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 『거울속으로』에 나타난 자아형성 탐구

        김수영(Kim, Soo-young),이우학(Lee, Woo-hak)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6 No.-

        본고에서는 이수지가 명명한 “현실과 환상의 경계 그림책 3부작” 중 첫 번째 작품인 『거울속으로』에 내포된 은유와 상징이 주인공의 자아형성 과정을 얼마나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거울속으로』에 드러난 자아형성 과정은 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이상적 자아형성 단계로,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작가는 세로로 길게 제본된 책의 맨 아래 한 귀퉁이에 왜소한 아이를 배치함으로써 원초적 불안감에 휩싸인 거울단계 진입 직전의 주체를 상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데칼코마니의 대칭적 구도를 지닌 그림들은 다른 한쪽 면을 거울로 인식하도록 설정되었고, 점층적으로 커져가는 꽃무늬는 거울상을 통해 자아를 인식하는 아이의 환희를 나타낸다. 또 제본 선을 기준으로 아이와 거울상이 함께 빨려 들어가는 이미지는 주체와 이상적 자아와의 동일시를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는 자아/타자 간 경쟁단계로, 조각난 신체라는 파편화된 느낌에 시달리는 아이와 통일되고 완전한 이미지의 이상적 자아 사이의 경쟁단계이다. 작가는 아이가 두 가지 포즈를 취하는 동안 거울에 비친 이미지는 세 가지 동작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아이에게 완전한 신체상으로 인식된 이상적 자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세 번째는 자아/타자 간 분리단계로, ‘나’의 존재를 잊은 채 거울상(타자)에 몰입하던 아이가 타자를 타자로 인식하게 됨으로써 공격성을 드러내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거쳐 자아와 타자(타자에 동일시된 이상적 자아) 간의 분리가 이루어져야 아이는 상징계로의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림책에서는 아이가 거울상(이상적 자아)을 밀어 깨뜨림으로써 둘 사이가 분리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예술작품은 심리적 행위의 결과물이고, 따라서 심리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수지의 그림책 ?거울속으로?를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분석해봄으로써 글 없이 간결한 그림만으로 표현된 그림책을 통해서도 인간의 심층심리를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paper looks at the ways in which Suzy Lee’s Mirror (the first picture book of the so-called “trilogy of border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mplicitly shows the heroine’s self-construction process. The self-construction process revealed in Mirror i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The first is the ideal self-forming stage, in which the infant constructs its self though the 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The author symbolically represents the anxious self by positioning the diminutive child at the bottom corner of the vertically long page. The girl and her mirrored image are represented symmetrically using the decalcomania technique. The enlarging flower patterns reflect the growing awareness of self and the joy of the child. The child and her mirror image are bound together by the center binding line, showing the identif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ideal self. The second is the stage of competition between the child stricken with the feeling of fragmented body and the unified ideal self. Showing three images of movements when the child poses in two different ways, the artist represents the free movement of the ideal self, through which the child recognizes herself as a perfect whole body. The third is the stage of separation of the self and other in which the child forgets the presence of “I” while immersed in the mirror image (other) and expresses aggressiveness by recognizing the other as the other. Through the separation between self and other(ideal self), the child is able to attempt access into the symbolic world. The picture book successfully depicts the girl breaking the mirror image (ideal self) and experiencing separation between the two selves. All art is the result of psychological behavior, and thus may be subject to psychological research. This paper interprets Lee’s picture book Mirror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in order to show how psychological depth can be represented by a series of wordless pictures.

      • KCI등재

        『마녀들』과 『꿈꾸는 요요』에 나타난 변신 연구

        이우학(Lee, Woohak),이수경(Lee, Sookyung)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3

        The theme of metamorphosis is recurrent not only in ancient forms of tales, such as myths, legends and folklores, but appears frequently in modern narratives. Tales of metamorphosis tap into the deepest recesses of human consciousness. Tales in which humans transform into animals and the animals vice versa has been much loved by children in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Witches, Roald Dahl deals with a boy who is turned into a mouse. A Dreamer Yoyo is a story about a genetically engineered mice escaped from a lab. Both children’s fictions use a mouse hero whose characters resemble children’s. Dahl’s work is concerned with the physical transformation of the hero mouse. Yoyo’s body never changes but undergoes inner transformation. Both tales take different patterns of metamorphosis. The boy who turns into a mouse never becomes a human. However the genetically mutated Yoyo experiences an inner transformation. His mental ability is equivalent to human intelligence. Though their transformation is not due to their own choice, they have courage to accept the change and appear to enjoy their transformation. Love and friendship makes it possible. This is contrasted to the fate of the Beetle in Kafka’s Metamorphosis in which the tragic hero faces death in absurd circumstances.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아동문학과 검열

        이우학 ( Woo Hak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0 동화와 번역 Vol.20 No.-

        검열은 미국아동문학사에서 가장 민감한 사안 중의 하나이다. 도덕적, 종교적, 정치적 견해를 달리하는 단체들은 `논란이 되는` 아동도서, 특히 아동문학 작품에 대해 이의제기를 한다. 미국에서의 아동도서의 검열문제가 왜 이토록 민감한 사안이 되는지를 검열의 표적이 된 아동문학 작가와 작품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아동도서 특히 미국 내의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검열의 대표적 사례를 조사하여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검열의 문제가 지닌 사회문화적 함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도서 검열의 주요 사례를 소개함과 동시에 각 시대별로 미국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 검열의 성격이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를 알 수 있다. 미국 내에서의 검열 논쟁은 아동도서가 다양한 이유로 쉽사리 검열의 표적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문학이 금서목록과 이의제기 도서 목록에 나타난 검열의 이유는 여성, 인종, 종교에 대한 차별과 편견, 성과 외설, 상스런 언어사용, 폭력성 등 다양하다. 이는 어린이 문학의 소재나 주제의 성격이 존재하지 않는 듯 보인다. 문제제기 된 내용을 공개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일은 의미가 있다. 어린이 책은 지금까지 어른의 감시 속에 존재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통제 될 것이다. 검열에 대한 논쟁과 이에 대한 연구는 어린이들이 읽을 내용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할 것이며, 검열자들의 지적 통찰력과 사회적 감수성을 지속적으로 반영할 것이다. Censorship is one of the most sensitive issues regarding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Groups that have different moral, religious, political values attack children`s books, particularly stories for children. This paper is a survey of how the issue of censorship has developed in the American society in different periods according to political climates and social changes. Als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t positions groups hold toward censorship of children`s books. The reasons of censorship as shown on the ALA lists of banned and challenged books are various. The issues concerning censorship are `sexual explicit(language), offensive languages, discrimination against sex, race and religion, violence and etc. It seems that there is no safe-heaven for children`s literature. It is meaningful to expose the cases of challenged children`s books; it is more important to analyse and evaluate them. Children`s books remain to be under the adults` surveillance and control. Studying the censorship debates equips us with a more balanced perspective on reading materials for children. They reflect censors` intellectual insights into the social concerns and sensitivity of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레슬리 마몬 실코의 『이야기꾼』: 이야기꾼의 역할

        이우학 ( Woo Hak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2 No.-

        미대륙의 원주민들에게 스토리텔링이 그들의 삶과 문화의 중심에 있다. 전통적구전서사방식을 현대적으로 가장 잘 구현하고 있는 작가 중 하나로 실코를 꼽을 수 있다. 글쓰기가 중심이 되어 있는 서구의 스토리텔링 방식이 자신이 성장한 문화와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장르적 경계를 넘어서는 혼성적 글쓰기를 단편집 『이야기꾼』에서 시도한다. 본 고에서는 이단편집에서 실코가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적 스토리텔링의 방식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이야기꾼의 공동체에서의 역할 회복이 원주민의 문화적정체성 확립에 어떻게 기여하는 지 그녀의 저작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고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를 겪은 아메리카원주민들에게 이야기는 마지막 남은 유산이다. 이야기는 처음부터 개인의 소유는 아니다. 서구의 저작권과 원작자의 개념과는 달리 미원주민들에게 이야기는 이야기꾼 개인에게 속한 것이 아니라 공동체가 함께 공유해야하는 체험이며 전파해야하는 지혜인 것이다. 『이야기꾼』은 미원주민의 이야기들이 서로 연결되고 새로운 이야기와 결합하는 방식을 잘 드러내 보여준다. 실코의 이야기꾼은 자신의 이야기를 공동체적 맥락에서 볼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이야기가 지닌 서사적 진실성을 변경하거나 왜곡시켜서는 안된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 이는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에 구현된 집단적 정체성을 파괴하려는 세력에 맞서 다음 세대의 이야기꾼에 계승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For Native Americans, storytelling lies at the center of culture and life. Leslie Marmon Silko is an author who embodies the traditional oral narrative into a contemporary representation. Her belief that the Western style of written narrative is inadequate to represent the culture that she grew up in causes her to attempt "mixed-style writing" in Storyteller which crosses the Western boundaries of genres. This study shows that Silko manifests the traditional Native American style of storytelling in her written work, and aims to show how her work contributes to establishing the cultural identity of Native Americans through recovering the role of the storyteller within the community. Stories are the last remaining heritage for Native Americans who have been driven from their lands into the Indian Reservation. For Silko, stories are not the property of an individual. In contrast to the Western concept of authorship, Native Americans believe stories are ``properties`` to be shared by the community, and also a communal wisdom which the community passes down to the next generation. Storyteller demonstrates how Native American storie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how they link to new ones. Silko`s Storyteller clearly shows that storie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that stories should not alter or distort the narrative truth within them. Her way of storytelling faces the forces that attempt to destroy the narrative identity of the community, and passes down the role of storyteller to the next generations.

      • KCI등재

        Confessional Discourse and the Presence of Power in Under Western Eyes

        이우학(Woohak Lee) 한국영미어문학회 2005 영미어문학 Vol.- No.76

        Reading Under Western Ey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power in confessional discourses. The language teacher's narrative transformation of Razumov's confessions exposes the natures of authority and discourse practices in the context of Russian autocracy. Confessional discourses, as Razumov's written confessions demonstrate, are products of the ideological struggles of the autocratic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tremely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in the society a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fessions. This particular form of discourse is more than "an act of free will". The confessional discourse flourishes in a society where a diversity of voices is not tolerated. In this monologic discourse condition, even other discourses become confessional, because voices are monitored, excluded and punished by the authority. This study discusses the issues of the subjectivity in Razumov's confessions and the significance of hearers in shaping the confessional discourse. Questioning power relationships between discourse participants, Conrad tells us that the self which Razumov tries to justify through his autobiographical confession is in fact a social construction, a result of social struggles of his time.

      • KCI등재

        담론으로서의 폭파 - 콘라드의 『 밀정 』 ( The Secret Agent )

        이우학(Woo Hak Lee)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1999 현대영미소설 Vol.6 No.1

        This study argues that Conrad exploits the motif of `detonation` in The Secret Agent as a discourse act which challenges and questions the order of society. The narrator`s persistent inquiry into the Greenwich bomb affair is contrasted to the police investigation which suppresses the voices of anarchists. Conrad criticizes the dominant forces of the police. the press and the public for their collective efforts at silencing the outlawed and suppressed voices. The novel as Conrad`s own investigation of The Greenwich Outrage includes voices which are muted. Isolated. and regulated by the official voices of the time. The narrator seeks to restore the voices of revolutionaries, anarchists and terrorists which are classified as dangerous, contagious, and abnormal elements of society by the forces of law and order and allows them to speak. However, Conrad also warns of the monologic tendencies of the challenging voices which employ the same discourse strategies of official voices. The overall investigation concludes that the voices of law and order, ignoring the discourse implications of the detonation, dismiss it as a mere act of madness or despair. Placing various social discourses within narrative discourses of an ironic voice, Conrad scrutinises the ways in which discourses are exploited to shape the order of things in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The Secret Agent discussed in this study invites his reader to participate in an open ended inquiry into the natures of the institutionalised ideas of such as the law and order, the justice and security of society which nullify questions raised by the detonation.

      • KCI등재

        아동의 4단계 자아실현을 위한 전능감과 참자기의 중요성 - 『훌라후프 돌리기 여왕』과 『달님을 잡아라』를 중심으로

        이영준 ( Lee Youngzun ),이우학 ( Lee Wooha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2 동화와 번역 Vol.43 No.-

        아동들의 자아실현은 나이와 발달과정에 따라 성인들과는 달리 특별한 방식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아동의 자아실현은 영아기에 구축되는 원초적 전능감과 참자기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동의 자아실현을 위해서는 유아기에 경험한 전능감과 참자기의 원초적 욕구충족이 내재화되어야 한다. 이때 아동은 원초적 욕구가 창조적 에너지로 발현될 때 사회성이 생겨나고 자아실현에 도달할 수 있다. 『훌라후프 돌리기 여왕』과 『달님을 잡아라』는 원초적인 전능감과 참자기가 주변 공동체의 환경으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아 자아실현을 가능케 해주는지를 보여준다. 자아실현은 아동에게 올바른 자아가 구축되어 자의식이 형성되어야만 내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더 나아가 자존감이 증진됨으로써 도달할 수 있다. 두 작품 속의 주인공 아동은 자신들의 승인과 인정을 획득하려는 내적 욕구와 그리고 성공하고 싶은 사회ㆍ문화적 갈망들을, 조망수용능력과 같은 총체적인 사회성을 가진 주변 사람들로부터 공급받는다. 그러나 아동들의 자아실현은 사회적 성공 이상의 심리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두 작품에 등장하는 아동은 원초적 전능감과 참자기의 구축을 위하여 훌라후프와 야구를 사용한다. 후기전이대상인 ‘훌라후프’와 ‘야구’는 그들의 내적욕구를 표출할 수 있는 대상들이며 모든 열정을 투사하고 몰입하게 함으로써 삶에 희열을 가져다주는 후기전이현상을 불러일으킨다. 아동들은 이러한 현상을 따라 창조적인 사회ㆍ문화 활동으로 발현됨으로써 자아실현에 이르게 된다. Children's self-actualization should be discussed in a specific way according to their age and developmental stages. This is because the primordial sense of omnipotence and true self that is built up in infancy is a prerequisite for it. When the internalized omnipotence and true self become a primal need, and they are expressed as creative energy, children can reach self-actualization. The Hula Hoopin' Queen and Catching the Moon show how the primordial omnipotence and true self direct children to achieve self-actualization. These children who have the true self may gain it by satisfying their inner needs. They, with inter-social capability later on, such as self esteem and perspective view, will be led to a successful life in their community. Children's self-actualization has a psychological significance. The hula hoop and baseball, the second transitional objects, can evoke the second transitional phenomenon. By sensing their omnipotence and true self, they will reach the fourth stage of self-actualization. Self-actualization that integrates the inner world with the outer world is an important social activity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

        『괴롭히는 친구 무찌르는 법』에 나타난 아동의 상호관계적 조망수용의 발달: 아빠의 개입을 중심으로

        이영준 ( Lee Youngzun ),이우학 ( Lee Wooha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아동들이 우정을 나누고 친구관계를 형성하게 해주는 상호적 관계는 인지적·정서적 성장과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아동에게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일은 중요한 요소이지만 실제로는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전조작기에 속한 아동들도 이해력과 판단력이 미숙하여 종종 잘못이해 하고 편견을 가지기도 한다. 구체적 조작기나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아동들도 사소한 실수나 오해로 인하여 낙담하게 되고 상처를 받게 된다. 『괴롭히는 친구 무찌르는 법』은 친구를 사귀고 교우 관계를 원만히 하는데 효과적인 방안과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사고와 생각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구체적 조작기 후기에 도달한 성숙한 아동들도 미숙한 조작능력으로 인하여 갈등을 일으키고 친구관계를 유지하는 일에 어려움을 겪곤 한다. 아이가 해결할 수 없는 막다른 갈등상황에 도달했을 경우 부모의 적절한 개입은 불화를 해결시켜주는 긍정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괴롭히는 친구 무찌르는 법』은 부모의 일방적인 강요가 아니라 아동 스스로 생각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주어 적을 친구로 변화시키는 창조적인 전략을 보여준다. 아동이 성장해 간다는 의미는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탈중심성을 획득하여 상대방을 조망할 수 있는 조망수용능력을 취득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형식적 조작기 초반에 들어선 아동들도 감정적인 문제로 인하여 갈등을 겪게 될 때 자신이 처한 상황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행동하지 못한다. 주인공 아이는 친구와 갈등을 빚지만 아빠의 현명하고 지혜로운 개입으로 인하여 친구관계를 회복한다. 주인공 아이는 처음에는 내키지 않아했지만 상호관계적 조망수용능력을 발현시킴으로써 갈등을 넘어서 보다 성숙한 인간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아동들의 우정과 친구관계를 보다 학술적으로 탐구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아동이 형성하는 친구관계의 중요성과 그 포괄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utual relationship that allows children to form friendships is very important in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Making new friends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child development. However it is not easy in practice. Children who belong to the Preoperational Period are often dislocated and prejudiced. Children who have arrived at 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or 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are often despairing and hurt by their mistakes or misunderstandings in unintended circumstances. The picturebook, Enemy Pie provides the effective ways of making new friends. In order to make a friend, a child needs a comprehensive ability of cognition and emotion to recognize other children's thoughts and feelings. Even the children reaching the late stage of 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often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friendships due to their conflicts with friends caused by their inexperiences. Proper intervention by parents is a positive way of resolving this sort of disagreement, if children have reached a deadlock that can not be resolved by them. In this essay, we argue that Enemy Pie does not present a one-sided solution, but a creative strategy of father that helps children think deeply and transform their enemies into friends. Children must achieve their decentralization out of egocentrism by having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is perspective enables them to establish their friendship, which makes them care about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Even children in 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often fail to properly judge and act when conflicts with friends unexpectedly occur due to their overwhelming emotions. In Enemy Pie, because of the father's wisdom and proper intervention, the children understand their interrelation and restore their friendship each other. At first, although very unwilling, the main character, by changing his thoughts and minds, eventually gets a more mature ability of the Interrelative Perspective Taking. Through this ability, we can see that a mature human relationship has been established.

      • KCI등재

        학교 불안심리의 치유를 위한 아동의 판타지: 『암흑의 늪에서 온 교사』와 『지각대장 존』을 중심으로

        이영준 ( Lee Youngzun ),이우학 ( Lee Wooha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6 No.-

        인지능력이 발전하고 사고의 범위가 넓어지게 됨으로써 아동들은 정서적으로도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아동들의 대표적인 불안정서에는 학교 불안심리가 있다. 부모나 집을 떠나 학교로 간다는 사실이 두려움이나 공포로 발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림책인 『암흑의 늪에서 온 교사』와 『지각대장 존』은 아동들의 마음이 종종 환상과 상상에 지배당하는 내면적 실태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심리적 판타지에 담긴 정서적 실체와 이를 표상하는 심상들(inner images)은 그들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의 해소와 치유를 위한 중요한 단서들이 된다. 그러나 아동들의 인지발달단계가 나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들이 겪는 학교 불안심리의 양태와 양상에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아동들의 학교 불안심리를 심리적 판타지라는 관점에서 분석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암흑의 늪에서 온 교사』에서는 직관적 단계에 속한 아동의 환상적 판타지(illusive fantasy)를 통하여 분리불안에 의한 학교불안과 공포를 설명하고, 『지각대장 존』에서는 구체적 조작기에 속한 주인공인 존의 상상적 판타지(imaginative fantasy)에 담긴 학교 불안심리에 대한 내면적 특징과 치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Children begin to develop their emotional anxieties as their cognitive abilities increase and the ranges of their thinking become wider. School anxiety is one of the typical anxiety of these children. The fact that children have to leave their parents (or their home) and go to school makes them suffer from their school anxiety as they develop their fearful feelings to it. The Teacher from the Black Lagoon and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show the inner reality of their psyche in which children's minds are often dominated by unreal fantasies and imaginations. As the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are different from age to age, the developments and aspects of the school anxiety are also varied according to their ages. In order to clarify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chool anxiety of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fantasy. The Teacher from the Black Lagoon explores the unreal fears and horrors of the school lifes caused by the illusive fantasy of a young boy in the Intuitive Stage.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shows how John, the main character of the Concrete Operation Period, overcomes and heals his school anxiety through the characteristic ways of his imaginative fanta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