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회의 문제는 칭의론 때문일까?

        이오갑(O?kab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0 No.-

        한국교회 문제는 무엇일까? 이 글은 현재 한국교회의 목회적, 도덕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의 하나로서 뜨겁게 일어나고 있는 개신교권의 칭의론 논쟁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특히 종교개혁적인 관점에서 칭의론이 무엇이고 그것이 한국교회의 문제들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규명하며, 문제의 원인이 칭의론이 아니라 오히려 개신교의 칭의론과 더 넓게는 구원론 자체가 올바르게 받아들여지지 못한 데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논쟁은 한국교회들이 겪고 있는 신학적이고 도덕적인 위기들의 원인이 ‘예수를 믿기만 하면 죄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는다’는 칭의론에 있다는 김세윤의 주장에서 비롯되었다. 거기에 대해 이진섭, 최덕성, 김경열, 이윤석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그의 주장들을 반박하고 비판했다. 그런 반론들은 김세윤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보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넓게는 그 자체로서 개신교 신학의 칭의론과 한국교회 문제들을 다시 생각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김세윤은 그리고 그에 대한 반론들도 대체로 칭의론에 대한 오해나 무지들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칭의론은 종교개혁의 유산이라는 점에서 종교개혁의 신학의 원의를 이해하는 게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논쟁가들은 종교개혁의 칭의론을 잘 알지 못한 채, 통속적이고 심지어는 틀린 논지를 폄으로써, 결과적으로 종교개혁 이전의 율법주의나 공로주의로 빠져 들어갈 길을 열어주었다. 그렇게 칭의론에 대한 그릇된 이해에 근거한 한국교회의 평가가 과연 얼마나 옳을 수 있을까? 즉 칭의론이 한국교회의 도덕적인 부패의 원인이라는 판단 자체가 성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오히려 현재 한국교회의 위기를 칭의론 때문이 아니라, 올바른 칭의를 통해 그리스도인이 ‘되는’ 일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칭의론 때문이 아니라 진정한 칭의론에 근거하지 못해서 문제이다. 칭의론에 입각해서 한국교회 신자들은 과연 그리스도인이 되었고, 한국교회들은 정말 교회가 되었을까? 한국교회가 현재의 심각한 위기들을 극복하고 새롭게 거듭날 수 있는 길은 어디에 있을까? 많은 방안이 가능하지만 결국은 신자들이 진정으로 그리스도인이 되고 교회가 되는 일이 핵심이다. 그를 위해 각 사람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그의 은혜를 받아들이는 진정한 믿음을 세우는 일이 필요하다. 그 믿음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며, 성령의 은혜 가운데서 세상을 향한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참여와 헌신, 사랑의 삶을 이루도록 돕는 일이다. 한국교회의 미래는 그런 믿음과 삶, 칭의와 성화의 통전적이고 균형있는 교회를 세우기 위해 기도하고 연구하고 복음을 설교하는 일을 얼마나 잘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heated argument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which is currently presented in the Korean Church, and to examine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 The argument began by Kim Se–Yun who claims tha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caused the moral crisis in the Korean churches. According to him, the Korean churches have taught people that they are ‘to be forgiven their sin and saved for eternity at a time when they get to believe Jesus Christ.’ But such scholars and pastors as Lee Jin–Sub, Choi Duk–Sung, Kim Kyung–Yul, and Lee Yun–Suk disput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Moreover, they, per se,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of Reformation and its relation to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es. Both Kim and his rebutters, in fact, show misunderstanding or lack of knowledge abou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in general. It is indispensable to understand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theology of Reformation because the doctrine is attributed to it. But many scholars, without understanding of it, make banal, or even incorrect, assertions and end up opening a path to the nomism and the meritism which preceded Reformation. How could the Korean churches be assessed rightly when it is based on the misunderstanding abou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This means that it cannot be valid to judge whether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is the cause of moral corruption. Rather, the corruption of Korean churches can be said to consist in failure to become true christians by correct faith. It is not because of the doctrine itself, but because it is not grounded on the authentic doctrin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칼빈 500년: 역사 속의 칼빈과 그의 현재성

        이오갑(Lee O-Kab)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5

        금년은 칼빈 출생 500주년이다. 이를 기념하면서, 이 글은 종교개혁자 칼빈이 어떻게 형성되고 무엇을 하였으며, 현재까지 어떻게 이어져 왔는지를 보고자 한다. 물론 이것은 칼빈 이후의 개혁교회의 역사나 칼비니즘의 역사, 또한 칼빈에 관한 해석이나 연구사는 아니다. 오히려 우리가 칼빈의 사상과 사역들속에서 발견하는, 독특하게‘칼빈적’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의 형성과 전승과정을 보려는 것이다. 그리고 21세기를 맞는 현재, 그것이 오늘 지구적이고, 또한 한국적인 상황 속에서 어떻게 재조명되고, 해석되어야 하는지,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에 관심한다. 이 글은 가장‘칼빈적’인 것들을 세 가지로 보고, 각각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추구한다. 첫째, 신 중심주의이다. 그것은 물신주의와 세속주의에 사로잡힌 현대인들과 교회에게 진정한 초월적 영성을 회복시켜 준다. 둘째, 개혁적 영성과 실천이다. 그것은 분리되고 단편적인 삶을 사는 현대인들에게서 지식과 실천, 신앙과 삶, 영성과 도덕성, 피안과 차안, 안과 밖이 분리되지 않는 존재의 통전적 일치를 회복시켜 준다. 셋째, 사회적 관심과 참여이다. 그것은 신자유주의의 경제적 파산으로 인해 더욱 피폐해진 가난한 나라들과 계층들에 대한 적극적 관심을 촉구하고, 은행, 금융회사, 탐욕적 투자자들, 그들과 결탁한 정부에 대한 감시와 발언, 규제 등을 통해서, 세상 속에서의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를 위한 노력을 가능하게 해준다. In commemoration of 500th year anniversary of the birth of Jean Calvin, this treatise examines the formation of Calvin the reformer and his traditions. Certainly this is nither the history of the Reformed or the Calvinism after the Reformer, nor the history of the interpretations or studies about Calvin. The study seeks what are the most calvinian concepts and issues we can find in the thought and ministry of Calvin, and how his thought succeeds until now in France, Swiss, other European countries and North America. This treatise also suggests how we can reinterpret and develope the ‘calvinians’in worldly and korean situations of 21st century as follows: First is the iconoclastic theocentrism that Calvin’s “A Dieu seul la gloire”implicate. This restores the transcendent spirituality to the modern persons and churches captured by secularism and mammonism, Second, the reforming spirituality and practice. They provide to the modern persons and churches suffering from the broken and separated lives, the integrity or unity of being in which are not separated knowledge and practice, faith and life, spirituality and morality, heaven and earth, eternity and the presence, inside and outside etc.. Finally the social concern and participation. They push for the church’s concern to the more impoverished countries and classes by the economic failure of Neocapitalism, and make possible, in the world, Justice and Peace of God by means of surveillance, remark, control to the actions of voracious banks, financial companies, investors and even the government in collusion with them.

      • KCI등재

        루터 신학과 영성의 개요― 구원론과 칭의, 십자가의 신학, 성서를 중심으로

        이오갑(Lee, OKab)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8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면서 루터의 신학사상을 되짚어보는 일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특히 루터의 종교개혁이 무엇이었는지, 그 신학과 영성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글은 루터의 신학과 영성의 개요를 주요한 주제들을―구원론과 칭의, 십자가의 신학, 신앙과 행위 그리고 성서 등― 중심으로 살펴본다. 루터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세 가지 점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루터의 종교개혁은 자유를 핵심으로 하고 있다. 루터는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두려움으로써 교회에 예속되어 살던 사람들을 복음으로써 자유롭게 했다. 그래서 신자들의 삶과 종교 행위의 이유가 불안이나 공포가 아니라 구원받은 자의 감사와 기쁨이 되게 했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도 교권으로부터 해방시켜서, 사람들 스스로 그리고 직접 읽고 알아나갈 길을 열어주었다. 그럼으로써 사람들을 하나님의 말씀 앞에 실존적인 존재로 세우고 자발적인 선택과 결단을 가능하게 했다. 둘째, 루터의 종교개혁은 진정한 신앙과 회심 그리고 변화의 길을 열어준다. 신자들이 받은 구원과 자유가 자신들의 행위나 능력이나 자질로써가 아니라 십자가에 죽으신 그리스도의 은총 덕분임을 강조한다. 그 은총을 전적으로 믿고 받아들이는 것이 신앙이다. 그것은 동시에 자기 자신이 구원에서 무력하고 왜곡되어 있기까지 한 존재임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다른 말로, 자기가 자신의 생명에서나 존재에서나 삶에서 주(主)였던 과거의 자기중심적이고 교만한 죄인을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자기중심적인 자신을 떠날 때 비로소 전적타자인 하나님을 그리고 이웃과 창조세계에 가득한 수많은 타자들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셋째, 루터의 종교개혁은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감사하며 자기 차례가 되어 사랑을 하게 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흐름을 밝혀주었다. 신자들은 자신이 얻은 자유가 자신이 그것을 누릴만해서가 아니라 성자를 십자가에까지 내어주신 하나님의 사랑의 결과임을 믿는다. 즉 자신의 자유가 근본적으로는 하나님의 사랑의 결과임을, 그래서 그것이 얼마나 감사하며 소중한지를 깨닫는다. 그리고 이제는 자신도 하나님을 기쁨으로 사랑하게 되고, 하나님이 창조한 세계를 사랑하게 된다. 하나님이 주신 자유로써 세상을 사랑하고, 세상을 사랑함으로써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In commemoration of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it is significant to reexamine the ideology of Martin Luther. It seems especially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his Reformation is and the very core of his theology and spirituality.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ortant subjects of his ideology and spirituality: soteriology, justification by faith, theology of cross, faith and work, scripture. Taken as a whole, his ideology consists of three remarkable points. First, freedom plays a key role in Luther’s Reformation and ideology. With evangel, Luther liberated the men from the Church that made them afraid by constantly preaching God’s wrath over the sinners. So the cause of believers’ life and religious acts became gratitude and joy, not anxiety or fear. The scripture, Word of God, was also liberated from the Magisterium of Church allowing men to read it by themselves and understand God’s Will directly. Therefore, the believers could become an existential being in the face of God’s Word, and volunteers of choice and decision towards God and his world. Second, the genuine faith, convincement, and the way of christian life were opened by the virtue of the Reformation and the ideology of Luther. He emphasized that the salvation and freedom of believers are realized not by their works but only by the grace of Christ dead over the cross. Faith is to believe and accept grace. At the same time, it also consists of accepting the fact that the believer himself is powerless of his own salvation and that he is distorted as a sinner.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he leaves his past himself, an egocentric and arrogant sinner who was the lord of his own being or life. Leaving such himself, and only then, can he accept God the Other, the neighbors and the others in the created world. Third, in Luther’s ideology, the stream of christian life where the believer, awaken to God’s love, comes to love God and the others with gratitude at his time is exposed.

      • KCI등재

        칼빈의 삼위일체론

        이오갑(Lee O-kab)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6 신학사상 Vol.0 No.134

          칼빈의 삼위일체론은 1536년의 기독교강요 초판에서부터 등장한다. 그러나 그는 곧 카롤리에 의해서 아리우스파라는 고발을 당하면서, 그와의 논쟁에 들어간다. 그 뒤 세르베투스, 젠틸리스 등의 반삼위일체 사상가들과 논쟁을 거치면서 그의 삼위일체 사상은 풍부해지고 발전하게 된다. 그의 삼위일체 사상은 성서주석이나 설교들을 통해서도 설명되지만, 최종적으로는 1559/60년 기독교강요 최종판에서 완성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그의 삼위일체론은 "한 본질에서의 일치와 세 위격에서의 구별"이라는 아타나시우스적 관점을 따른다. 그러나 그는 위라는 용어를 독특하게 subsistentia로 번역했는데 이는 생활이나 급양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는 그것을 프랑스어로는 거주(r?sidence)라고 번역했다. 그런 점에서 그의 각각의 위가 본질과 맺는 관계를 사람들의 생활, 특히 주거생활과 밀접한 방식으로 설명했다. 즉, 위는 본질 안에 뿌리내리고 거기에 거주한다는 것이다.   Calvin"s thought of Trinity appears from the first edition of his Institutes(1536). But Calvin entered in the debate(1536-1537) with Pierre Carolie who accused him of Arianist. After than, He developed his thought of Trinity through the debates with antitrinitarians, M. Servetus(1553) and V. Gentilis(1558). Even if his thought of Trinity is described in his biblical writings, that are commentaries and sermons, it is finally accomplished in the last editions of Institutes(l559/1560). In a total perspective, his thought which is expressed as "the unity in one essence of God and the distinction in the three persons" is similar to the Trinity of Athanasius. But he translated particularly the Greek hypostase into the Latin subsistentia that means livlihood, survival, life, provision etc.. He also translated it into the French r?sidence. In this perspective, he explains the three persons" relation along with their one essence as the life, especially, as residing life of the men.

      • KCI등재

        깔뱅의 사회 선교

        이오갑(Okab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9 선교와 신학 Vol.24 No.-

        이 글은 깔뱅이 제네바에서 수행한 사회 선교를 살펴본다. 깔뱅은 1차 제네바 거주 시부터 ‘조항’ 이나 ‘신앙고백’ 등을 통해 주민의 종교적ㆍ사회적ㆍ도덕적인 타락과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그는 자유 도시로서 독립하고 종교개혁 도시로서 새 출발하는 그 곳에 사회의 기강과 체계를 세우고자 했다. 당시 제네바는 혁명과 전쟁을 막 끝내서 혼란스럽고 무질서했다. 구 체제가 물러가고 정치와 교회 모두 새 체제가 들어섰으나 여전히 갈등과 분열이 내재한 상태로서 사회의 통합과 안정은 요원했다. 깔뱅은 그런 제네바에서 통치자와 시민, 상급자와 하급자 사이에 정당한 관계를 세워 나가고자 했다. 1541년 2차 거주 시, 깔뱅은 일반 병원을 통해서 병자를 치료하고 가난한 자들을 구호했다. 또한 교육을 강조하고 학교를 세움으로써 교회와 사회의 미래의 인재를 키워 냈다. 1545년 프로방스 개신교도 학살을 계기로, 그는 박해받는 동족을 구호하기 위한 프랑스 기금을 설립하고 운영했다. 깔뱅의 사회 선교는 일반 대중의 생계비와 직업, 입금 인상, 노동과 직업 조합 설립, 그리고 대금업 특히 이자율 제한에까지 이르는 경제 및 사회 문제 자체와 또한 그런 것을 입법화하기 위한 소위원회 등에 대한 요청과 협상 압박 등 정치 활동을 포괄했다. 깔뱅은 그런 사회적인 모든 활동을 하나님의 말씀의 종으로 부름받은 목회자의 입장에서 수행했다. 그러나 그의 하나님은 사회적인 지평에서는 부자보다는 일반 대중, 특히 가난한 이들의 대의(cause)에 충실한 하나님이었다. 물론 깔뱅은 가난한 이들의 죄와 무지에 대해 모르지 않았으나, 가난과 실직과 질병과 차별의 사회적 문제 앞에서는 약자를 향한 사랑과 정의의 사도가 되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깔뱅의 사상은 세계 경제 위기를 가져온 신자유주의의 대안이 된다. 이자율의 제한, 중ㆍ상공업의 육생, 서민과 실직자의 일자리 창출, 약자와 빈자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와 지원, 그리고 그런 것이 효과적으로 지속되도록 항상 법제화하고 구조화했던 깔뱅은 시대와 장소를 뛰어넘는 가치를 지닌다. 그런 깔뱅은 어디서나 실직자와 파산자가 양산되고, 부익부 빈익빈의 현실이 심화되고 있는 자유방임적 선자유주의 세계를 넘어 정의와 인류애를 바탕으로 한 평화로운 세계를 구현해 나갈 과제를 안고 있는 현대 교회와 사회에 필요한 중요한 가르침을 제공해 주고 있다. Calvin’s social mission includes not only the social welfare that gives aid, through the Hopital general, the Bourse francaise to the sick, the poor and the refugee but also the socio-economic problem ilself, such as living costs, employments, foundation of trade union, usurys, and the political activities that are triggered by demands, negotiations and pressures to the Conseils of city. Calvin engaged in these all activities as a minister who is called as slavery of God’s Word. His God is committed to the cause of the poor and the weak in the concrete social reality, even though He does not rule out the salvation of the rich. In the face of the poverty, the employment and the discrimination etc., Calvin does not hesitate to be the apostle of the justice and the charity for the weaks. Calvin’s social idea and mission becomes an alternative of New Liberalism that has caused the economic crisis, even disaster to the world since last year. In this meaning, I think that the Calvinism is an “idia changing the world right now” (Time, 23 march 2009). Calvin emphasized the interest limit, support to the small and midium enterprises and commerces, employment creation, and the states’ intervention and control. Such Calvin’s value surpassed the age and the milieu. He makes way to the just and peaceful world over the New Liberalism that results in the number of the jobless and the bankrupt anywhere, and aggravates the reality of ‘the rich-get-richer and the poor-get-poorer.’

      • KCI등재

        종교개혁자들의 경제관

        이오갑(Okab Lee) 한국사회이론학회 2017 사회이론 Vol.- No.52

        루터는 자본주의의 발전과 변화에 대해 상당한 의혹과 경계심을 보여주었다. 그는 기본적으로 농업경제를 선호하고 지지했다. 당시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원거리 무역에 대해서는 필요를 인정했지만 의구심을 가졌고, 사치품의 수입에 대해서는 분명히 반대했다. 고리대금업에 관해서 기본적으로는 신중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합리적이고 현실적으로 사고했다. 츠빙글리 경제관은 당시 이뤄지고 있던 상업자본주의의 발전을 반영하고 있다. 그와 그의 종교개혁은 취리히 도시정권의 지지를 받았고, 그 또한 그들을 지지하며 취리히의 교회와 국가를 지켜나갔다. 결과적으로 츠빙글리의 사회-경제관은 실제로는 보수적이고 현상유지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기존의 사회질서들을 - 세금이나 지대, 이자, 심지어는 허용된 범위의 고리대금 등 - 대부분 그대로 놓아두고 준수할 것을 요청했다. 칼뱅은 직업을 사회적 수요에 따라 평가했던 중세의 사고를 완전히 벗어나서 직업이나 신분의 다양성과 평등을 인정했다. 뿐만 아니라 당시에 번성하던 상업과 무역을 높이 평가하고, 거기에서 인류 상호간의 교통과 일치라는 영적인 가치까지도 찾아냈다. 그는 고리대금업에 대해 현실적인 이유들을 고려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접근했다. 그러나 칼뱅에게서 가장 큰 특징은 경제사상의 바탕에 인류애 또는 이웃사랑의 정신이 깔려있다는 점이다. 전체적으로, 종교개혁자들은 자본주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오히려 그들이 자본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들의 관심은 자본주의나 경제나 돈이 아니고 사람들과 그들이 함께 살아가는 사회였다. 그런 정신은 바로 오늘, 신자유주의가 지배하는 현대 세계에, 우리 한국사회에 있어야 할 것이다. Luther fundamentally had advocated the agricultural economy. He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the overseas trade that actively took place in those days, even though he had many doubts about it. But he adamantly opposed the importation of luxury goods. Relating to usury, he showed a fundamental attitude of prudence, but also a rational and realistic thought. Ideology of Zwingli reflects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capitalism that actively took place in Swiss. Zwingli and his Reformation were supported by the civil authority of Zurich, and by supporting that, they protected and maintained the civil state and the new church that were threatened by both sides, catholic and anabaptistic camps. As a result, Zwingli’s social economic ideology has a conservative and a status quo characteristics. Being completely rid of the medieval thinking in which the works or status is rated according to social demand, Calvin asserted the equality of work and it’s diversity. Moreover, he highly appreciated the commerce and the trade that flourished then. In commerce, he found a value of mutual communication and unity of humankind. He rationally approached usury considering the realistic reasons. But the best feature of Calvin"s economic thought is that it is based on the sprit of neighborly love and humanity. Enfin, we believe that the reformers were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rather than to fluence it. Their concern is neither economy nor money, but the community where men live together in peace and equity. Isnt’ such spirit required especially now in the era of New-Liberalism, especially in our Korean society? It is the reason why we should rediscover and accept the thought and the practice of Reformers who struggled with the spiritual values such as community, charity, humanity instead of economy or money.

      • KCI등재

        칼뱅의 정치사상과 민주주의 ― 관헌과 국민의 복종 및 저항권을 중심으로

        이오갑 ( Lee Okab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5 No.-

        이 논문은 칼뱅의 정치사상에서 특히 관헌과 국민의 복종과 저항권의 주제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근대 민주주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를 평가한다. 그의 사상을 민주주의와의 관계에서 파악하는 것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그의 사상이 방대하기도 하지만, 당시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그에 대한 평가가 다양하고 상반되기 까지 했던 이유이다. 나는 칼뱅의 정치사상이 근대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을 더 적극적으로 본다. 물론 오늘의 시각에서 보면, 그의 사상은 현대 민주주의에는 못 미치는 점이 있다. 그러나 칼뱅이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시기의 인물이었으며, 더구나 종교인으로서 모든 걸 성경과 신(神)을 중심으로 생각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프랑스어권 종교개혁의 안위를 염려했던 그는 권력자들을 의식해서 스스로 검열할 필요도 있었다. 칼뱅의 정치사상은 종교개혁이라는 대의를 위해 정치적으로 특히 절대왕정과 타협했던 결과를 반영해준다. 그런 한계들이 있지만, 그의 저술 곳곳에서 드러나는 뚜렷하게 법치주의적이고 민주적인 성격은 이후 민주주의 발전에 공헌했던 정신적 유산임이 분명하다. 가령, 칼뱅은 관헌들이 서로 협력하면서도 견제하고, 감시하는 ‘권력의 분립’을 주장했다. 또한 관헌이 무제한의 권력과 사욕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법으로써 그의 권한을 엄격히 제한하고 법의 테두리 안에서만 인정했다. 관헌의 권력 남용이나 오용에 대해서도, 사사로운 개인이 나서는 걸 반대했지만, 상위관헌에 대해서는 하위관헌이, 하위관헌에 대해서는 상위관헌이 해결하는 제도적인 방식을 제시했다. 그가 귀족정과 민주정의 ‘혼합정’을 말함으로써 귀족정이 가진 과두정의 위험과, 민주정이 가진 혼란의 위험을 동시에 없애면서 그 둘의 장점을 살리는, 근대식으로 말해 ‘대의정치’를 선호했던 것도 마찬가지이다. 그런 점들이 모두 결과적으로는 철저한 법치주의, 권력의 분립과 상호 견제, 합리적이고 제도적인 절차를 통한 권력남용의 방지, 민주선거를 통한 엘리트들의 정치(대의제)로 이어졌다. 또한 칼뱅은 양심의 자유를 바탕으로 폭군에 대한 저항의 길을 열어놓았다. 그 사상은 그의 사후, 개신교 탄압과 종교전쟁의 격동기에 모나르코마크들에 의해, 합법적인 저항과 반역, 심지어는 국왕 처형까지 가능한 국민주권론으로 발전했다. 그런 점들은 모나르코마크들을 넘어 존 밀턴, 존 로크, 장-자크 루소 같은 근대 계몽사상가들과 올리버 크롬웰, 로저 윌리엄스 같은 혁명가들을 통해 근대 민주주의 혁명들의 흐름 속으로 들어왔고, 권리청원과 권리장전, 미국 헌법, 인권선언들 속에서 표현되었으며, 그런 방식으로 근대 민주주의 정치제도들 속에서 현실화되었다. 그러므로 칼뱅의 정치사상이 민주주의적이며, 근대 민주주의를 향해 열려 있었고, 그것의 발전에 실제적인 영향을 많이 미쳤다는 평가는 결코 과장이 아닐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Calvin’s political thought with a focus on the themes of Magistrate, the people's obedience and right to resist, and evaluates how it might hav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modern democracy. It is not a simple task to grasp his ideas in relation to democracy. Although his ideas are vast, each we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mplex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ime. This is the reason why evaluations of him have been varied and contradictory so far. I look at the influence of Calvin’s political thought on modern democracy more positively. Of course, from today’s point of view, his ideas do fall short of modern democracy. However,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Calvin was person of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era, and moreover, as a religious man, he considered that everything centered around the Bible and God. He was also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the French-speaking Reformation, so he was conscious of those in power and needed to censor himself. Calvin’s political ideas reflect the results of compromises with the absolute monarchy, especially politically, for the cause of the Reformation. Although there are such limitations, it is clear that his distinct democratic and rule-of-law character revealed throughout his writings is a spiritual legacy tha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ater democracy. For example, Calvin advocated for the ‘separation of powers’ in which officials cooperated, checked, and monitored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official could pursue unlimited power and self-interest, his authority was strictly limited by law and recognized only within the limits of the law. Regarding the abuse or misuse of power by the government officials, he opposed private individual initiatives, but suggested a systematic way of the low-ranking officials officiating high-ranking officials’ affairs and the high-ranking officials officiating the low-ranking officials’ affairs. He also preferred in modern terms ‘representative politics,’ in which the dangers of oligarchy and the chaos of democracy were simultaneously eliminated by referring to the ‘mixed government’ of aristocracy and democracy which maintained its strengths. All of these points eventually led to strict rule of law, separation of powers and mutual checks, prevention of abuse of power through rational and institutional procedures, and elite politics (representative system) through democratic elections. Calvin also paved the way for resistance to tyrants based on freedom of conscience. After his death, during the turbulent times of the Protestant repression and religious wars, the Monarchomachs developed a theory of popular sovereignty that allowed legal resistance to and even execution of the king. Such ideas flowed beyond the Monarchomachs and into the modern democratic revolutions through modern Enlightenment thinkers and revolutionaries such as John Milton, John Locke, Jean-Jacques Rousseau, Oliver Cromwell and Roger Williams etc. Calvin’s ideas were realized in modern democratic political institutions through the Petition of Rights, the Bill of Rights, the US Constitution and Human Rights Declarations. Therefor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Calvin’s political ideology was democratic, open to modern democracy, and had a substantial impact on its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