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콩 재배시 물관리 방법에 의한 양분의 용탈과 작물 흡수
이예진,한경화,이슬비,성좌경,송요성,이덕배,Lee, Ye-Jin,Han, Kyung-Hwa,Lee, Seul-Bi,Sung, Jwa-Kyung,Song, Yo-Sung,Lee, Deog-Bae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기상 조건 및 관개 여부가 양분용탈 및 콩의 양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콩을 재배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콩 재배기간인 6월부터 10월까지의 증발산량은 무관개구의 경우 강우에 따라 변동되었으며, 2016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지온상승 및 강우 빈도의 감소로 증발산량이 감소하다가 9월 중순 강우에 의해 유효수분 함량을 회복하여 생육 후기에 증발산량이 증가하였다. 질산태질소의 지하 용탈량은 2016년 7월 초 5일간 강우가 지속되었을 때 가장 많았으며, 그동안 지하배수가 거의 없었던 무관개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개화기 및 착협기인 7월 중순부터 8월까지 한발로 인하여 무관개구의 토양 수분함량은 7월 초의 50%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콩 수량은 적습관개구의 25% 수준이었다. 적습관개구와 무관개구의 양분 흡수량을 비교한 결과 질소 흡수량이 적습관개구에서 20~50% 더 높았으며, 인산, 칼리 흡수량 차이는 미미하였다. 토양 수분함량은 콩의 질소 흡수에 영향을 미치며, 적정 수량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관개를 통한 적정 수분 공급이 필수적이었다. BACKGROUND: Soil water content strongly depends on weather condition and irrigation, and it could influence on crop nutrient use efficienc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nutrient uptake of soybean by soil water condition.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nutrient leaching and crop uptake as affacted by water management practice was investigated using weighing lysimeter which is located i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Wanju, Jeonbuk province from June 2015 to October 2016. Water supply for soybean (cv. Daewon) was managed with irrigation and rainfall. Nitrate leaching was greatest in the rainfall treatment at early July 2016. Yield of soybean in the rainfall treatment was only 25% compared to the irrigation due to the drought at flowering and podding period. The uptake of nitrogen was considerably reduced by drought whereas the uptake of phosphorus and potassium was less affected by drought. CONCLUSION: It was proven that nitrogen loss and uptake were dependent on soil water condition. Therefore, irrigation water management to maintain available soil moisture capacity is critical to nitrogen uptake and yield of soybean.
메타버스의 수업활용에 관한 사용자 경험 분석 - 스페이셜(Spatial)을 중심으로 -
이예진,정광태,Lee, Yejin,Jung, Kwang-Tae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2
In this study, the user experience was analyzed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metaverse platform 'Spatial'. SUS(System Usability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metaverse platform 'Spatial' in a college class, and the Magnitude estimation technique was used to evaluate the immers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user experience opinions on the use of 'Spatial' as a teaching tool. Looking at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of the 'Spatial' system, the students evaluated the usability, immersion, and satisfaction quite positively. Looking at the user experience of metaverse platform 'Spatial', it was found that students highly valued Metaverse as an educational tool that can provide a place for many people to gather and communicate even in a non-face-to-face space. Compared to other online platforms, metaverse has advantages in ease of use, interaction, immersion, and interest.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keyboard, touch, and display, interaction using the five senses such as voice, motion, and gaze was recognized as a great advantag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high openness, freedom, and interest factors can both promote learning and inhibit learning. Nevertheless, it is judged that the metaverse platform 'Spatial'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college classes because it enables various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or between learner and learner.
이예진,Chung-Jae Lee 대한예방치과학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 Vol.19 No.1
Objective: To evaluate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ness of temporary dental resin according to the slice thickness of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printers, considering the rapid spread and use of dental 3D printers. Methods: The temporary dental resin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slice thickness of the DLP 3D printer: 0.01 mm, 0.025 mm, 0.075 mm, 0.1 mm, and 0.15 mm, with ten specimens in each group, amounting to a total of 50 specimens. The scanned data of the silicone impressions obtained from the scanner were evaluated for fitness in the marginal, axial, and cuspal regions using a CAD program. Results: The mean value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gaps by slice thickness for DLP 3D printers showed the highest gaps in the 0.15 mm group, and relatively low gaps in the 0.01 mm group. When examined by site, the lingual cusp had the highest spacing, while the lingual margin had relatively low spac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slice thickness (p<0.001) and by measurement site (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mbined effect of Slice Thickness and Site (p=0.001).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temporary dental restorative resins produced by DLP 3D printers show higher fitness with thinner slice thickness and all of them are in the clinically acceptable range (<120 μm), suggesting they can be sufficiently used for making temporary dental restorative resins.
The effect of metformin on culture conversion in tuberculosis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이예진,Sung Koo Han,Ju Hee Park,Jung Kyu Lee,Deog Keom Kim,Hee Soon Chung,Eun Young Heo 대한내과학회 2018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33 No.5
Background/Aims: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and tuberculosis (TB) have increased morbidity and a high risk of treatment failure or recurrence. It is important to manage both diseases simultaneously. Among anti-diabetic drugs, metformin inhibits intracellular growth of mycobacteria.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metformin on TB treatment, especially in patients with DM.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culture-positive pulmonary TB diagnosed between 2011 and 2012. The primary study outcome was sputum culture conversion after 2 months of treatment. Results: Of 499 patients diagnosed with culture-positive pulmonary TB, 105 (21%) had DM at diagnosis. Among them, 62 (59.5%) were treated with metformin. Baseline characteristics, except for the presence of chronic renal disea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etformin and non-metformin groups. Metformin trea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putum culture conversion (p = 0.60) and recurrence within 1 year after TB treatment completion (p = 0.39). However, metformin improved the sputum culture conversion rate in patients with cavitary pulmonary TB, who have higher bacterial loads (odds ratio, 10.8; 95% confidence interval, 1.22 to 95.63). Conclusions: Among cavitary pulmonary TB patients with DM, metformin can be an effective adjunctive anti-TB agent to improve sputum culture conversion after 2 months of treatment.
노지 대파 관비 재배 시 비료 종류와 양분 공급비율에 따른 수량 및 비료이용효율
이예진(Yejin Lee),송요성(Yosung Song),이슬비(Seulbi Lee),이찬욱(Chanwook Lee),현병근(Byungkeun Hyu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물과 비료를 동시에 공급하는 관비재배는 물과 비료를 각각 주는 방식에 비해 작물의 물과 비료 이용효율이 높고, 비료주는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대부분 강우의 영향이 없는 시설재배지에서 관비 재배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외부 환경 제어가 어려운 노지 재배지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적 가뭄 등에 취약하기 때문에 상시 물과 양분 공급이 가능한 관비재배 시설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웃거름으로 여러 번 비료 공급이 필요한 노지재배 대파에 대한 관비공급 방법을 설정하고자 밑거름 비료 종류와 관비 공급 비율에 따른 수량 및 양분흡수에 따른 비료이용효율을 평가하였다. 충북 괴산의 농가 포장에서 4월 23일 정식하여 8월 6일 수확하였으며, 시험구는 20m² 씩 2반복으로 처리하고 각각 3반복 시료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비료량은 토양검정 비료추천량을 기준으로 하였고, 밑거름은 무기질비료, 유기질비료, 퇴비를 처리하였으며, 유기질비료와 퇴비는 질소함량을 기준으로 처리하였다. 웃거름은 기존 비료사용처방의 웃거름 비율인 질소 60%, 칼리 40%와 웃거름 비율을 높인 질소 70%, 칼리 60%, 질소와 칼리 모두 80% 웃거름 공급으로 처리하였다. 웃거름은 관비를 통해 2주 간격으로 공급하였으며, 수분은 –33kPa을 기준으로 공급하였다. 밑거름 종류별 대파 수확량은 무기질비료 > 퇴비 > 유기질비료 순이었으며, 웃거름 비율별 대파 수확량은 질소 70%, 칼리 60%에서 가장 많았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질소 흡수량은 밑거름 비율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질소 이용효율 또한 밑거름 비율이 많은 처리에서 높았다. 작물 생육량에 따라 양분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웃거름 비율이 높은 것이 용이 하나, 노지 특성 상 재배 중간 강우가 있을 경우 양분을 공급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토양 수분과 강우에 의한 비료의 희석효과도 있어 웃거름 비율이 높은 처리구의 질소 흡수량이 낮은 경향을 보인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작물 수확량과 비료 이용효율을 모두 고려했을 때 밑거름 종류와 상관없이 대파 관비 재배 시 웃거름 공급비율은 질소 70%, 칼리 60%가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배추 재배에 따른 질소 용탈과 수지
이예진 ( Ye Jin Lee ),옥정훈 ( Jung Hun Ok ),이슬비 ( Seul Bi Lee ),성좌경 ( Jwa Kyung Sung ),송요성 ( Yo Sung Song ),이덕배 ( Deog Bae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7 No.3
BACKGROUND: Nitrogen leaching depends on the drainage pattern and nitrate content, and those are influenced by soil hydraulic properties and fert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soil texture contributed to leaching and balance of nitrogen, as well as to drainage.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undisturbed weighing lysimeters which were piled up with clay loam (Songjung series) and sandy loam (Sanju series) soils i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experimental field. Chinese cabbage was cultivated from August 30 to October 31, 2017. The application rates of N, P<sub>2</sub>O<sub>5</sub>, and K<sub>2</sub>O were 21.5, 7.8, and 15.0 kg 10a <sup>-1</sup> , respectively, and irrigation was supplied at -33 kPa in 30 cm soil depth. Drainage in clay loam was not noticeable, although it was increased by rainfall in early September. By contrast, the trend of drainage in sandy loam was strongly dependent upon rainfall pattern. Owing to different drainage patterns between both soil textures, nitrogen leaching was 5-fold higher in sandy loam than in clay loam. Nitrogen use efficiencies in clay loam and sandy loam were represented as 43% and 52%,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attern of drainage and nitrogen leaching were greatly depended on clay content in soil. From this study, we carefully suggest that soil textur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cidental factor to estimate nitrogen balance.
이예진 ( Yejin Lee ),이찬욱 ( Chanwook Lee ),이슬비 ( Seulbi Lee ),현병근 ( Bynggeun Hyun ),송요성 ( Yosung Song ),김양민 ( Yangmin X. Kim ),조송래 ( Songrae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농업의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공익직불제 시행으로 농업인의 적정 비료사용이 의무화되었다. 농업기술센터에서는 농업인에게 적정 비료사용량을 처방하기 위해 흙토람 비료사용처방 프로그램을 통해 비료사용처방서를 발급하고 있으나, 아직 비료사용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소면적 재배 작물은 적정 비료사용량을 처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의 처방 수요가 있으나 아직 비료사용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소면적 작물의 농가 현장 비료사용량과 토양 화학성을 조사하였고, 작물의 양분흡수량을 분석하였다. 대상작물은 애플수박, 복수박, 단호박, 아로니아이며, 조사 지역은 재배농가가 많은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애플수박은 경남 합천, 전북 고창, 충남 예산에서 총 20농가, 복수박은 전남 광양에서 15농가, 단호박은 경남 하동, 충남 천안에서 총 22농가, 아로니아는 충북 단양, 영동, 옥천에서 총 24농가에 대해 조사하였다. 애플수박과 복수박은 시설 재배지, 단호박과 아로니아는 노지 재배지에서 조사하였다. 애플수박과 복수박 재배지의 평균 비료사용량은 각각 질소-인산-칼리=15.6-7.1-7.8 kg/10a, 24.0-12.6-10.2 kg/10a 이었으며, 애플수박에 비해 비료 사용량이 많았던 복수박 재배지의 유효인산과 질산태질소의 함량이 높았다. 애플수박과 복수박의 평균 양분흡수량은 각각 질소 9.4, 7.5 kg/10a로 애플수박의 질소 흡수량이 많아 농가에서 질소 비료사용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단호박 재배지의 평균 비료사용량은 질소-인산-칼리=16.0-9.7-9.3 kg/10a이었으며, 단호박의 평균 양분흡수량은 질소 8.7 kg/10a 이었다. 단호박은 1주에 과 1개씩 수확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수확하는 호박 질소 흡수량의 약 1/3 수준이었다. 아로니아의 평균 비료사용량은 질소-인산-칼리=18.8-7.0-8.1 kg/10a이었으며, 과의 평균 질소 흡수량은 1.9 kg/10a 이었다. 한 나무 당 잎의 질소 흡수량은 작물 특성상 구하기 어려워 산정이 어려우나, 잎의 질소 함량은 평균 2.6%, 과는 1.0%로 잎에서 흡수량이 많았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조사결과를 통해 농가에서 작물 흡수량에 비해 과다하게 비료를 주는 작물은 비료 사용량을 줄여 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작물의 농가 비료사용량과 토양 화학성, 양분흡수량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농가에 적정량의 비료를 추천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