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진로탐색과 부모의 진로지지를 둘러싼 부모-자녀 상호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이양희(Lee, Yanghee),조혜영(Jo, Hye-you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미래교육학연구 Vol.32 No.3

        이 연구는 진로 관련 고민이 본격화되는 시기인 중학생들의 진로탐색과 부모의 진로지지 과정에서 부모와 자녀의 상호 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모와 청소년 자녀 7쌍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희망진로 탐색과정에서 부모와 자녀의 인식 차이는 여러 차원으로 나타났다. 희망 직업은 일치하지만 진로를 향해 가는 과정에 고려하는 선택지에서 의견 차이를 보이거나, 자녀의 진로 설정에 대해 수긍하지만 보다 안정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술이나 영역을 더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 진로 설정에 영향을 주는 자료원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 부모와 자녀의 희망 진로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 등이 있었다. 진로지지에 대한 상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부모는 부모가 원하는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포괄적으로 자녀를 지지하는 경향이었다. 자녀들의 인식은 부모의 진로 관련 정보 제공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부모의 지원과 관심이 주로 학업에 집중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는 부담을 토로하고 있다. 자녀의 진로탐색 과정에서 부모와 자녀는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자녀는 관심분야가 무엇인지 막연함을 느끼고 있었고, 부모는 진로 관련 정보를 찾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와 함께 부모들은 사춘기 자녀를 위한 정서적 지지에도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녀들도 부모와 깊이 있는 공감 형성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끝으로 중학생 자녀의 진로탐색 과정에서 부모의 진로지지는 부모와 자녀 상호간에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부모와 자녀간의 원만한 관계 형성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utual perceptions between parents and their middle school children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and parents’ support.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ets of parents and their middle school children. First, differentiated levels of perception appeared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terms of desired future career exploration. There were parents-child difference in terms of options to actualize a agreed future career, additional skills or areas to secure stable future career, reference resources influencing children’s career plan, and desired future career. In terms of mutual perceptions on career support, parents tend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without escaping a big picture which parents want for their children. Although children show positive response to their parents’ support, they feel burden because of parents’ interests and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while both parents and children felt difficulty in relation to career path exploration, children felt vague in terms of their career interests and parents felt difficulty finding career information. In addition, parents felt difficulty in emotional support for their adolescent children, while children reveal empathetic difficulty with their parents. In sum, parents’ career support should be able to be provided in the way that both parents and children can accept. For this, it is suggested that harmonious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need to be developed first.

      • KCI등재

        Dillerarası Benzerliklerin Ölçülmesi Üzerine Bir Çalışma: Türkçe – Korece Örneği

        이양희 ( Lee Yanghee ) 한국중동학회 2023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44 No.1

        The World Atlas of Linguistic Structures (WALS) is the largest database that presents encyclopedic information on the linguistic features exhibited by thousands of languages in hundreds of linguistic aspects. It is widely used in numerous studies on language typology. In this regard, there are also studies that measure the linguistic distances between languages through similarities. Comrie (2010) compares English and Japanese to determine how ‘typologically typical’ languages are, while Orgun (2011) adds Turkish to these two languages to determine how ‘consistent’ languages are. Both studies propose suggestions that measure cross-linguistic similarities. On the other hand, Holman et al. (2007) introduce a scale that measures dissimilarities rather than similarities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relatedness and geographic distance. Uzun (2012) suggests a scale that determines linguistic distance not only based on similarities or dissimilarities but also by considering both. In this study,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determining cross-linguistic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ased on ratios (Comrie, 2010) and scores (Orgun, 2011; Uzun, 2012) can be misleading and that the number of languag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using the mutual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values of Turkish and Korean

      • KCI등재

        유아기 자기조절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이양희 ( Lee Yanghee ),신혜원 ( Shin Hyewon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5 아동과 권리 Vol.9 No.1

        이 연구는 유아의 인지·정서·행동적 자기조절을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기 위하여 부모용 유아기 자기조절 평가 척도(Self-Regulation Rating Scale)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은 수행기준에 따른 견해를 스스로 판단하고 조절하여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조절(self-regulation)은 아동의 기본 권리인 참여권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평가 척도의 문항 구성은 선행연구의 고찰과 요인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4, 5, 6세 유아의 어머니 42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22개의 문항이 선출되었다. 각각의 요인은 자기점검, 규칙준수, 충동억제, 개인내 정서성, 대인간 정서성으로 명명되었으며 유아기 자기조절을 평가하기 위한 22개의 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76으로 산출되었다. 다음으로 유아기 자기조절 평가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25명의 교사와 123명의 유아의 어머니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교사들은 123명의 유아의 자기조절을 평가하기 위해 SCRS를 사용하였으며 동시에 유아의 어머니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기 자기조절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유아의 자기조절을 평가하였다. 두 척도간의 전체 상관은 .68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령전기 유아의 자기조절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된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22개의 문항은 타당하게 구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Self-Regulation Rating Scale) in order to screen preschoolers at risk for self-regulation. Ability to regulate oneself is a necessary behavior that will enable a child to enjoy his/her participatory right. The items in the scale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in the field. The process was followed by two additional steps. First, this study conducted a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ity of items. 427 preschoolers' mothers were asked to rate the ability in their child's self-regulation. The questionnaire type scale composed of 22 items of five factors: self-monitoring, following rules, impulsivity control, personal emotionality and interpersonal emotionality. Cronbach's alpha of total items were .76. Second, 25 pre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rate 123 children among the age of four and six with SCRS, and children's mothers asked to rate the same children using SR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asures was .68.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RS is a valid and reliable scale that measures self-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 특수학급 방과 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학교 놀이치료프로그램 사례 연구

        이은영(Lee, Eunyoung),이양희(Lee, Yanghee)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6 장애아동인권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서울 시 소재의 한 초등학교에서 실시한 방과 후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특수학급 저학년 그룹에 속한 세 명의 아동이 총 12회기의 놀이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아동별 목표행동의 증가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치료 회기에 따라 증가와 감소를 보이는 차이가 나타나기는 했으나 세 아동 모두의 목표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아동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더욱 효과적인 학교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위하여 학교와 가정, 치료자 간의 협력과 학교 현장의 장점을 살린 놀이치료 환경 구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아동인권교육이 자기존중 및 타인존중에 미치는 영향

        홍승주 ( Seungju Hong ),이양희 ( Yanghee Lee ),김미성 ( Hillary Mi-sung Kim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4

        한 개인이 갖는 인권에 대한 책무는,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가치와 권리를 존중하는 것과 타인의 인간으로서의 가치와 권리를 존중하는 것, 두 측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의 목표와 체계를 갖춘 형식적 인권교육과 환경 속에서 존중받는 경험을 통한 잠재적 인권교육이 아동의 자기존중과 타인존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20년 전남학생인권 실태조사’에 참여한 초, 중, 고등학생 1,82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산분석의 결과, 개인체계의 경우, 성별에 따라 타인존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체계의 경우, 형식적 인권교육은 타인존중에, 잠재적 인권교육은 자기존중과 타인존중에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잠재적 인권교육의 경우 그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존중에 대해 발달단계와 형식적 인권교육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건강한 자아존중감 발달과 타인존중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인권교육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Individuals’ responsibility for human rights include two aspects: respecting one’s own values and rights as human beings, and respecting the values and rights of others as human being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formal and the implicit education for child rights on school-aged children’s self-esteem and respect for o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Bronfenbrenner’s bioecological systems theory. We used the data of Jeollanam-do Province Survey on the Rights of Students in 2020, from which 1,828 students’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regarding the ontological-system,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respect for others. In micro-systems, the implicit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elf-esteem and respect for others. The effect sizes of the implicit education were larg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effects of the formal education between developmental stage on self-esteem.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need for planning child rights education based on bioecological systems theory to develop children's healthy self-esteem and respect for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가정 및 학교에서 의견 청취 경험, 자아존중감이 인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교육에 따른 차이 검증

        오혜민(Hyemin Oh),김상원(Sangwon Kim),이양희(Yangh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아동의 가정과 학교에서 의견 청취 경험, 자아존중감, 그리고 인권 인식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7년 아동 · 청소년 인권실태 조사의 중 · 고등학생 응답(6,405명, 여자 47.8%)을 대상으로 Mplu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또는 학교에서 의견이 청취된 경험을 한 아동일수록 자아존중감과 인권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인권 인식은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가정과 학교 각각에서의 의견이 청취된 경험이 인권 인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추가적으로 인권교육을 받았는지의 유무에 따라 각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인권 인식 증진을 위해 가정이나 학교에서 아동의 의견이 청취되는 환경조성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s of being heard in home and school settings, self-esteem, and human rights awareness. Among the 2017 NYPI Cross-sectional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 Children, 6,40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47.8% females) were used to cond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Mplus. It was foun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 being heard in the home or school display higher levels of self-esteem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It was also found that self-esteem is more likely to increase awareness of human rights. Self-esteem was also found to mediate the pathway between the experience of being heard at home or school and human rights awarenes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depending on whether they received human rights educa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home and school environments where childrens opinions can be heard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