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실용주의 철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유선(Lee Yu-Su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8 No.-

        이 논문은 미국의 고유한 철학으로서의 실용주의의 이론적 내용을 검토하고 그 특징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미국 철학으로서의 실용주의는 특정한 시대적 문화적 배경에서 태동하여 나름의 이론적 원리를 내포하고 있는 사상임에도 일상적인 맥락에서는 상대주의나 배금주의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가치관에 동조하고 있는 것으로 오해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퍼스, 제임스, 듀이 등과 같은 고전적인 실용주의자들이 당시의 시대적 맥락에서 실용주의의 원칙을 어떻게 설정하고 그것을 확장시켜 왔는지 고찰한 후 1980년대 말부터 로티가 그들의 논의를 어떻게 계승 발전시켰는지 서술했다. 특히 이론적인 측면에서 실용주의와 경험론의 차이, 논리실증주의의 반형이상학적 입장과 실용주의의 그것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상대주의적인 입장에 대해 실용주의자들이 왜 동조하지 않는지, 그리고 비판이론가들이 내세우는 실천적 입장에 대해 실용주의자들이 어떠한 태도를 견지하는지 밝힘으로써 실용주의가 가진 이론적 특징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review some theoretical features of pragmatism as an American philosophy. Since C. S. Peirce had suggested 'pragmatic maxim' as a criteria of meaning of idea, pragmatism has been recognized as a kind of idiosyncratic american point of view which has practical alternatives for resolving some conflict such as the on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I have tried to show that it is a misunderstanding to insist that pragmatism is a theory which allows relativism and commercialism. I have reviewed some theoretical point of view of classical pragmatists such as Peirce, James and Dewey and then tried to summarize how neo-pragmatist like Richard Rorty has succeeded to their philosophical viewpoints. And I have tried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pragmatism by contrasting it with empiricism, post-modernism, and critical theory.

      • Kafkarezeption in Fernostasien

        Lee Yu-Sun(이유선) 한국카프카학회 2009 카프카연구 Vol.0 No.22

        20세기 서양현대문학의 대표작가중 하나인 카프카가 동북아시아 -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 - 에서 수용되는 과정을 비교ㆍ고찰해보는 것이 본 논문의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문화적인 동질성을 공유하였지만, 서양문물의 수입을 통한 근대화과정이 상이한 세 나라에서 카프카문학수용과정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났는가를 우선 점검한다. 중국에서 한국을 거쳐 그리고 일본으로 가는 전통적인 문화이동 경로가 일본의 빠른 문호 개방으로 방향이 전도되어서, 근대화과정에 있어서는 일본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일본은 식민지 통치하에 있는 한국을 문화적으로 완전히 일본화하려고 했으며, 한국의 제도적ㆍ문화적 종속도는 더욱 심화되었다. 당시 한국의 정치적인 지도자들은 중국 상해에서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정치적 저항을 지속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많은 지식인과 부유한 가정의 자제들은 신문화를 배우기 위해서 대개는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사회적인 제도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일본의 영향은 매우 컸다. 이러한 영향관계는 서양문학의 수용과정에서도 보여 지는데, 두 나라의 카프카 수용에서도 대략 10-15년이라는 시간적 차이를 가지면서 매우 유사한 수용양태를 보여준다. 순수 한글세대가 학문과 문학현장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면서 조금씩 일본과 차별화된 수용을 나타난다. 카프카는 중국에 매우 관심을 가졌고 중국과 관련된 저서들을 많이 섭렵했다. 중국에서의 카프카 수용은 일본과 한국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정치적인 영향으로 공산주의 국가에서의 카프카문학의 수용은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카프카의 중국문화의 수용이 연구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간략하게나마 중국본토에서 카프카가 어떻게 수용되고 평가되는가를 고찰한다. 본 논문의 원래 의도는 동북아시아권의 세 나라에서 카프카수용에서 나타나는 유사성과 차이를 추론하고자 했다. 이 세 나라의 문화적 동질성과 민족적인 상이성이 카프카 수용에 어떤 식으로 작용하며, 그로부터 조금씩 차별되는 세 나라의 문화적 코드를 읽어내는 것이었다. 본고에서 우선적으로 수행된 카프카 수용의 점검연구에서 잠정적으로 얻어진 결론은 문화적 코드보다는 역사적, 정치사회적인 제반 상황이 카프카수용과정에 더욱 깊이 관여했다는 것이다.

      • KCI등재
      • Eine kleine Studie über die koreanische Rezeption von Franz Kafka

        Lee Yu-Sun(이유선) 한국카프카학회 2008 카프카연구 Vol.0 No.20

        한국의 독문학은 60년이 넘는 역사를 통해서 현재 가장 정점에 서있는 동시에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전환점을 만들어야하는 기로에 서 있다. 서양문학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던 시대를 지나, 일제 강점기의 영향을 직접 받지 않은 한글세대들의 자립적이며 적극적인 서양문학 수용에 따른 부단한 학문적인 발전을 해왔던 독문학계는 세계화라는 새로운 국제질서와 기준 앞에서 새로운 도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 시점에 그동안 독일문학에서도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아 왔던 독일 작가들의 수용과정을 한번 살며보는 기회를 가지려고 한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실러, 하인리히 하이네,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베르톨트 브레히트,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함께 프란츠 카프카는 한국 독문학에서 가장 많이 수용되었으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작가이다. 이들 작가 중에서 카프카는 매우 특별한 지위를 점하고 있다. 한국에서 괴테상은 일반적으로 독일문학을 대표하는 시성으로서 각인되어 있는 데에 반해서 카프카는 세계문학 작가로서 자신을 드러낸다. 가장 대중적인 작가인 헤르만 헤세와 비교해볼 때도 카프카 역시 일반 독자 대중에게서 그에 못지않은 인기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일반대중작가를 넘어서 작가들에게도 사랑받기에, 헤세보다도 더욱 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희곡작가이자 연출가인 브레히트와도 비교해 볼 때, 카프카는 생전에 정식으로 한편의 희곡도 쓰지 않았지만, 그의 작품이 희곡으로 각색되어서 공연되었으며, 특히 그의 「어느 학술원을 위한 보고」라는 단편에 기초한 『빨간 피터의 고백』의 연극공연은 한국 연극사에서 최초로 흑자를 낸 공연무대이기도 하다. 이렇게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카프카 문학이 한국 독문학에서 학문적으로는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간단히 살펴본 뒤, 한국작가들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카프카 작품을 생산적으로 수용했는가를 살펴본다. 한국독문학에서 카프카작품의 번역과 연구에 있어서 선구자적인 역할을 담당한 학자는 김정진, 강두식, 박환덕으로 일반 독자와 후학들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되었다. 4.19세대인 염무웅, 김주연 등은 카프카 문학이 독문학으로서뿐만 아니라, 한국문학과의 연관 속에서 가지는 의미를 숙고해보았다. 독일유학파로서 중요한 카프카 연구가로는 이주동, 이유선, 장혜순, 김영옥 등을 꼽을 수 있으며, 그들의 후예로서 권세훈, 박은주, 김태환 등이 있다. 카프카는 ‘작가들의 작가’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많은 한국 작가들이 선호한다. 우선 수용적인 관계라기보다는 동시대를 살면서 매우 유사성을 공유한 이상과 비교했다. 그러고 나서 그의 작품을 매우 창조적이며 생산적으로 수용한 작가 - 이청준, 김광규, 이성복, 장정일, 하일지, 김영현, 김영하, 이윤택 -와의 비교분석을 시도해보았다.

      • KCI등재

        종교와 진리의 문제 : 프래그머티즘의 관점

        이유선 ( Yu Sun Lee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0 철학연구 Vol.0 No.40

        이 논문은 소위 탈형이상학의 시대에 종교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프래그머티즘의 대답을 정리해 본 것이다. 논자는 이 글에서 진리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과학주의가 종교를 대체할 수 있다고 보는 태도를 종교적 근본주의의 세속화된 형태와 다를 바 없다고 보고, 종교와 진리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볼 때에만 과학과 종교 간의 해묵은 논쟁이 해소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런 관점을 로티의 낭만주의적인 종교관에서 찾았다. 논자는 로티와 바티모 사이에서 벌어진 종교와 진리에 관한 논의에서 출발해서 제임스, 듀이의 종교관을 살피고, 다시 로티로 돌아와 프래그머티즘이 종교적 구원의 문제를 진리의 문제와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 설명하고자 했다. 로티와 바티모는 공통적으로 종교가 자신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내세웠던 `진리`의 문제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에 걸맞지 않은 형이상학적 담론으로 간주한다. 한편, 제임스는 종교가 본질적으로 사적이고 개인적인 것이며, 보편타당성에 입각한 철학적 정당화는 적어도 종교적 진리의 경우에는 아무런 힘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듀이는 종교적 경험이 초자연적인 것과 관련이 없으며, 종교는 철저하게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로티는 한편으로는 종교적 믿음의 문제가 사적인 것이라는 제임스의 입장을 계승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런 사적인 믿음이 진리 혹은 실재의 문제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듀이의 관점을 따르면서 자신의 독특한 낭만주의적인 다신론의 입장을 전개하고 있다. 논자는 이 글을 통해서 탈형이상학 시대의 종교가 무엇을 지향해야 할 것인지 말해보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figure out the answer of pragmatism to the question which role religion could play in the age of post-metaphyical era. It seems to me that the scientism which argue the priority on the problem of truth, is also a secular version of religious fundamentalism. Starting with review of the discussion between Rorty and Vattimo, I have compared James` viewpoint on Religion with Dewey`s and finally I have tried to explain how Rorty succeeded to their point of view and developed his original point of view on Religion. Rorty and Vattimo regard the problem of truth, which religion claimed to exercise its influence, as an old fashioned metaphysical discourse. William James thought that Religion was in essence something private and individual and had nothing to do with philosophical justification of universal truth. John Dewey thought that the religious experience was not related with super natural reality and religion was just a product of history and culture. Having succeeded to James` viewpoint that religion is a private matter, on the one hand and to Dewey`s which religion has nothing to do with truth or reality, on the other hand, Rorty has developed his characteristic romantic polytheism. For me, Rorty`s romanticism tells us what kind of things religion could do in the age of post-metaphysical era.

      • KCI등재

        로티의 네오프래그머티즘과 민주주의

        이유선(Yu Sun Lee) 철학연구회 1999 哲學硏究 Vol.45 No.-

        논자는 이 글에서 `철학에 대한 민주주의의 우위`를 주장하는 리차드 로티(Richard Rorty)의 사회철학적 입장을 서술하고, 그 이론적 적대자들의 입장과 비교검토해 봄으로써 그의 주장을 분명히 드러내고자 노력했다. 먼저 논자는 자아, 언어, 공동체의 우연성을 강조하는 그의 입장이 그의 사회철학의 이론적 배경이라고 생각하고 그와 같은 입장을 검토함으로써 그가 말하는 개혁적 좌파로서의 `리버럴 아이러니스트`의 관점을 서술해 보고자 했다. 그의 `리버럴 아이러니스트`가 꿈꾸는 자유민주주의 내지 사회민주주의적 유토피아는 한편에서는 하버마스(J. Habermas), 매카시(T. McCarthy), 제라스(N. Geras) 등 보편적 합리성을 근거로 삼아야 한다는 철학자들로부터,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무페(C. Mouffe), 라클라우(E. Laclau), 등과 같이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급진적 민주주의를 주장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철학자들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논자는 로티가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구분하고, 이론과 실천을 분리시킴으로써 그들의 비판에 어떻게 대처하며, 어떠한 대안을 내놓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논자의 관점은 로티의 네오프래그머티즘이 민주주의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일차적 요소로서 구체적 제안의 실천적 효과와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주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론적 근거에 매달리면서 현실의 정치적 연대에 대한 의무를 소홀히 할수있는 지식인들에게 로티의 네오프래그머티즘은 매우 중요한 화두를 제시했다고 생각한다. 논자가 로티에서 아쉽게 생각하는 점은 그가 철학 전반에 대한 그의 냉소주의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할 만큼의 `공적인` 철학의 가능성에 대한 서술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