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5D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제작

        이원석,노용래,Lee, Wonseok,Roh, Yongrae 한국음향학회 2013 韓國音響學會誌 Vol.32 No.3

        In this paper, a $64{\times}8$ channel 1.75D ultrasonic transducer made of piezoelectric single crystals was designed, fabricated, and evaluated. First, a structure of the transducer was selected to be suitable for wiring on a planar array, and components were fabricated to correspond to the structure. Detailed structure of the transducer was design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es. As main performance factors, the crosstalk between neighboring elements was reduced through the control of kerf width and material, and desired frequency bandwidth of the transducer was achieved by designing the optimal thicknesses of the piezoelectric single crystal and matching layers. An experimental prototype of the transducer was fabricated following the design, and its performance was measured. Then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hich led to the evaluation of the transducer developed in this work. 본 논문에서는 압전단결정으로 구성된 $64{\times}8$ 채널 1.75D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설계, 제작 및 평가를 하였다. 우선, 평면 배열된 독립소자에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선정하고 구조에 맞게 구성소자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트랜스듀서의 세부 구조를 설계하였다. 트랜스듀서의 주요 성능요소로서, 치폭의 너비와 재료를 조절하여 소자간 상호간섭의 영향을 줄이고, 압전단결정 및 정합층의 최적 두께를 설계함으로써 트랜스듀서의 원하는 대역폭을 구현하였다. 설계에 맞게 트랜스듀서 시편을 제작하고 실험적으로 그 특성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유한요소 해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트랜스듀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20 MHz 의료용 고주파 선형 배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제작

        이원석,노용래,Lee, Wonseok,Roh, Yongrae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6

        In this work, a medical linear array ultrasonic transducer working in the range of 20 MHz has been developed for high-resolution ultrasonic imaging. After devis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ducer suitable for the transmission of high-frequency waves, we optimized the dimension of constituent components. Then, the process to fabricate the transducer was developed to realize the designed structure, and a prototype of the transducer was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abricated transducer was measured to be 19 MHz, and the fractional bandwidth to be 84.5 %,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nsitivity over the entire channels to be 0.74 dB. These measurement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design data, which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high frequency ultrasonic transducer structure developed in this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transducer with new structure had wider frequency bandwidth and uniform sensitivity than a conventional 20 MHz transducer. 본 연구에서는 고분해능 초음파 영상 획득이 가능한 20 MHz 대역의 의료용 초음파 선형 배열 트랜스듀서를 개발하였다. 먼저 고주파 음파의 전파가 용이한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고안한 후, 구성소자의 최적치수를 도출하였다. 이후 설계에 따라 트랜스듀서의 제작공정을 개발하고, 트랜스듀서 시편의 제작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작된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중심주파수가 19 MHz이고, 비대역폭이 84.5 %, 감도의 표준편차가 0.74 dB로 측정되었다. 측정 결과는 설계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이에 의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주파 초음파 트랜스듀서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트랜스듀서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기존의 20 MHz 트랜스듀서에 비해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과 균일한 감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국내외 네칸만화 수사적 표현 연구

        이원석,Lee, Won-Seo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9

        이 연구는 국내외 네칸만화에서 사용된 수사적 표현이 이야기 전개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고찰한다. 수사라는 것이 말을 정갈하게 다듬는 과정이라면, 만화에서 수사는 그림의 스타일과 이야기의 전개를 보다 읽기 쉽고, 재미있게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네칸만화는 장편 만화의 서사구조를 따른다. 기승전결로 전개되는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데, 이때 수사적 표현이 동원된다. 수사적 표현에는 연역적 ${\cdot}$ 비연역적 전개를 주로 다룬다. 국내외 유명 작품의 수사적 표현의 분석을 통해 네칸만화가 가진 이야기 구조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고, 시사만화와 유머만화에서 사용된 수사적 표현의 차이점을 밝히는 기회도 된다. Comic has a story. Comic exits as a some kind of media to convey the story the writer wants to say and it not only is a message described by sign, content, and complexity but also works in more vast communication condition. This Study treats that the rhetoric expression of 4 panels comicstrip in internal and external weigh with the narration of story. If the rhetoric is the sort out of the words, in the rhetoric of 4 panels comicstrip, the target is how easy to read, how interesting to read. Here are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in daily life and current affair 4 Panel Comic Strips. To analyze and compa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wo above strips proposes actual model of basic skill making 4 Panel and further will be applied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long comics. The study of explaining the feature of 4 Panel Comic Strips is proposed, based on the basic act in all comic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4 Panel Comic strips Comic Strips has the basic structure of long serialized comics and story telling.

      • KCI등재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차별 및 혐오 표현 탐지 : 어텐션 기반 다중 채널 CNN 모델링

        이원석,이현상,Lee, Wonseok,Lee, Hyunsa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12

        포털 사이트의 인터넷 뉴스 댓글, SNS, 커뮤니티 사이트 등의 온라인상에서 명예 훼손 사건이 최근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상의 차별 및 혐오 표현은 명예 훼손 문제뿐만 아니라 사생활 침해, 인신 공격 등 다양한 형태로 온라인 서비스 이용자들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산업계와 학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해왔다. 하지만 한국어 대상으로 수행된 딥러닝 기반 혐오 표현 탐지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혐오 표현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별적 표현에 대한 탐지를 위해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이를 분류하기 위한 딥러닝 모델링을 실험하는 것이다. 데이터셋 구축은 10명의 인원이 교차적으로 검토를 하면서 7개 항목에 대한 라벨링 기준을 확립했다. 본 연구는 약 137,111개에 해당하는 한국어 인터넷 뉴스 댓글 데이터셋에 대해 7개의 항목을 각각 이진 분류하고, 이를 딥러닝 기법을 통해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어텐션 기반 다중 채널 CNN 모델링 기법이다. 실험 결과 7개 항목에 대해 가중 평균 f1 점수를 평가했을 때, 70.32%의 성능을 달성했다. Online defamation incidents such as Internet news comments on portal sites, SNS, and community sites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Bias and hate expressions threaten online service users in various forms, such as invasion of privacy and personal attacks, and defamation issues. In the past few years, academia and industry have been approaching in various ways to solve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dataset and experiment with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ing for detecting various bias expressions as well as hate expressions. The dataset was annotated 7 labels that 10 personnel cross-checked. In this study, each of the 7 classes in a dataset of about 137,111 Korean internet news comments is binary classified and analyzed through deep learning techniques. The Proposed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is multi-channel CNN model with atten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weighted average f1 score was 70.32% of performanc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