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탄소 생활을 위한 탄소 발자국 측정 및 '에코에티켓 탄소일기장'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아현 ( Lee-ahyeon ),구승회 ( Koo-seunghoe ),한원희 ( Han-wonhee ),김민영 ( Kim-minyo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2050탄소 중립 사회 전환을 위한 저탄소 발전전략으로 정부는 ' 2050 탄소중립 '을 선언하고 '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이 低 탄소 생활을 위한 '에코라이프(녹색습관)' 탄소량 측정과 일상생활에서 자주 먹는 음식들의 탄소량을 측정함으로써 하루 얼마나 많은 양의 탄소 소비의 비교를 통해 경제와 지구를 살리는 '低탄소 에코라이프'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보육현장에서의 창의성 발달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발전방안

        김다영 ( Dayoung Kim ),이아현 ( Ahyeon Lee ),이민정 ( Minjoung Lee ),오현미 ( Hyunmi Oh ),허재윤 ( Jaeyun Heo ),오혜선 ( Hyeseon Oh ),이은화 ( Eunhwa Lee ),성민경 ( Minkyung Sung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0 아동가족치료연구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의 창의성 발달과 메이커 교육 활용에 대한 보육현장의 인식과 실태, 발전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육이론 전문가인 아동학과 석박사과정 대학원생들과 보육현장 전문가인 원장 등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현장에서 창의성의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아동의 창의성을 살펴볼 때, 창의적 결과물 뿐 아니라 창의적 발상과 시도까지도 창의성의 개념에 포함시켜 판단해야 한다. 둘째, 보육현장에서 창의성 발달에 대한 인식과 교육에의 적용 실태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보육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나, 실제 메이커 교육과 유사한 수업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현장의 교사들은 메이커 교육을 위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의 창의성을 발달시킬 방법은 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더불어 허용적 수업분위기의 형성이다. 넷째,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해 메이커 교육을 도입하려면, 원장과 교사의 인식 변화를 위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고, 다각적으로 아동의 능력을 측정할 평가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육이론전문가와 현장전문가가 힘을 합쳐, 보육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다양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보육현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보육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들을 고찰함으로써 이를 위해 보육 이론전문가와 보육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합하여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모두 반영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추후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창의성 계발과 관련된 교육 및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recognize and improve on-site awareness of the use of maker-education and for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a childcare theory specialist of the master's and doctoral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and a field expert of the principal of nurse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children who show creativity on the ground if they embrace a variety of creativity. Also, children who show creativity as a result are judged to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intelligence. Second, there was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ts application to education at the childcare site, but teachers had a burden for creativity education. Third, there was a very low level of awareness of maker education at the childcare site, but classes similar to the actual maker education were taking place. However, teachers in the field had difficulty in using digital devices for maker education. Fourth, the way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infants in child care sites is to form an acceptable class atmosphere, along with a clear perception of the creativity of teachers. Fifth, in order to introduce maker education for the creativ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t the childcare site, education for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director and the teacher should be preceded, and an evaluation method should be prepared to measure children's abilities in various ways. Lastly, if childcare theory specialists and field specialists work together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maker education program examples for application in childcare sites, it will be very helpful for childcare sites.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creativity development centered on field teachers.

      • 생성형 AI 모델 API를 활용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동시성 처리 연구

        은지수(Jisu Eun),이아현(Ahyeon Lee),김수민(Sumin Kim),김동균(Dongkyu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4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4 No.5

        일반적으로 생성형 AI 모델은 API 형태의 단일 엔드포인트로 노출되지만, 이를 활용하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모델 자체에서 동시성을 보장하는지 확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 모델에 대한 엔드포인트인 REST API를 실제 웹 서비스에 적용하기에 앞서, 모델의 동시성 처리 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요청과 응답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멀티 세션, 멀티 프로세스, 멀티 스레드 방식으로 동시 요청을 보내는 테스트 케이스를 구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동시성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확인하였다. Generally, generative AI models are exposed as single API endpoints, but in real-world applications that utilize them, multiple users can make simultaneous reques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firm whether the model itself ensures concurrency and to develop application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n this study, before applying the REST API endpoint of a generative AI model to an actual web service, we tried to verify the models concurrency handling capability. To do so, we assigned unique identifiers to each request and response, and conducted experiments by setting up test cases to send concurrent requests using multi-session, multi-process, and multi-threaded approache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onfirmed an approach to resolve concurrency issues.

      • 미세조류 위험·유해물질 반응성 및 생물독성 응용방안 연구

        신상훈(Sanghoon Shin),이아현(Ahyeon Lee),백민영(Minyoung Baik),고태우(Taewoo Ko),김병석(Byeongseok Kim),서동민(Dongmin Seo),이문진(Moonjin Lee),서성규(Sungkyu Seo)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생태독성평가는 생물의 생과사를 최소 24h 지난 후 생존율, 성장률로 독성의 유해성을 판별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유해물질(HNS)에 반응한 생물의 형태변화를 측정하여 독성을 단시간에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의 생물은 육안으로 판별하기 힘든 미세조류를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여러 개체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LED와 CMOS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진 렌즈프리 그림자 이미징 기술(Lens-free shadow imaging technology, LSIT)을 사용하였다. 형태변화는 현미경 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해 그림자 파라미터인 SMD (Standard deviation of the Maxima to minima distance)를 개발하여 측정하였고, 5분, 3, 6시간에서 HNS의 유해성 분석하였다. 5가지의 HNS(에탄올, 메탄올, 황산, 인산, 아세톤)를 이용한 실험 결과는 기존 미세조류를 이용한 72h 성장저해시험 결과와 비교해보았을 때 각 물질의 최소영향농도(LOEC)보다 작은 농도에서 5분 안에 변화되었다. 추가로 LSIT를 활용하여 이동성을 분석(5분)해보았을 때 독성에 의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여 결과적으로 생물 반응을 이용한 빠른 독성평가 개발 및 물벼룩과 같은 다른 종에서의 적용 및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cotoxicity assessment determines the toxicity by the survival and growth rate at least 24h,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evaluate the toxicity in a short time by measuring the morphological change of an organism responding to HNS(Hazardous & Noxious Substances). Microalgae, which are difficult to identify with the naked eye,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and Lens-free shadow imaging technique (LSIT) consisting of an LED and CMOS image sensors was used to measure multiple objects in a short time. The shadow parameter, Standard development of the maximum distance (SMD), was developed by comparing it with microscopic images to analyze morphological changes. and HNS analysis was performed at 5 min, 3 and 6 h.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72h growth inhibition test using microalga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of the five HNSs(ethanol, methanol, sulfuric acid, phosphoric acid, acetone) experiments changed within 5 minutes at a concentration smaller than the lowest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LOEC) of each substance. In addition, when the mobility of microalgae was analyzed (5 minutes) using LS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hange due to toxicity. As a resul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rapid toxicity assessment using biological reaction and application using zooplankton(water flea) toxicity test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