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적 기대가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축적에 미치는 효과

        이윤수(Yoonsoo Lee),우석진(Seokj in Woo)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4

        본 논문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가 자산축적에 미친 효과를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고령화패널 1, 2차년도(2006, 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산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학력, 성별, 자녀수는 어떤 분위에서도 유의한 결정요인이었다. 특히, 학력과 자녀수는 상위 분위로 갈수록 총자산의 격차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의 경우, 증여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좀 더 긴 수명을 기대할수록, 베이비붐 세대는 좀 더 많은 자산축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노후 생활에 대한 국가의 보장 정도가 개인의 자산축적을 구축하는 정도는 총자산 하위 분위 보다는 상위 분위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위 분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retirement-related subjective expectations on the capital accumulation of the Korean baby-boom generation. Using the 1st, 2nd waves of the KLoSA (2006, 2008), we estimate the distributional effects with quantile regression. In addition, the endogeneity of the expectation variables is handled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The quantile regression results reveal that the schooling, gender and the number of children are important determinants, but their effects are heterogenous across quantiles to a significant margin. The expectations of the stronger bequest motives and longer lifespan turned out to lead to more capital accumulation. The expectation regarding the expanded role of government retirement support seemed to crowd out private savings for the baby boomers with the total assets over 0.7 percentile.

      • KCI등재

        COVID-19 환경에서 전망이론에 근거한 직원들의 사용자 주도 정보기술에 대한 저항에 관한 사례연구

        이윤수(YoonSoo Lee),한인구(Ingoo Han) 한국경영학회 2022 Korea Business Review Vol.26 No.2

        M회사는 2017년부터 SSIT의 도입을 추진해 왔다. M회사의 SSIT의 도입은 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었는데 COVID-19의 영향으로 실적이 악화된 본부들에서 2020년 중반부터 SSIT의 도입이 활성화 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M회사의 사례연구를 통해 전망이론을 기반으로 COVID-19의 영향이 SSIT의 도입을 촉진한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COVID-19으로 실적이 악화된 본부의 직원들은 기존의 KPI를 달성할 가능성이 낮아져서 손실영역에 속하게 되어 손실회피와 위험추구성향에 의해 SSIT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한편 실적이 유지 또는 개선된 본부의 직원들은 기존의 KPI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서 이익영역에 속하게 되어 확실성 효과와 위험회피성향에 의해 기존 KPI를 우선적으로 추구하고 SSIT의 도입에 대한 KPI를 추구하지 않았다. SSIT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기업은 SSIT의 도입에 대한 상대적 보상을 제고하여 직원들의 위험회피성향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SSIT의 활용을 위한 교육 및 지원을 강화하여 직원들이 인식하는 관련 KPI를 달성할 확률을 높임으로써 혁신저항을 낮출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련된 직원들의 KPI를 일시적으로 SSIT의 도입에 대한 것으로 일원화 함으로써 SSIT의 도입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Company M has tried to adopt self-service information technologies (SSIT) since 2017. The adoption of SSIT within Company M has been slow. However, the adoption of SSIT in the departments whose performance deteriorated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has been activated since mid-2020.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Company M and explains why the adoption of SSIT in some departments has been activated under the COVID-19 using the prospect theory. The employees of the departments whose performance became worse got into the loss domain and tried to adopt SSIT actively by loss aversion and risk taking tendency. On the other hand, the employees of the department whose performance were as expected got into the gain domain and tried to pursue the existing KPI rather than the new KPI for SSIT by the certainty effect and risk aversion tendency. For the successful adoption of SSIT, the compensation for the adoption of SSIT should be upgraded to overcome the risk aversion of employees. The training and support for SSIT should be strengthened to reduce the innovation resistance by enhancing the likelihood of attaining the KPI for SSIT. The KPI of related employees may be temporarily integrated into the KPI for SSIT to promote the adoption of SSIT.

      • 역량 기반 학습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e-러닝 콘텐츠 검색 서비스

        이윤수(Yoonsoo Lee),장병철(Byoungchol Chang),차재혁(Jaehyuk Cha)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최근 교육에서 대두 되고 있는 중요한 문제는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학습자의 역량을 고려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다. 역량 기반의 학습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역량을 분석하는 방법과 부족한 역량을 효율적으로 계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시하는 방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에서 역량 기반의 학습이 진행됨을 가정하고 많은 SCORM 콘텐츠들이 공유되고 있을 때 학습자의 역량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검색하는 시스템을 온톨로지를 통해 구현하였다. 또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온톨로지 기반 검색 시스템이 선택한 콘텐츠 정보를 마이닝 하였다. 그 결과로 검색되는 콘텐츠에 순위를 부여하여 학습자에게 좀 더 적합한 콘텐츠를 제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사업체의 창업과 성장이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

        이윤수 ( Yoonsoo Lee ),김원혁 ( Wonhyeok Kim ),지정구 ( Chunggu Chee ),김민호(논평),한진희(논평)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19 韓國經濟의 分析 Vol.25 No.3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저성장 기조가 유지됨에 따라 성장잠재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본 연구는 잠재성장률증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창업의 감소와 창업기업의 성장둔화가 생산성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광업제조업조사를 패널로 연결하여 제조업의 산업 총요소생산성(Aggregate Total Factor Productivity)의 성장률을 추정하고 성장률의 분해를 통해 창업과 젊은 사업체의 성장이 제조업 생산성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본다. 분석결과 젊은 사업체의 평균생산성 증가율의 감소가 2000년대 중후반 이후 총요소생산성증가율 감소를 설명하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창업의 감소와 그로 인한 젊은 사업체의 비중이 줄어든 효과는 생산성 성장률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보인다. 2000년대 중후반 이후젊은 사업체의 생산성 성장률 저하가 제조업 생산성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0년 이후 최근에는 젊은 사업체에서뿐만 아니라 사업체 전반에 걸쳐 생산성 성장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사업체와 고성장 사업체의 생산성 감소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은 한국경제의 전반적인 성장 저하의 원인을 분석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cline of GDP growth and secular stagnation of Korea have raised a concern about potential growth among economists and policy makers. We analyze the impact of slowing growth of start-ups and even declining start-ups on productivity growth. Employing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panel data, we estimate aggregat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growth. In addition, we investigate how the impact of start-up and growth of young plant on productivity growth in manufacturing have changed through the decomposition of TFP growth rate. We show that decreases in the average productivity growth rate of young plant were a major factor in explaining the decrease in the TFP growth rate since the mid to late 2000s. A decrease in young plant shares resulted by declines of start-up has a relatively small impact on productivity growth. Especially a drop in the productivity of young plant has affected the productivity growth of the manufacturing sector since the mid to late 2000s. Since 2010 however productivity growth has recently declined not only in young plants but also among older plants. Analyzing the causes of the decline in productivity of young and high-growth plants is expected to help analyze the causes of the overall decline in growth in the Korean economy and to help form policies to improve productivity.

      • KCI등재

        기업 구조와 제조업 사업체의 퇴출 분석

        손녕선 ( Nyeong Seon Son ),이윤수 ( Yoonsoo Lee ) 한국산업조직학회 2017 産業組織硏究 Vol.25 No.1

        본 논문은 한국 제조업 사업체의 퇴출 확률을 사업체를 소유한 기업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사업체를 소유한 기업이 다사업체 기업인지 단독사업체 기업인지의 여부와 해당 기업의 다각화 수준에 따라 사업체의 퇴출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 살펴본다. 사업체와 모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다사업체 기업은 단독사업체 기업에 비해 사업체를 퇴출시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각화된 기업일수록 사업체를 퇴출시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사업체 기업이 기업 내 자원배분 및 구조조정의 방법으로 사업체 퇴출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조업사업체의 생존에 대한 분석에서 다사업체 기업과 단독사업체 기업을 구분하는 등 모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s manufacturing plant exit in Korea focusing on the role of firm structure. In particular, we distinguish multiplant firms from single-plant firms. Moreover we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probability of plant closing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of firms. We find that plants of multiplant firms are more likely to shut down. In addition, plants owned by firms with higher diversification level are more likely to close. Our results suggest that multiplant firms are more likely to shut down plants in consequence of more active resource allocation and restructuring within firms. This paper confirm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firm structure in understanding survival and growth of manufacturing plants.

      • KCI등재

        단위노동비용 증가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 사업체 단위 자료 분석

        김원혁 ( Wonhyeok Kim ),이윤수 ( Yoonsoo Lee ) 한국금융연구원 2024 韓國經濟의 分析 Vol.30 No.1

        지난 10년여간 제조업 고용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둔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을 고려한 임금을 의미하는 단위노동비용의 증가에 주목하여 사업체 단위에서 고용창출의 양상을 살펴본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업체 단위에서 단위노동비용의 증가는 고용증가율을 둔화시켰다. 이는 대략적으로 최근 고용감소의 약 10.2%를 단위 노동비용 변동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효과와 생산성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단위노동비용을 노동비용과 노동생산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먼저 다른 조건이 일정한 가운데 노동생산성이 증가하면 전체 고용증가율이 증가했다. 반면에 노동비용 증가는 상용 종사자의 고용증가율은 감소시키고 임시ㆍ일용 및 기타 종사자의 고용증가율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금비용이 증가하면 상용직 채용규모를 줄이고 임시ㆍ일용직 고용으로 대체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효과는 사업체 규모가 커질수록, 자본장비율이 낮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전기전자 등 ICT 제조업의 경우 상용직이 상용직을 제외한 고용으로 대체되는 효과가 비ICT 제조업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최근 우리 한국경제에 나타난 고용둔화은 생산성을 초과한 임금상승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양질의 고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 증가를 동반한 성장이 필수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Over the past decade, the rate of employment growth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en consistently slowdown. This study focuses on the increase in unit labor costs and examines the patterns of job creation at the plant level. We find that the increase in unit labor cost at the plant reduces employment growth rate. Results imply that unit labor cost fluctuations account for approximately 10.2% of the recent decrease in employment. We analyze unit labor costs by dividing them into labor costs and labor productivity to examine the wage effect and productivity effect. The overall employment growth rate increase when labor productivity increase under constant other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an increase in labor costs reduce the employment growth rate of regular workers and increase the employment growth rate of temporary workers. This suggests that an increase in wage costs may reduce the regular employment and replace it with temporary employment. This effect is greater as the larger the plant and the lower the capital equipment rate. In the case of the ICT manufacturing sector, the effect of replacing regular workers with temporary workers is greater than that of the non-ICT manufacturing sector. The results imply that the recent slowdown in employment in the Korean may be related to wage increases that exceed productivity.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growth of productivity is essential to create high-quality job

      • KCI등재

        아파트 가격 변화가 품목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김원혁 ( Wonhyeok Kim ),이수형 ( Soohyung Lee ),이윤수 ( Yoonsoo Lee ) 한국경제학회 2021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가격이 품목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국내 주요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 사용액 자료와 국토부에서 제공하는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결합하였다. 분석결과 아파트 가격은 전체소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목별로 상당히 이질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파트 가격 변화는 전체소비 변동의 약 25%를 설명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영향은 품목별로 0.15%에서 46.08%까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주택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변화가 민감한 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구조 변화 및 고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house prices may affect consumption patterns across categories. For this purpose, we merge house price data with transaction data between 2012 and 2016, provided by a major credit card company in South Korea. We fi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ouse prices and overall consumption, but great heterogeneity across consumption categories. Results imply that the change in house price accounts for 25% of the change in total consumption. Moreover, such effects of house price change quantitatively vary by consumption categories, from 0.15% to 46.08%.

      • KCI등재

        머신러닝과 패널고정효과를 활용한 아파트 실거래가 예측

        김승현(Seunghyun Kim),김원혁(Wonhyeok Kim),이윤수(Yoonsoo Lee) 한국주택학회 2022 주택연구 Vol.30 No.1

        Predicting the prices of housing is a critical issue for all real estate market participants, including financial institutions and governments, as well as homeowners and potential buye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housing price prediction analysis model, this study compares machine learning methods and the fixed effects model based on the panel data of actual transactions between January 2006 and July 2020 in Seoul. For this purpose, we are als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complex, based on the hedonic pricing approach, as well as macroeconomic variables and policy variables. We find that the Random Forest (RF) model shows higher predictive accuracy than the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MARS) model in machine learning. Our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the wide use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 by utilizing micro-data in predicting and forecasting housing prices more accu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