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린 고객 개발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직무 요구사항 데이터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윤서(Lee, Yunseo),이지현(Lee, Jihy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1

        연구배경 IT 기반 기술이 보편화되고 모바일 중심의 서비스 생태계가 성장함에 따라 소규모 벤처 기업인 스타트 업의 개념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스타트업을 위한 개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방법론으로 국내에서는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 대한 개념은 확산되었지만, 린 고객 개발 방법론에 대한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타트업 초기 단계에서 시장성과 고객군을 확인할 수 있고,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정성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린 고객 개발 방법론의 필요성을 정의하고, 이를 스타트업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한 툴킷 형태로 개발하고, 제작된 툴킷을 바탕으로 직무 요구사항 서비스 디자인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를 진행하여 린 고객 개발 인터뷰에 대한 필요성을 정의하였다. 이에 스타트업에서 실제로 사용이 가능한 린 고객 개발 인터뷰 툴킷을 제작하여, 이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취업 포털 서비스의 한계점을 분석 후 문제 인터뷰를 실시하여 친화도 다이어그램을 진행해 기회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핵심 경로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취업 포털 서비스에서 필요한 직무 요구사항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한 후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서비스디자인 평가를 진행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검증 결과, 리커트 척도 서비스 디자인 평가는 적합성, 유용성을 기준으로 전체 평점 4.5 이상을 받아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1 인터뷰 서비스 디자인 평가에서는 실제 취업 준비 시, 필요한 직무 요구사항 데이터이며 유용하게 사용할 것이라는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에서 서비스 출시 전, 솔루션에 대한 정성적 고객 관점을 확인하고자 할 때, 린 고객 개발 인터뷰 툴킷을 이용하여 진행한다면 고객군의 문제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사례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취업 준비생들의 페인 포인트와 니즈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하여 현재 취업 포털 서비스의 직무 요구사항의 한계점을 해결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s IT-based technology became more common and the mobile-oriented service ecosystem grew, the concept of startups, a small venture company, spread. Although the concept of lean startup methodology has spread in Korea as a methodology to provide development processes for these startups, the importance of lean customer development methodology has not been recognized relatively.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the need for lean customer development methodologies that can identify marketability and customer groups in the early stages of startups, measure demand for products and services, develop them in a toolkit that can be used in startup environments, and design job requirements services based on manufactured toolkits. Methods We conduct a literature survey to define the need for lean customer development interviews. Therefore, a lean customer development interview toolkit that can be actually used by startups was produc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utilize it directly. After analyzing the limitations of employment portal services, problem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rive opportunity elements by conducting affinity diagrams. We utilize this to create key path scenarios. Finally, the service design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job seekers after proposing a service design based on the job requirements data in the job portal service to validate it. Resul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Likert scale service design evaluation received a overall rating of 4.5 or higher based on suitability and usefulness, confirming high satisfaction. The 1:1 interview service design assessment resulted in an assessment that it was necessary job requirement data and would be useful in actual job prepara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uld clearly identify the customer group"s problems by using the Lean Customer Development Interview Toolkit when the start-up wanted to see a qualitative customer view of the solution before the service launch. Furthermore, by conducting a case study, a service design was proposed to identify and address the paint points and needs of job seekers, resulting in solving the limitations of the job requirements of current job portal services.

      • 린 고객 개발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직무 요구사항 데이터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윤서(Yunseo Lee),이지현(Jihyun Lee)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2020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86만 4000명이다. 이 중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가 보여지는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취업 포털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다. 취업 준비생의 증가에 기반한 취업 포털 서비스의 성장에 대비하여 본 연구는 취업 준비생의 취업 포털 서비스 사용 경험에 대한 정성조사를 위해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대상으로 인뎁스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페인포인트 및 충족되지 않는 니즈를 친화도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을 이용하여 분석해 총 15 개의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인사이트에 기반한 ‘채용 트렌드 및 기업/직무별 채용 추이 데이터 제공’ 외 총 5 가지 기회 요소를 도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취업 포털사이트 UI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 Z 세대의 핫플레이스 위치정보 경험 분석에 관한 연구 - 여성의 인스타그램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이윤서(Yunseo Lee),이지현(Jihyun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최근 어릴 적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접하는 세대인 "Z 세대(Generation Z)’가 새로운 소비 집단으로 텍스트보다는 이미지, 동영상에 반응하고 SNS 를 통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습득한다. 또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며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동시에 여러 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Z 세대 특성을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의 성장에 대비하여 본 연구는 Z 세대 모바일 사용 행태 중 핫플레이스에 대한 위치정보 경험에 대한 정성 조사를 위해 여성 Z 세대를 대상으로 인뎁스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여 사용자가 만족 하는 기존 서비스 및 사용자 니즈와 매칭되지 않는 페인포인트에 대한 멘탈모델(Mental Model)을 구축하였다.

      • 생활 밀착형 간편 전기차 충전서비스 사용성 테스트에 관한 연구

        박유선(Yusun Park),이윤서(Yunseo Lee),김민경(Minkyung Kim),윤소현(Sohyun Yoon),장주진(Jujin Jang),김정민(Jeong Min Kim),박남춘(Namchoon Park)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는 ‘전기차를 위한 생활 밀착형 간편 충전서비스에 대한 연구 (2018)’에 대한 후속 연구로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개발된 생활 밀착형 간편 전기차 충전서비스인 e-zone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이다. e-zone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인 1) 회원가입 및 로그인, 2) e-zone, 3) 충전 진행 및 이용 내역, 4) 안내 확인 및 탈퇴를 기준으로 4 가지의 사용 테스크 별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실제 전기차 운전자 8 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후 전기 자동차 사용자의 니즈와 페인포인트를 도출하기 위하여 대면 대면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용성 테스트와 인터뷰 내용을 정성 분석하여 e-zone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비구형 빙정의 단일산란 특성 계산: 물리적으로 일관된 구름 미세물리와 복사를 향하여

        엄준식(Junshik Um),장성현(Seonghyeon Jang),김정규(Jeonggyu Kim),박성민(Sungmin Park),정희정(Heejung Jung),한수지(Suji Han),이윤서(Yunseo Lee) 한국기상학회 2021 대기 Vol.31 No.1

        The impacts of ice clouds on the energy budget of the Earth and their representation in climate models have been identified as important and unsolved problems. Ice clouds consist almost exclusively of non-spherical ice crystals with various shapes and sizes.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ice clouds on solar and infrared radiation as required for remote sensing retrievals and numerical models, knowledge of scattering and microphysical properties of ice crystals is required. A conventional method for representing the radiative properties of ice clouds in satellite retrieval algorithms and numerical models is to combine measured microphysical properties of ice crystals from field campaigns and pre-calculated single-scattering librarie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of ice crystals, which depend heavily on microphysical and scattering properties of ice crystals. However, large discrepancies between theoretical calculations and observations of the radiative properties of ice clouds have been reported. Electron microscopy images of ice crystals grown in laboratories and captured by balloons show varying degrees of complex morphologies in sub-micron (e.g., surface roughness) and super-micron (e.g., inhomogeneous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scales that may cause these discrepancies. In this study, the current idealized models representing morphologies of ice crystals and the corresponding numerical methods (e.g., geometric optics, discrete dipole approximation, T-matrix, etc.) to calculate the single-scattering properties of ice crystals are reviewed. Current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calculations of the single-scattering properties of atmospheric ice crystals are addressed in terms of cloud microphysics. Future directions to develop physically consistent ice-crystal models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