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리좀적 공간 특성을 적용한 청소년 도서관계획에 관한 연구

        이윤서(Lee, Yoon-Seo),이경선(Lee, Kyung-Su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2

        Today, there is a shortage of space for youth in the library.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re important factors for youth development, and a library plan that can satisfy them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youth library through the rhizome theory, which has diversity and horizontal characteristics. A rhizome-type spatial keyword wa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ior research on rhizomes, the link between the youth library and the rhizome was analyzed. He also analyzed library cases based on the derived rhizome spatial keyword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space tha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youth library that can satisfy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 유아교사의 공감과 긍정심리자본이 유아에 대한 무례함 또는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공감과 긍정심리자본 간 심층행동의 조절효과

        이윤서 ( Lee Yoon-seo ),김세곤 ( Kim Se-g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로부터의 아동폭력 행위를 줄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유아 또는 학부모, 상급자와 동료교사들에게서 경험하는 공감에 대한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하는 공감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한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을 형성한 유아교사들이 영유아들에게 가할 수 있는 무례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긍정심리자본이 어떻게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국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2017년 10월부터 2017년 11월 초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206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204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코딩 후 SPSS 및 AMOS를 이용하여 실증적인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공감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이 결과변수인 무례함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즉, 유아교사들이 동료교사나 상급교사, 또는 후배 교사들로부터 공감을 경험했을 때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을 형성하여 본인이 속한 유아교육기관에 더욱 애착을 갖는 정서적 몰입을 보이게 되고, 그 결과, 유아에 대한 무례함도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공감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을 통해 유아교사들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유아와의 진정한 관계 형성에 기여하게 되며, 거시적인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 내 관계지향적인 조직문화를 이룩하는데 공헌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와 여러 연구에서 제시된 지표들을 비교 검토하는 다기관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reduce a violence of child care teachers, this study is based on research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fellow teachers or superiors at work. That is to say design to prove of diminution in grave discourtesies to children and cordial attachment to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arising from develop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 consequence of co-workers’ compassion for thei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demonstrate an effect of compassion that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second is to circumstantiate how much discourtesy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decline. Thirdly, one of the objects in the thesis is to validate what influenc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on emotional commitment. Lastly, the research attempted to confirm the influence on behavioral management from bottom their hea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rom October of 2017 to early November,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survey method in which national kindergarten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certain questionnaires. A total of 18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8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PSS and AMOS. This research finds that both the effectiveness of compassion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incivility and emotional commitment represent important meanings in themselves.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ducts from bottom of the heart are proved to work as regulation, and all the hypotheses predicted in this study are supported.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compassion experienc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uggests that they can not only immerse themselves more emotionally in the organization but also reduce the incivility of Infants.

      • KCI등재

        아트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의 비즈니스 활용에 관한 연구 : 플라워샵의 디자인 상품 제안을 중심으로

        이윤서(Lee, Yoon Se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국내 화훼 산업은 부가 가치의 창출이 가능한 산업이지만, 점차 위축되고 있다. 그래서 화훼 상품이 일상적인 소비 품목으로 정착되어 화훼 산업의 발전에 지속해서 이바지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자인 마케팅을 위하여, 명화 작가 클로드 모네의 미술 작품을 컬래버레이션한 화훼 상품의 디자인 모형화를 제시한다. 더불어 소비자의 교차 분석 설문을 한다. 이러한 결과로 봤을 때, 미술 작품의 인지도와 시각적 이미지의 차용이 클수록 소비자에게 공감과 소통을 크게 끌어낼 수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훼 상품이 예술융합 상품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어, 전반적인 화훼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비즈니스 가치를 만드는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The domestic flower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can generate value added, but it is gradually shrinking. So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way to ensure that flower design products are established as everyday consumer items and continu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lower design products industry. Therefore, for design marketing, a collaboration of famous artist Claude Monet s works of art presents design modeling of flower products. In addition, cross-analysis of consumers is conducted. This resul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greater the recognition of art and the greater the use of visual images, the greater the consumer s ability to relate and communicat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be the basis for creating business value that can boost the overall floriculture industry in ensuring that flower products are competitive as art convergence products.

      • KCI등재

        정원 식재 디자인의 구성 요소 특성 고찰 : 19세기 거트루드 지킬(Gertrude Jekyll) 정원의 색채 이미지 활용을 중심으로

        이윤서(Lee, Yoon Se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전반적으로 조경 분야에서 종래의 수목 위주의 식재를 탈피한 변화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국내 정원 디자인을 살펴보면, 인위적으로 다듬어 조형미를 나타낸 형태의 디자인이 유행하였으나, 최근 들어 자연 상태 그대로 자란 디자인이 선호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를 배경으로 19세기의 인상주의에 영감을 받은 화가이자, 식물의 색채 이미지를 활용하여 디자인한 거트루드 지킬(Gertrude Jekyll)의 정원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거트루드 지킬이 조성한 정원을 시대적, 공간적 배경으로 색채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식물 식재 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고찰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 적합한 자연주의 식재 디자인의 이론적인 바탕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해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 연구에 있어, 국내의 전반적인 식물에 대한 분류 및 기후와 토양을 비롯한 생태적인 환경과의 적용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 점에 대한 한계가 있다. In general, the landscape field calls for a changed design that takes away from conventional arbor-oriented plants. If you look at the existing domestic garden designs, designs that are artificially trimmed and shaped have been popular, but recently designs that have grown in their natural state have tended to be preferred. Against this backdrop, he noted the garden of Gertrude Jekyll, an impressionist of the 19th century and designed using color images of plants. Therefore, the garden created by Gertrude Jekyll is considered for the elements of plant and plant material design centered on color image as an era and spatial backgroun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direction of naturalistic plant design suitable for the country. But in research based on cases abroad,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overall plants in the country and the failure to take into account differences in application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climate and soil.

      • KCI등재

        공기정화식물의 시지각 선호도에 따른 심리적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이윤서 (Lee, Yoon Se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3

        공기 정화 식물에 대한 수요와 함께 실내 환경 디자인의 필요성은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을 조사하여 적정한 공급계획의 수렴에 필요한 사항을 설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NASA에서 선정한 공기 정화 식물 16종을 추출하여 성인 남녀 100인의 플라워 샵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내식물의 선호도로 Mass plant> Form plant> Line plant> Filler plant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기 정화의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되는 식물의 그룹은 시각적 이미지의 선호도와 차이를 보였다. 식물 잎 색채 선호도의 연구 결과, 녹색> 무늬 색> 적색> 노란색 그 외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식물의 그룹 별, 느끼는 감성어휘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요소가 내포된 적정한 디자인을 제안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Along with the demand for air-purifying plants, the need for indoor environmental design is increasing propor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the visual images of plants and to establish the necessary matters for the convergence of appropriate supply plans. Sixteen types of air purification plants selected by NASA were extracted and analyzed after a survey of 100 flower shop users of adult men and women. As a result, Mass plant> Form plant> Line plant> Filler plant was found in the order of preference for indoor plants. However, groups of plants thought to have a great effect on air purification showed differences from preferences in visual images. The study of plant leaf color preference showed that green> pattern color> red> yellow and more. That by group of plants, the emotional vocabulary felt was different. These results, it was judged that functional and aesthetic element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posing a proper design.

      • KCI등재

        서울시 도시공원의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조경 디자인 고찰

        이윤서(Lee, Yoon Se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In modern society, urban recreation facilities have increased, and the classification of urban parks has diversified. Urban parks and green areas are very important in that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In line with this demand, the landscape design of urban parks requires compositional research for overall harmony and balance combining plant features and visual characteristics to maximize in space. In other words, basic data is needed to predict changes in space by collecting objective data that can accommodate techn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Therefore, this work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s and plants generated in existing urban parks, extracting a highly visible or central configuration of the actual planting range. Therefore, the purpose was to analyze planting pattern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landscape design. This allows us to identify plant links that are not utilized in landscape design in differentiated ways from existing analyses that focus on the individual properties of plants. As a research method, a total of 22 urban parks in fiv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were selected as the target sites, analyzing the centrality of connecting parks and parks. According to this analysis, plant-based connections between urban parks were confirmed, and plants ranked third in the upper group were derived to identify planting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iveness of design. The most connected plant was the zelkova tree, followed by the Creeping saxifrage.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a fault structure in which bridal and shrub trees are planted planarly in different locations, and it has been identified as a highly related species in which flowering shrub forests continue to drif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artist s design philosophy cannot be inferred and that the city park, which changed its intention at the time of planting, could not be investigated.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complement this point and add research on individual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현대사회에서 도시 내 휴양 시설들이 증가하며, 도시공원의 분류 역시 다양해졌다. 도시공원과 녹지는 삶의 질과 직접 관련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도시공원의 조경 디자인을 위해서는 기술적 변화와 행태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객관적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공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공원에 조성된 식물과 식물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가시성이 높거나 실제 식재 범위에서 중심이 되는 구성을 추출, 분석하여 조경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 서울시 내 5개 자치구의 도시공원 총 2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각 공원과 공원 간의 식물 간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에 따라 도시공원 간 식물 유사 연결성을 파악하고, 상위그룹의 3순위에 속하는 식물을 도출하여 식재 특징과 디자인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느티나무로 교목류로 나타났고, 바위치가 그 다음 순이었다. 이러한 특성은 어린이 공원의 식재된 식물 10종 이상이 서울시내 도시공원 중 근린공원과 소공원, 다음 공공공지 와 문화공원의 순으로 연결성을 위한 비슷한 패턴의 식재 형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부의 상록교목과 낙엽교목의 하부식재로 다층식재를 통해 풍성한 자연 그대로의 숲 분위기의 디자인을 조성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식물 분포 현황으로 식재 빈도를 파악했던 기존 연구 방식에 연결성으로 패턴을 도출한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점은 작가의 디자인 철학을 유추할 수 없는 점, 식재 당시의 의도와 달라진 도시공원을 조사하지 못한 점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식물의 개별 생육 특징의 연구 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존 공동체의 유·무에 따른 공동체주택 입지에 관한 연구

        이윤서 ( Lee Yoon Se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3

        최근 주거공동체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주택유형인 공동체주택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주택의 입지는 주거공동체의 형성과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상황이다. 공동체주택을 추진하는 것은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체가 주거안정성을 확보하여 장기적으로 함께 살기 위하여 추진하는 경우와,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공동체가 중심이 되는 삶의 방식을 새롭게 구축하고자 추진하는 경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체주택의 입지의 선정 과정과 입지적 특성에 대하여 기존 공동체가 존재하는 경우와 부재하는 경우로 구분하고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 내 위치한 열여섯 개 공동체주택 사례를 대상으로 대지의 특성, 입지의 선정 과정,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지 자체의 특성은 기존 공동체의 유·무로부터는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둘째, 기존 공동체가 존재하는 경우, 공동체 구성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입지를 선정한다. 반면, 기존 공동체가 부재한 경우에는 사회적 경제 조직에서 주거지에 대한 보편적 선호를 바탕으로 입지를 선정하였다. 셋째, 기존 공동체가 있는 경우 주택으로부터 기존 공동체 구성원의 활동 근거지까지의 접근성이 입지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Recently, community housing is emerging as a new type of residential community. There is also growing interest in this. Despite the significant impact of housing location o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sidential communities in community housing,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Existing studies on community housing are concentrated mainly on the community itself. Community housing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existing community is promoting to live together and the other is a group of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lot characteristics, location selection process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16 community housing ca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t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the existing community. Second, if there is an existing community, the location is select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community members.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community, the company will select the location based on the general preference. Third, if there is an existing community, accessibility to the base of existing community activit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the location.

      • KCI등재

        정원 디자인에 나타난 조형 요소와 원리의 시 지각적 인지 관계 : 2019년 서울 정원박람회 작품을 대상으로

        이윤서(Lee, Yoon Se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원을 조형적 관점으로 디자인의 영향을 해석하여 체계화하기 위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년 서울 정원박람회에 출품된 25개 출품작의 이미지를 사례로 제시하고, 디자인의 조형요소와 원리를 개념화한 단어로 설문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래서 조형의 시 지각적 인지 해석과 관계성을 분석하여 결과를 고찰하였다. 결과로 조형원리에 있어 경험에 의한 인지 사고와 조형요소의 속성이, 심미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조형요소에 대한 직관적인 판단이 조형원리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조형요소의 적절한 결합을 통하여 원리를 이용한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원 조성의 배경인 조형의 표현과 유형을 체계화하여, 기존의 틀을 해석하고 유추함으로 디자인의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안하였다. 조형요소와 원리에 더욱 구체적인 설정과 함께 본 연구의 결과를 정원 조성 프로세스에 도입하여, 검증하고 진행한다면 디자인 유형화가 정립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garden by interpreting the influence of design from a formative perspectiv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ages of 25 entries presented at the 2019 Seoul Garden Fair were presented as examples, and the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were surveyed and compared with the words conceptualized. Thus, the results were considered by analyzing the perceptual cognitive interpretation and relationship of the formative poetry. As a result, cognitive thinking by experience and the properties of the modelling elements in the principle of formation are interpreted to affect aesthetic judgment. Intuitive judgments about the modelling elements affect the response of the modelling principle,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present a new design using the principle through the proper combination of the modelling element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and type of the form, the background of gardening, is systematized, as the basic data for interpreting the existing frame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design with analogy. If we introdu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o the gardening process along with more specific settings on the composition elements and principles, we believe that design typeization will be established if we verify and proceed.

      • KCI등재

        지역민속문화자원의 박물관 교육

        이윤서(Lee, Yoon-Seo)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운영된 지역문화 교육은 지역의 환경과 역사, 전설 등을 마을 주민들로부터 듣고 보고 관찰한 뒤 체험이 이루어져 문맥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해 에코뮤지엄의 개념도 찾아볼 수 있었다. 에코뮤지엄의 요소로 특정지역과 문화유산의 보존, 주민의 참여, 박물관 활동이 전제되는 것으로 어린이박물관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민속’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역문화 교육 또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둘째로, 유․무형유산의 보존이라는 목적 아래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마을에서 전승되는 민속문화 또는 마을의 무형문화재와 경험담이 교육의 핵심 주제이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참여가 이루어진다. 민속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마을 주민들이 교육 진행자로 나서 참가자들에게 마을의 역사와 환경, 이야기 등을 들려주고 체험 활동도 진행한다. 넷째로, 지역문화 교육은 전시기반학습에서 나아가 현장학습으로 이루어지는 박물관 활동이며, 지역민속문화의 해 특별전이 개최되면 적극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어린이박물관에서 운영된 지역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우리의 옛집을 찾아서> 교육은 참가자들이 앞으로 다른 고택에 방문을 했을 때에도 고택의 건축적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에 대해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며 또 그들이 갖고 있는 이야기는 무엇이 있을지 고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그러한 점에서 이 교육이 갖는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가자! 1박 2일 민속마을로 떠나요>, <민속마을을 찾아서> 교육은 지역 주민들을 진행자로 내세워 참가자들에게는 민속현장에서의 문맥적인 이해를 통해 새로운 경험의 장이 열리고 지역 주민들에게는 마을 문화 주권 실현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앞으로 주체적으로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마을 자체 문화관광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지역문화 교육이 갖는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National Folk Museum of the region operating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children"s museum is organized after the observation to see, hear and experience the history and legends of the region, including villagers from this experience consists of a contextual understanding is possible. There was also the concept of eco-museum can be found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operating practices. Conservation, participation of reside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Museum of activities that case that the premise of the specific areas and cultural heritage as an element of eco-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folk" is also training local culture is centered around a particular area because it is based on the area. Seco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xperiences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under the objective of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lk tradition in the village or town that is the central theme of education. Third, it achieved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Villagers who enjoy folk culture to hear the history and environment, such as the story of the village to the participants after a training facilitator also advances Activities. Fourth, the regional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museum is further composed of a field study in the exhibition based learning, and help actively watch when the local folk culture exhibition to be held. The analysis of the local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at the Children"s Museum of the results <locate our old house> Training people participants lived there, not looking forward to only the architectural beauty and historical value of gotaek even when visiting the different gotaek is some people are expected to be able to talk again worry whether they have is what was found with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in this respect. <Let"s go! 1 night, 2 days leave in Folk Village, "" Find the Folk Village> Education naesewo local residents to host participants had opportunity of open chapters of the new experiences through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folk scene local residents for town cultural sovereignty realized have the significance which can be a. It could also look for cultura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gion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is activated and the town itself independent cultural tourism program that goes fo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