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활성화 전략

        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Working Paper Vol.- No.-

        Technology transfer from public research institutes is receiving an ever increasing importance in today’s fast growing economy. Many factors have been cited as influencing the transfer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strategy of institutes which is characterized by technology strategic factors and organizational/institutional factors. Methodologically, the technology strategy is represented by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applied patents, and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is indicated by the number of licensing contracts and royalty income. To further improve the contribution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rough technology transfer, we argue that individual institutes become more specialized in specific field and become more open to collaboration. It is also recommended th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gather together since it is easy to form the consortium of technology licensing office and it is not necessary to be located near the industrial field.

      • KCI등재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경쟁력 평가: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의 비교 분석

        이윤준,김정호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2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and foreign top-level research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entrepreneurial research university. It evaluates the competitiveness by using indicators for both classical competitiveness, such as academic research impact, and entrepreneurial competitiveness, such as research-based value creation, and statistically tests whether the mean of competitiveness significant differs between the Korean and foreign university groups. Empirical results show the Korean research universities tend to have overall lower competitiveness than foreign ones, but they have comparable competitiveness, depending on types of university and indicators. For example, Korean research universities have lower competitiveness for value creation, measured by technology transfer income and research spin-offs, than foreign ones. The Korean general research universities have lower competitiveness for challenging research, but comparable competitiveness for some indicators of innovation research team (e.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industry collaboration) and value creation (e.g. basic patents), than corresponding foreign ones. On the contrary, the Korean research universities specialized on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comparable competitiveness for some indicators of challenging research (e.g. publications in top journals and citations), innovation research team (e.g. multidisciplinary research and industry collaboration) and for value creation (e.g. commercial impact of research), compared to corresponding foreign ones. 본 연구는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경쟁력 관점에서 국내의 유수 연구중심대학과 해외 명문 연구중심대학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의 학술적 영향력과 같은 전통적 경쟁력뿐만 아니라 연구의 가치 창출과 같은 기업가적 경쟁력 측면을 함께 반영한 지표를 이용하여, 국내⋅외 연구중심대학 간에 경쟁력 차이가 유의한지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상위권 연구중심대학들은 해외 상위권 연구중심대학들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경쟁력이 낮지만, 대학의 유형과 경쟁력의 세부 지표에 따라서 해외 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경쟁력을 갖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국내 연구중심대학은 해외 연구중심대학에 비해서 가치 창출 중 기술이전 수입과 연구기반 창업 성과가 낮다. 국내 종합대학은 해외 종합대학에 비해서 도전적 연구의 전반적 지표에서 경쟁력이 낮지만 혁신적 연구 팀의 일부 지표(국제 공동 연구, 산학 연구), 가치 창출의 일부 지표(기본 특허)에서는 해외 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경쟁력을 갖고 있다. 반면, 국내 이공계 특화대학은 도전적 연구의 일부 지표(최상위 저널 논문 게재, 논문의 피인용도), 혁신적 연구 팀의 일부 지표(연구분야 다중성, 산학 연구), 가치 창출의 일부 지표(연구의 상업적 영향력)에서 해외 이공계 특화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경쟁력을 갖고 있다.

      • KCI등재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활성화 전략

        이윤준 기술경영경제학회 2008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6 No.1

        Technology transfer from public research institutes is receiving an ever increasing importance in today`s fast growing economy. Many factors have been cited as influencing the transfer performanc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trategy of institutes which is characterized by technology strategic factors and organizational/institutional factors. Methodologically, the technology strategy is represented by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applied patents, and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is indicated by the number of licensing contracts and royalty income. To further improve the contribution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rough technology transfer, I argue that individual institutes become more specialized in specific field and become more open to collaboration. It is also recommended th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gather together since it is easy to form the consortium of technology licensing office and it is not necessary to be located near the industrial field.

      • 신성장동력 사업과 지역 혁신 사업의 연계 전략

        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세계적인 경기침체 등으로 경제가 악화되면서 정부는 경제위기 극복과 함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강조하였다. 정부는 또한 광역경제권별 선도산업과 신성장동력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의 신성장동력 창출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아직까지 거의 모든 경제활동의 수도권 집중화는 해결되지 못한 실정이며, 지역의 성장 또한 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별 미래 성장동력 분야를 재설정하고 주체 간 바람직한 역할 분담을 제사함으로써 지역의 신성장동력 창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내용· 지역별 신성장동력기술 R&D 투자 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투자가 경기도, 서울, 대전광역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개발연구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대기업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편이며 대전시의 경우 출연(연)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대부분의 지역은 대학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또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성장기, 도입기의 순으로 투자가 집중되어 있다. 신성장동력 분야 투자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정부가 추진하는 광역권별 신성장동력 추진과는 어느정도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R&D의 개념, 대상 및 범위에 대한 통일된 정의가 없어 성과분석, 평가 및 환류에 어려움이 존재하며, 중앙정부에 대한 재원의존도가 높아 지자체 의견이 반영될 여지가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지방의 자체기획 부족과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사업 추진으로 지역의 역량을 반영하지 못하고 중복 등의 비효율이 발생하며, 부처간, 사업간, 지역간의 연계 미흡으로 인해 규모의 경제 달성에는 한계가 있다. 지역별 유망 분야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는 지역별 특허, 기업 및 산업 특성 요인들을 감안한 벤처의 탄생 및 생존 분석 결과를 최종 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도출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는 보조적인 기준으로 지역별 인력분석, 특허분석, 지역경제 파금효과분석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분석 결과 모든 지역이 수도권, 대전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 및 대전은 국가혁신체제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특허 및 기술이전을 통해 살펴보면 국내 대학의 주된 공동 출원 및 기술이전 대상 지역은 동일 시·도인 반면, 출연(연)은 타 광역권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성장동력 추진을 위한 중앙-지역 역할분담 측면에서는 인프라 조성과 관련한 시범단지 조성, 제품개발/디자인개발 지원센터 설립, 벤처 집적지 확충 등에 있어 지방정부의 역할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 클러스터 형성 지원, 지식교류 네트워크 활성화 등의 산학연 협력에 있어서도 지방정부의 역할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지방정부 역할이 확대되어야 할 사업화 및 창업지원 세부정책으로는 기업 제품화/사업화 지원, 학연 연구자 창업 지원 및 겸직 활성화, 기업 spin-off 지원이 해당된다. 지역의 신성장동력 창출 사례로는 대전의 의약바이오산업 사례, 광주의 광산업 사례, 경남의 풍력 산업 사례, 대구의 섬유사업 사례 등이 있다. 이 지역들의 신성장동력 창출의 성공요인으로는 지역의 미래 유망산업을 선정할 때 지역여건을 반영하여 타 지역과는 차별화되고 세분화된 산업을 선정하고 육석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산·학·연·관 혁신주체 및 기관들의 공간적 집적과 네트워크를 구출하여 성공적인 클러스터 형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궁극적으로 국가차원의 정책과 지역수요·역량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을 추구하여, 중앙-지방 통합형 혁신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 지역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지역 여건 및 역령을 반영한 지역별 유망 분야를 선정하여야 한다. 지역별로는 유망 벤처 사업군 및 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중심의 부품소재 기업 육성을 통해 지역 신성장동력을 창출해야 하며, 중앙정부는 16개 시·도별 혹은 광역경제권별로 분야를 특화하기보다는 다양한 산업이 자리 잡고 커나갈 수 있도록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 또한 분야에 따른 지역별 생산유발 및 고용유발 효과의 편차를 고려아혀 지역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정책제언· 첫째,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지역혁신체제는 지역대학과 이들 기술지식자본을 산업화로 연결하는 벤처기업을 큰 두 개의 축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둘째, 지자체 주도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해서는 지역차원의 기획능력 확충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의 추진을 위해 지자체 주도의 포괄·위임 R&D예산 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간, 부처간 협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지역혁신 거버넌스 구축이 이우어져야 한다.

      • [技術硏究]Unix운영 체제 상의 DBMS를 위한 Physical Level Interface

        이윤준,김진호,장재우,홍기형,오상헌 한국정보과학회 1988 정보과학회지 Vol.6 No.3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하부 구조는 일반 운영 체제가 제공하는 기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러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요구 조건에는 충분치 못하다. 그러므로 본문에서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하부 구조에서 필요한 주요 사항을 일반 운영 체제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사항을 고려하여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하부 구조를 설계하고 물리적 단계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였다. The low level of DataBase Management System(DBMS) is deeply influenced by Operating System (OS). The existing OSs have been designed for general purpose applications. But they do not provide the sufficient facilities which are required to implement DBMS.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primitive functions of general OS to the facilities which the lower parts of DBMS should provide. On the basis of the comparisons. we also design the low level of DBMS and define its physical level interface.

      • 지역 기술개발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이윤준,박동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STEPI Insight Vol.- No.70

        지식기반 경제 하에서는 자원과 역량이 집적된 광역경제권의 혁신역량이 전체 국가경쟁력으로 이어지고 우리 정부도 지역혁신체제를 광역경제권으로 전환함으로써 지자체중심, 규모화, 특성화를 지향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광역경제권은 그 규모에 비해 경쟁력과 잠재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역과학기술정책이 현 정부의 철학인 지자체중심, 특성화, 지역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지역 기술개발활동의 현황 및 문제점을 짚어보고 일본, 영국, 프랑스, 미국 등 해외 주요국의 지역정책 추진체계에 대해 살펴본 후 다음과 같은 4대 중점 추진 과제를 제시하였다. [과제 1] 지역R&D의 개념, 대상과 범위에 대한 명확한 정의 도입[과제 2]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사업 추진을 위한 지방R&D 재원 확대[과제 3] 특성화ㆍ분권화를 위한 지역 R&D 사업구조개편[과제 4] 지역 간, 부처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지역혁신 거버넌스 구축

      •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개선방안

        이윤준,정승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Issues & Policy Vol.- No.-

        □ 주요내용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기술이전촉진법” 제정 이후 기술이전 활동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고, 2001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정 이후에야 국가 연구개발 성과의 이전을 통한 확산과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실적은 특허의 출원/등록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매년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제도를 도입(2007년)하여 대학발 창업 및 학교기업 설립 등을 통한 직접사업화도 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보고서는 국내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현황 및 문제점, 기업설립을 통한 기술사업화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개선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과 대안을 제시했다. □ TLO (Technology Licensing Office, 기술이전전담조직)의 단계적 지원 및 독립부서화 추진 - 단계별로 전문인력 지원을 확대하는 방식의 TLO 지원 - TLO의 독립부서화를 추진하고 향후 TLO 기업화(별도법인) 추진 지원 □ 기술사업화 전문기관의 업무와 기술사업화 전문펀드 운영업무의 긴밀한 조직적 결합 필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