pH of FM (pH 3.73) was the lowes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acidity among the samples. The major organic acid in the wines was citric acid (6.71∼8.18 mg/mL) and the amount of organic acids depended on the type of yeasts. The amount of malic acid was highest in SI (2.92 mg/mL), and lowest in AI (1.83 mg/mL). The Hunter color test showed that SI was highest in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whereas AI was low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urbidity between the samp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henolic contents (TPC)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TAC). However, the TPC and TAC of black raspberry wines were higher than those in commercial red win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wines (determined by ABTS and FRAP) increased in the order of FM, AI, AW and SI. It could not be concluded which yeast is adequate for the fermentation of black raspberry wine because any of the tested yeasts showed the best in all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ines.

      • 전후(戰後) 일본의 닌자 캐릭터 고찰

        이윤지 ( Yoonji Lee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5 No.-

        본 연구에서는 시바 료타로의 소설 『올빼미의 성』과 이를 영상화한 두 편의 영화를 중심으로 전후 일본 닌자 캐릭터의 특징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서 왜 조연이던 닌자가 재조명이 되었고, 메이지기의 영광을 그리던 소설가 시바는 무사가 아닌 생소한 닌자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는지 분석하였다. 이는 1960년대의 고도경제성장 속 닌자와 1990년대의 불황기의 닌자의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바 료타로의 닌자는 영화로도 이어져, 1960년도의 닌자 캐릭터는 고도성장기라는 밝은 미래를 안고 있는 일본을 그렸다. 그렇기 때문에 내면에 대한 고찰보다는 닌자의 격렬한 전투와 캐릭터 자체를 관객에게 보여주었다. 반면, 1990년 버블경제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자살을 하는 등 일본이란 국가에 큰 혼란이 왔다. 그로인해 1999년 영화에 이러한 정서를 담고 있다. 주인공인 주조가 아닌 고헤이가 자신의 본질을 찾는 모습으로 끝을 맺는 부분은 관객들이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면서, 자신의 주체를 잊지 말라는 감독의 메시지를 주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Ninja character’s features through the original book‘Owl’s palace’ written by Shiba ryotaro and two movies telling about the story. We analyzed why Ninja characters which were the supporting roles in the past are reviewed currently and why Shiba, who wrote about the honor of the Meiji Restoration, used Ninja characters instead of warriors in his works. We can understand these points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1960’s Ninja in rapid economic growth and 1990’s Ninja in business depression. As time goes by, Ninja’s features have changed little by little but Ninja’s big frame did not change. Ninja’s image was a way of nationalism to unite the citizens living in the confusing society. These movies showed the audience the Ninja character itself in fierce fighting instead of the consideration of Ninja’s mind. Meanwhile 1990’s bubble economy caused the people to panic followed by the situation that most of the people killed by themselves. 1999’s movies showed this atmosphere well. The movie concluded that ‘Kohei’ instead of the main character ‘Jeujo’ found himself. So it delivers the director’s message that the people who go through the difficult situations should not forget about their identitie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이윤지(Yoonji Lee),이해창(Haechang Yi),황금택(Keum Taek Hwang),김동호(Dong-Ho Kim),김현정(Hyun Jung Kim),정창민(Chang Min Jung),최윤호(Yoon-Ho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2

        본 연구에서는 전분원료의 종류, 쌀의 도정도, 누룩의 종류를 달리하여 담근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는 쌀보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낮았고, pH 및 총산함량은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기산은 각각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였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각각 4.0∼5.6 mg/mL와 3.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기산 함량이 더 많았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리당은 glucose였으며,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76.41∼54.53 mg/mL와 67.7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리당 함량이 더 많았다. 색도는 쌀 품종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며,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b 값은 양의 값으로 황색이 진했다. 관능평가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보다 기호도 점수가 더 높았다. 쌀의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acet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나, pH, 총산, 유리당, 색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쌀의 도정도는 과실향을 제외한 기호도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pH는 각각 4.29∼4.65와 4.20∼4.23으로 전통누룩으로 만든 막걸리의 pH가 더 높았으며, 총 유기산 함량도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3.5∼6.3 mg/mL)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2.3∼4.3 mg/mL)보다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9.44∼73.34 mg/mL)가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6.45∼59.75 mg/mL)보다 많았다. 색도는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보다 L, a, b 값이 높았으며, 관능적 기호도 점수는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만든 막걸리에 비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나, 쌀의 품종에 의한 품질 차이는 없었다. 쌀의 도정도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은 향미의 관능적 특성 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도정을 많이 할수록 막걸리의 향미가 좋아졌다. 누룩 종류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분석 결과, 전통 누룩에 비해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이 더 좋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도정도가 높은 쌀을 전분질 원료로 하고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막걸리를 담근다면 품질이 우수한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and compare makgeolli (a Korean rice wine) made using different raw materials. Five cultivars of rice and wheat flour were used as starch materials for makgeolli and assessed for their moisture, crude lipid, crude protein, and crude dietary fiber content. Overall, wheat flour was higher in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and lower in moisture than rice. Makgeolli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for pH, total acids, organic acids, free sugars, color and appearance.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and total acids between makgeolli made from rice and wheat flour. In addition, the major free sugar in the makgeolli made from rice and wheat flour was glucose, although the content of total free sugars was lower in the wheat flour makgeolli (67.75 mg/mL) than the rice makgeolli (76.41~84.53 mg/mL). In terms of organic acids content,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wheat flour makgeolli, while the major organic acids of the makgeolli made from rice and wheat flour were lactic acid and succinic acid,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values among rice makgeolli, but the rice makgeolli was higher in sensory scores (indicating preference) than the wheat flour makgeolli. As the degree of milling increased, moisture,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in the rice decreased. Acetic acid in the makgeolli also decreased,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total acids, free sugars, color values, and sensory scores (except fruitiness). Traditional nuruk (TN) and cultured nuruk (CN) were compared as fermentation starters. Nuruk is a Korean traditional starter for fermentation of makgeolli and a raw material for makgeolli making. The pH in the makgoelli made with TN and CN were 4.29~4.65 and 4.02~4.23, respectively. Total organ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TN makgeolli (3.5~6.3 mg/mL) compared to the CN makgeolli (2.3~4.3 mg/mL). The content of free sugars in the makgeolli made with CN was higher (59.44~73.34 mg/mL) than that with TN (56.45~59.75 mg/mL). The Hunter color test showed that makgeolli made with TN was lighter and higher in red and yellow color compared to CN. Overall sensory acceptability was higher in the CN makgeolli compared to the TN makgeolli.

      • KCI등재

        직업상담사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이윤지 ( Yoonji Lee ),안윤정 ( Yoonjung 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직업상담사의 직무환경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업안정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387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업상담사의 직무환경, 심리적 소진, 자기격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직업상담사의 직무환경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셋째, 직업상담사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 하위요인 중 행동적 자기격려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격려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다양한 상담 분야 중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장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업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고, 자기격려를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vocational counselors' job environment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this end, surveys were performed with vocational counselors working at job security organizations, and 387 survey shee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job environment,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encouragement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Second, the job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burnout. Third,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ncouragem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tional counselors’ job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self-encouragement and have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research areas for vocational counselors.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and improve self-encouragement in vocational counselors.

      • KCI등재후보

        경련을 증상으로 내원한 유기인산 중독 소아환자 1예

        장준호(Joon Ho Jang),이윤지(YoonJi Lee),이정현(Jung Hyun Lee),오진희(Jin Hee Oh),김종현(Jong Hyun Kim),유일한(Il Han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3

        Seizure is a temporary symptom or sign which is caused by an abnormal electrical stimulation of brain. Depending on whether a seizure has preceding factors or not, it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provoked and unprovoked seizure. In provoked seizure, it is important to find a cause for treatment.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report a case of a 6 year-old male child with seizure caused by organophosphate poisoning. The patient s chief complaint was his decreased mental status accompanying seizure. Initially, status epilepticus was suspected but the response to anticonvulsants was not good, and resulted in prolonged respiratory failure. After 3 hours, the patient showed signs of cholinergic crisis. In response, atropine was administered and the condition improved. If respiratory failure or mental confusion persists even after cessation of seizure in status epilepticus, repetitive physical and neurological examinations should be carried out to find preceding factors. Even though the recent incidence of organophosphate poisoning has decreased, we would like to emphasize from our study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eceding factor for seizure.

      • 합성곱 신경망 기반 유튜브 동영상 섬네일 스타일 분석

        김진아(Jina Kim),고지수(Jisu Ko),이윤지(Yoonji Lee),임주연(Juyeon Lim),고민삼(Minsam Ko)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논문은 10 개 장르에 대하여 한국, 미국의 인기 유튜브 영상 4,863 개의 섬네일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표 섬네일 스타일을 도출하고 장르별 국가별 주 사용 스타일을 이해하였다. 사전훈련 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을 사용하여 섬네일 이미지의 시각적 특성을 추출하였고, 계층적 클러스터링을 통해 원본 영상과 편집 효과 사용에 따른 5 개의 대표 스타일 유형을 도출해냈다. 또한, 한국과 미국 국가, 그리고 장르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섬네일 스타일이 무엇인지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 별 장르 별로 영상의 섬네일을 디자인 할 때 어떤 요소들을 고려해야 할지를 보여준다.

      • 맥락정보에 기반한 스마트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정보 디자인

        박지우(Jiwoo Park),김진(Jin Kim),박준(Jun Park),이윤지(Yoonji Lee),이유진(Yooji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6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6 No.5

        By applying advanced IT technology, the current automobile is tending to become more intelligent. Thereby, as a smart mobility, convergence of telematics and display technology increases the role of IVIS(In-Vehicle Information System) and HMI(Human-Machine Interface). Information of Smart car’s user interface manages the data from drivers, vehicles, telematics and external environment, which is bound to be complex and flexible. Therefore, when it is come to consideration of drivers’ safety and convenience, it is required to provide some integrated navigation information service.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information of navigation especially shown in the center stack head-unit display because most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driver and in-vehicle software system interface occurs in head-unit display. On the basis of context-awareness theory, driving context can be divided into 5 kinds of contexts, which have similar contextual features each other.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of driving contexts, various tasks while drivi ng have been arranged through the contextual inquiry. The survey has summarized the tasks based on before-d riving, driving, after-driving. The tasks entail many detail activities and contextual informations can be provided. After the survey, the process of virtual driving scenario has been carried out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xtual informations. In consequently, workflow model based on driving contexts and contextual UI infor mation structure give its significance on presenting the guidelin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mart car navigation UI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