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표(Yong-Pyo Lee),송승연(Seung-Yeo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관련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앤더슨 행동모형을 근거로 발달장애인 부모 451명을 대상으로 한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2011년 서울시 중․장년 발달장애인가족 복지욕구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돌봄자가 직업이 없는 집단일수록, 피후견 대상인 발달장애인이 남성인 집단이 성년후견 이용욕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나 사회보장제도 관련요인에서는 가구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욕구요인 중에서는 제3자에 의한 돌봄욕구가 존재할수록 성년후견 이용욕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능력, 장애등급, 돌봄부담의 정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년후견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에 관련되는 비용의 정부지원이 중요한 조건이 될 수 있다. 둘째,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와 관련된 제3자 돌봄욕구 개념 및 문화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usage related predictors to activate Adult Guardianship System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have analyzed the survey of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2011 Welfare Needs Assessment of Seoul middle and senior-aged Fami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analysis method, the study applied used SPSS 22.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increases meaningfully if the parents does not have occupation, and the subject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male. In income and the social security system wise,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show remarkably large rating if the average income is high and the desire to be cared by others is high. But in cas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mmunication skills, the degree of disability, burden of caring does not have effect on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conclusion for this research is, first, to activate vigorous usage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s required. Second, the following study is needed to explain to the concept of the needs caring by others and the cultural factors relating to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 연료 직접분사가 가솔린 연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표(Yong-Pyo Lee),배충식(CHoong-Sik Bae),최상민(Sang-Min CHoi) 한국자동차공학회 199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8 No.11_1

        Combustion performance of 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Engine was tested while it was operated at several combustion chamber conditions. Two sets of injector and spark positions were examined, and curved (or bowl) piston was used for guiding the spray direction. When GDI engine was operated at the early injection condition, the evident differences of combus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chamber shapes could be observed. Using the visualized engine, we showed the spray processes and the proof of film combustion phenomenon. The difference of wetted fuel amount could be regarded as the reason of imep variation.<b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법정책학연구논문 ; 정신적 장애인의 사회서비스장벽과 의료화에 관한 사례연구 - 일명 염전노예사건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표 ( Young Pyo Lee ),제철웅 ( Cheol Ung Je ),최윤영 ( Yun Young Choi ),노수희 ( Su Hee Roh ) 한국법정책학회 2015 법과 정책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이중의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오랫동안 염전에서 노예상태로 일하고 있었던 장애인이 섬에서 구출되어 다시 정신의료기관 폐쇄병동으로 유폐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주류사회서비스체계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법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지적 장애와 정신장애관련 관련시설 종사자 9명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정신적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 다시 주류 사회서비스체계의 장벽을 경험하고 정신의료기관 폐쇄병동으로 향하게 되는 조건과 맥락을 분석하기 위해 정신의료기관 입원 경험이 있는 사람 6명의 심층면접자료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 정도에 대한 고려가 없는 일률적 예산제도와 양적 성과에 초점을 둔 사회복지시설 평가체계 및 운영지침이 중복 정신적 장애의 사회서버스 장벽을 형성하는 원인적 조건이 되고 있었으며 좁은 정신장애범주와 일시 보호체계의 부재는 장벽을 강화하는 맥락적 조건으로 드러났다. 결국 사회서비스장벽을 경험한 A씨는 과중한 가족의 부양부담 통제기제가 없는 의료급여지불체계 그리고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이라는 강제입원제도라는 맥락적 조건에 의하여 정신의료기관 폐쇄 병동에 유폐되는 경로를 밟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법정책적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lms at presenting the problems of the mainstream social service system and finding legal alternatives by analyzing the process that a disabled person with double mental handicaps worked at salt farms as a slave-like for a long time, was rescued from the island, and then came confinement at an isolation ward of a mental medical institution. To achieve these study goal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9 staffs working in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intellectual disability or mental disorder, and for the analysis into the condition and context of the case that the mentally disabled person came to experience once again the obstacles of the mainstream social service system and was sent to the isolated ward of a mental medical institution, in-depth interview materials on 6 persons with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in a mental medical institution were additionally investigated. As the study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the uniform budget system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assessment system and operation guidelin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cusing on quantitative outcome had become the causal cond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ervice barrier against double mental disorder, and that the narrow categories of mental disability and the absence of temporary protection system had been the contextual condition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walls. In the end, A who experienced the obstacles of social service walked in the path to incarceration into an isolated ward of a mental medical institution under the contextual conditions of heavy burden on his family to support him, the medical cost payment system without controlling mechanism, and the compulsory hospitalization system which means entering a hospital by the person responsible for protective custody or car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legal improvements were proposed.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항정신병약물 복용에 대한 자기결정 경험의 법정책적 함의

        이용표 ( Yong-pyo Lee )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항정신병약물 복용과 관련된 자기결정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탐색하여 법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정신의료기관 입원경험과 1년 이상의 항정신병약물 복용 경험이 있는 사람 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대화 내용은 동의를 받아 녹취하였다. 녹취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정신장애인의 항정신병약물 경험은 15개의 소범주와 5개의 대범주로 분류되었다. 최종적으로 분류된 5개의 대범주는 첫째, 항거불능의 상태에서 처음 내 몸에 침투한 무서운 약물, 둘째, 생체실험의 대상이 된 것 같은 약물의 고통 속에서 견디며 살기, 셋째, 괴로운 약물을 무조건 강요하는 나의 세계, 넷째, 약물의 고통에 대하여 침묵하게 만드는 강제치료의 공포 그리고 다섯째, 주체적으로 약물을 통제하는 삶 되찾기 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약물에 대한 자기결정권 고양을 위한 법정책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강제입원의 요건이 강제약물 치료를 포괄적으로 승인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별도로 약물에 대한 고지된 동의를 얻는 절차와 요건에 대한 입법되어야 한다. 둘째, 입원의 초기 시점에서 지원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 의료법에 결여되어 있는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를 입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동료 정신장애인은 지원의 사결정자로서 적합하다. 다섯째, 약물중단을 이유로 기초생활수급권을 박탈하는 관행은 폐기되어야 한다. 여섯째, 약물 중단후 생활하고 있는 당사자들의 존재는 기존의 제도적 관리담론과 인권담론의 조화를 요청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항정신병약물이 정신장애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그 자기결정권은 사회적으로 억압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억압 속에서 이전의 강제치료에 대한 공포가 내면화된 당사자들이 의료체계 직접적으로 저항하기보다 자의적인 복용규칙이나 약물 중단으로 대항하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당사자의 자기결정권 존중을 위한 법정책적 성찰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 - determination experience related to the use of antipsychotic drugs b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o reveal the legal policy implic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people who were admitted to mental hospitals and had experience of taking antipsychotic drugs for more than 1 year.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1 hour and 30 minutes to 2 hours of in - depth interviews.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by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antipsychotic drug of the mental disorder was classified into 15 subcategories, and the subcategories were again classified into 5 major subcategories. Finally, the five major categories classified as: First, Terrifying medications that penetrated my body for the first time in state of incapacity to resist, Second, Living with the suffering of medication being like the target of In Vivo experiment, Third, My world which unconditionally forces painful medicines, Fourth, The fear toward coercive treatment which makes me silence about the pain of medication, the and fifth, Regain independent life with control of med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ed the following policy measures for enhancing the self - determination of antipsychotics of the mentally challenged. First, Since the requirements for compulsory admission are not comprehensive approvals of compulsory drug treatment, they should be legislated on procedures and requirements to obtain informed consent for the drug separately. Second, support decision should be made at the initial stage of admission. Third,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he obligation to explain medical practices of doctors lacking in Korean medical law. Fourth, peer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are suitable as support decision makers. Fifth, the practice of depriving people of basic living rights for drug abandonment should be discarded. Sixth, the existence of the parties living after drug withdrawal calls for review of the existing institutional management discourse. In conclusion, despite the huge impact of antipsychotics on the lives of the mentally disabled, its self-determination is being socially suppressed. And it was found that previous fears of forced treatment were being countered by arbitrary medication rules or drug discontinuities rather than directly resisting the medical system.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정신의료기관 입 · 퇴원관련 의사결정지원제도 비교연구 - 시범 절차보조서비스를 중심으로 -

        이용표(Lee Yongpy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3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 이후 급속히 증가한 정신병상이 입 · 퇴원과정에서의 인권적 통제장치가 강화된 정신건강복지법 개정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유를 의사결정지원제도의 부재라는 관점에서 조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의사결정지원의 개념과 유형, 정신의료기관 입 · 퇴원제도 그리고 정신장애인에서 특수한 의사결정지원의 필요성을 문헌자료를 통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관련단체의 논란 속에 정신의료기관 입 · 퇴원과정에서의 의사결정지원제도로서 도입된 우리나라 절차보조제도를 영국과 일본의 사례와 비교 ·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절차보조서비스의 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서비스 대상에서 강제입원명령뿐만 아니라 외래치료명령을 받을 정신장애인도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둘째, 권익침해의 사전예방과 서비스대상의 확보를 위하여 사전지시서 적극 활용과 공적 등록체계 구축이 요구되고, 셋째, 절차보조사업과 지역사회 권익옹호체계를 연계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 참여를 확대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주요 과제로서 절차보조서비스 법제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why the number of mental hospital is maintained continuously even after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in view of the absence of a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concepts and types of decision-making support, the admission and discharge system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the special need for decision-making support of the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reviewed in the literature. And Korean procedural support system introduced as th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rights and interest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ases of Britain and Japa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procedural assistance services. First, the scope of the service should be expanded to thos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will receive orders to treat the community. Second, advance medical directive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and the public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prevent infringement of rights and secure service target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ty rights protection system linked to the procedural support service. Fourth, participation of peer support for mental disorder should be expanded. Fifth, procedural support services need to be enacted.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경로의존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이용표(Lee Yong Pyo)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2

        본 연구는 정신보건법 제정과 정신장애인의 장애인복지법상 장애범주에의 포함 등과 같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형성된 이후에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이 성과를 거두기보다 오히려 장기수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은 정신장애인을 환자로 보는 보건의료전달체계와 장애인 복지전달체계 사이에서 분절적인 상태로 시행되고 있으며, 자원개발, 지위할당, 권리의 배분과 같은 정책의 결과도 기존의 의료전문가 중심의 권력관계 틀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한 경로의존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경로의존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인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회적 관계나 제도를 재편성하는 역사적 전환점에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신보건법에 관한 혁신적인 개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why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person with mental disorder resulted in a failure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health program and vocational institution. To do so. this study explore the historical trends and outcom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according with the concept of path dependency in historical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person with mental disorder is depended upon the mental health policy inclining toward hospitalization and that the outcome of the policy is regressive. From the result. it can be implied that the mental health policy integrate in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in the center of the vocational policy for the better outcome.

      • KCI등재

        사회보장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 공적 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용표(Lee, Yong Pyo),송승연(Song, Seung Ye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관련 사회보장프로그램들이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7년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자 실태조사에서 수집된 정신장애인 1,000명에 대한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보장프로그램 중 기초생활보장 수급여부(β=.757, p<.001, OR=2.131), 장애등록여부(β=.385, p<.05, OR=1.470) 그리고 정신재활시설 이용여부(β=1.228, p<.001, OR=3.415)는 정신장애인의 경제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기초생활보장 수급이 정신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것은 선행연구와 상이한 것이었다.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첫째,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 확충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며, 둘째, 사회보장프로그램에서 정신장애인을 직접 고용하는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정신장애인들이 장애인 대상 사회보장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복지법 제15조 폐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고, 넷째,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정신장애인의 취업 포기를 유인한다는 기존 관점은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ocial security programs related to the mentally disabled on economic activities.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survey data on 1,000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collected from the 20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Survey on Mental Illness. As a result of analysis, among social security programs, basic living security(β=.757, p<.001, OR=2.131), disability registration (β=.385, p<.05, OR=1.470), and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use(β=1.228, p<.001, OR=3.415)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mentally disabled. In this study, it wa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at the supply and demand of basic living secu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First,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basis for expanding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programs that directly employ mentally disabled people in social security program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bolition of Article 15 of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be able to actively use the Disabled program. Fourth, the existing view that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induces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o give up employment should be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