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쭉제』의 유해 찾기, 장례 모티프의 상징적 의미와 해한 구조에 대한 연구

        이순옥(Lee soon ok),임선애(Lim seon 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철쭉제』는 불효의 한을 심리적 기제로 하여 아버지의 유해 찾기와 유해의 안장의례가 중심서사를 이루는 작품으로 죽음과 재생의 제의 구조를 통해 한을 극복한 조화의 세계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문순태의 『철쭉제』에 나타난 효 의식을 고찰하고 아버지의 유해 찾기 모티프와 장례의례 모티프를 통한 해한의 제의 구조를 고찰한다. 문순태의 『철쭉제』의 핵심 서사는 아버지의시신을 찾아 장례를 치러 효를 다하려는 아들의 엿새 동안의 지리산 등정으로 구성되며, 전반부서사는 나의 아버지에 대한 불효의 한과 한의 해소로 구성되고, 후반부 서사는 ‘나’와 ‘박판돌’ 가족의 비극적인 가족사로 구성된다. 특히 작품의 중심 모티프인 유해 찾기 모티프는 망자의 한을위로하는 의례로 기능하며, 인물 간에 소통의 통로를 마련하여 화해의 국면으로 전환하는 계기가된다. 또한 과거라는 시간 속에 봉인된 조부와 부친의 숨겨진 진실이 드러나면서 주인공의 참회와반성의 계기가 마련된다. 반면 제의 모티프는 죽음을 통한 재생의 과정을 구현하여, 어긋난 세계를 새로운 조화의 세계로 출발하게 한다. ‘철쭉꽃’이 가진 신성성을 매개로 베풀어지는 제의는곧 혼돈의 세계에서 질서를 부여하여 상실된 에너지를 회복하는 역할을 한다. 『철쭉제』는 개인의생의 위기, 집단의 총체적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희망, 새로운 질서를 탄생시키는 제의에 대한소설적인 기술이다. 『철쭉제』는 효라는 유교적 가치, 유해 찾기, 상 제례를 모티프로 통해 죽음-재생의 세계를 구현하는 제의로서 한 맺힘-한 풀림의 해한 구조를 서사화한 것이다. ”The Azalea Festival” is a work that consists of the central narrative of father’s search for the remains and the saddle ritual of the remains, based on the psychological basis of the ill-fated resentment, and shows the world of harmony that overcame it through the structure of death and regeneration. The core narrative of Moon Soon-tae’s “The Azalea Festival” consists of the six-day climb of Jirisan Mountain, where he tries to find his father’s body and perform a funeral, and the second half of the story consists of the tragic family history of “I” and “Park Pan-dol. In particular, the find remains motif, which is the central motif of the work, serves as a rite of consolation for the deceased, and provides a chann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acters to change the phase of reconciliation. In addition, the hidden truth of the grandfather and father sealed in the time of the past is revealed,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main character’s penance and reflection. On the other hand, the motif of the offering embodies the process of regeneration through death, starting a new world of harmony. The offer, which is carried out through the medium of the sacredness of the azalea flower, serves to restore lost energy by giving order in the world of chaos. “The Royal Azalea Festival” is an epic story about the Confucian values of filial piety, the search for dead bodies, and the ritual for mourning through motifs, which unravels the resentment of being united and united.

      • KCI등재후보

        Corni Fructus Scavenges Hydroxy Radicals and Decreases Oxidative Stress in Endothelial Cells

        이순옥,Soon-Ok Lee,Sun Young Kim,Sag-Myung Han,Hye-Mi Kim,Seung-Shi Ham,강일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9 No.4

        Corni fructus has been used as a tonic, analgesic, and diuretic in Korean herbal medicine.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corni fructus and its capacity to protect cells against oxidativedamag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rni fructus extracts was measur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peroxide value in a linoleic acid emulsion system. In addition,2O2 to in-vestigate protection against apoptosis induction. Bo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corni fructus produc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extracts.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oth water andethanol extracts were observed in an emulsion system containing linoleic acid and phosphate buffer. The incubation of HUVECs with the addition of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H2O2-initiated damage of endothelial cells, but the wa-ter extract did not. The pretreatment with ethanol extract, but not with water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apoptotic dam-age of the H2O2-treated HUVECs and kept the morphological normalit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orni fructus is a po-tent antioxidant substance, and suggests that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characterize the difference between extract typesand to identify its antioxidant compounds.

      • KCI등재

        불기소처분 사건기록 중 ‘비공개대상 개인정보’의 범위에 관한 연구

        이순옥(Lee, Soon-Ok)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文集 Vol.44 No.3

        In principle, the investigation records kept by the Prosecutors Office should be actively disclosed by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However, in the case of a suspect in a case of non-prosecution, the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needs to be strictly observed,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isclosure procedure of the case record of non-prosecution. In particular, the criminal case record contains a lot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may invade the privacy of the suspect. Therefore, the scope of disclosure should not be extended too much just because the state agency keeps the record of the investigation or because it is necessary for the remedy of the complainant s rights. Therefore, the procedure for disclosing criminal case records that have been dispositioned without prosecution should be prescribed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At this time, the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privacy rights, and principles of information disclosure by public institutions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Also, a procedure to confirm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subject is necessary in the procedure for reading and registering. Besides, the scope of disclosure and disclosure method must be different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orage type and nature of information such as documents or video recordings.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needs to limit the purpose of use. 검찰청이 보관하고 있는 수사기록은 원칙적으로 정보공개법에 따라 적극적 공개대상에 해당하고, 특히 고소인 등의 권리구제를 위해서는 그 정보공개의 범위를 넓힐 필요성이 인정된다. 그러나 불기소처분 된 사건 피의자의 경우 공소제기 또는 재판이 확정된 사건보다 무죄 추정의 원칙이 엄격하게 지켜져야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점이 불기소처분 사건기록의 공개 절차 및 범위에도 반영될 필요가 있다. 특히, 형사사건 기록에는 피의자가 방어권 행사를 위하여 진술한 다양한 사생활침해우려 개인정보가 많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불기소처분 된 수사기록의 보관주체가 국가기관이라는 이유만으로, 또는 고소인 등 사건관계인의 권리구제를 위하여 필요하다는 이유만으로 이러한 점에 대한 충분한 고려없이 그 공개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불기소처분 된 형사사건 기록의 열람·등사절차 및 불복방법은 형사절차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법이 아닌 형사소송법에서 규정하되, 무죄추정의 원칙, 개인정보보호, 프라이버시권 보호 및 국민의 알권리 보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열람·등사절차에 있어 정보주체의 동의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정보주체가 정보공개로 인해 사생활 침해가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소명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류 또는 영상녹화물 등 정보저장의 형식, 정보의 성질에 따라 그 공개의 범위 및 방법을 달리 정하여야 하며, 공개된 정보의 목적 외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산업기밀 유출사건에서 유죄답변협상제도 도입에 대한 연구

        이순옥 ( Lee Soon-ok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5 No.1

        2021년 4월 11일 우리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약 3년 동안 다투었던 배터리 관련 영업비밀 유출 등 사건에 대하여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에 약 2조원 상당을 지급하고, 관련한 국내외 쟁송을 모두 취하하고, 향후 10년간 추가쟁송도 하지 않기”로 합의를 하였다. 왜 우리 기업 간의 산업기밀 침해 사건에 대하여 우리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본격적인 소송절차를 진행하고, 미국 정부가 나서서 중재 역할을 하게 된 것일까?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산업기밀 관련 민사소송 또는 형사소송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보다 미국에서 관련 소송을 진행하는 것이 피해자의 입장에서 유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증거개시제도(Discovery)가 없는 우리 법제에서는 산업기밀 유출사건과 관련된 증거의 확보가 어렵고, 형사고소를 하더라도 형사처벌 여부가 확실하지 않으며, 설사 산업기밀을 유출한 자 및 그 상대방을 처벌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그 양형이 범죄의 중대성에 비하여 경미하다는 점이 위와 같은 소송이 미국에서 이루어지게 된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영업비밀’, ‘산업기술’의 요건을 완화하고 형사처벌 규정의 법정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부정경쟁방지법, 산업기술보호법을 개정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개정 법률이 산업기밀 유출사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실제 형사사건에서 산업기밀 유출과 관련된 증거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함에도 이를 위한 개선책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다. 산업기밀 유출자 및 부정취득자 등에 대하여 처벌의 확실성을 높이고 중한 형의 선고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더 나아가 이러한 형사처벌 규정이 범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산업기밀 유출과 관련된 수사단계에서부터 유죄답변협상제도(Plea Bargaining)를 도입하여 수사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그 협조자를 통하여 공범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며 관련 증거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On April 11, 2021, in response to an incident such as the leakage of battery-related trade secrets, which Korean companies 'LG Energy Solution' and 'SK Innovation' had been fighting for about three years, “SK Innovation paid about 2 trillion won to LG Energy Solution. It agreed to withdraw all rela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putes and not to file additional disputes for the next 10 years.” Why did the U.S. government act as an arbitrator for trade secret infringement between Korean companies? Why did Korean companies proceed with litigation in the US instead of in Korea? There may be many reasons, but one important reason is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for victims to file a lawsuit in the United States than to pursue a lawsuit related to trade secrets in South Korea. In other words, in a legal system without a discovery system, it is difficult to secure evidence to prove that an infringer has leaked industrial secrets, so it is unclear whether criminal punishment will be imposed. In the meantime, Korea has revise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and the 「Act on Prevention of Divulgence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in the direction of easing the requirements for “trade secrets” and reinforcing the penalties for criminal penalties to prevent infringement of industrial secrets. However, for these revised statutes to be effectively applied to actual trade secret cases, a method to secure sufficient evidence related to trade secret leaks had to be prepared, but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not mad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vestigations. To increase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trade secret leakers and illegal trade secret acquire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nvestigation by using Plea Bargaining from the investigation stage related to trade secret leaks and to secure accomplices and evidence through the person who admitted the crime.

      • KCI등재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순옥(Lee Soon Ok),송주연(Song Ju Yeon),박수경(Park Su K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대해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아교사가 자신감을 갖고 인지 공감을 하면서 화를 억제하고 분노를 조절하였을 때 긍정적 예방전략을 사용하며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을 하고 자신감을 가졌을 때 긍정적 반응 지도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정서 공감 및 대인관계효율성이 낮을 때 부정적 반응 지도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교사양성과정과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corel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ego-resilience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exploring the effects of earl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ego-resilience on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To accomplish these goals, a survey was conducted on 25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th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proven that the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ego- esilience were mutually correlated. Secon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ego-resilience have been verified to be th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In particular, when the teachers not only repressed and controlled their anger but also emphasized cognitively and had self-confidence, they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ies more frequently. When they emphasized cognitively and emotionally empathy ability and had self-confidence, they used positive reaction guidance strategies while they have been found to have used negative reaction guidance strategies when the teachers empathy and personal relationship efficiency were at a lower level.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ego-resilience was discussed.

      • KCI등재

        대학인을 위한 고전독해 및 토론 수업 방안

        이순옥(Lee Soon-Ok)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6

        본고는 문학자료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활용하여 독서, 토론, 작문 수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한다. 즉 대학 수업과 정에서 언어 활용 능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은 고전 텍스트를 어떻게 해독할 것인가, 해독한 텍스트를 어떻게 토론수업과 작문수업에 연계시킬 수 있는가하는 문제에 답을 찾고, 그 실제적인 과정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언어활용능력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독서, 토론, 글쓰기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통합적 수업방식은 의사소통능력의 배양 및 글쓰기 교육을 위한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방법이며 교육적 효과도 높다. 본 수업모형에서는 체계나 의미면에서 통합성이 높은 문학텍스트를 활용했다. 문학텍스트는 언어 사용의 규범성과 자율성, 두 양극이 결합됨으로써 언어 표현적?내용적 조건을 충족시킨다. 문학텍스트의 언어조직 구조는 다각적인 해석이 가능하여 개인별 기대지평의 상이함을 통하여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고전의 현재적 의미를 재해석할 수 있는 문학텍스트로, 글쓴이와 독자의 역동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읽기 자료이며, 다양한 논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토론 자료, 삶의 총체적 양상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 논술 자료로 적합하여 수업 자료로 선정했다. 수업은 『멋진 신세계』를 기본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적 읽기 과정, 토론과정, 논술문 쓰기과정으로 구성했으며, 이들은 각자 독립적이면서 또한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운용된다. 읽기 과정에서는 텍스트의 정확한 이해와 해석을 통한 글쓴이와 독자의 의사소통을 목표 삼아, 네 단계로 수업이 진행된다. 읽기의 각 단계는 글 속에 명시적으로 드러난 내용을 읽는 방법인 축어적 읽기, 텍스트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며 읽는 방법인 추론적 읽기, 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을 평가하며 읽는 방법인 평가적 읽기, 읽기를 통해 얻은 지식을 자신의 삶이나 사회에 적용하며 읽는 방법인 창의적 읽기로 구성된다. 네 단계 분석적 읽기가 심도 있게 원활하게 이루어질 경우, 이를 바탕으로 자유로운 토론, 깊이 있는 글쓰기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토론과정에서는 읽기 과정에서 이루어진 독해를 바탕으로 토론의 원리와 방법을 읽히고 구어적 표현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수업자료가 문학 텍스트라는 점을 고려해서 토론 방식은 주제토론과 피라미드토론을 단계적으로 적용했다. 또한 학습자들도 쓰기 과정에서는 문학 텍스트가 논술문의 제시문으로 선정됨으로써 문학과 논술은 상호유기적 관계일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문학을 통한 상상적 글쓰기와 논술을 통한 논리적 글쓰기를 통합하는 논술문 쓰기를 시도했다. 문학과 논술이 결합된 글쓰기는 정형화된 사고의 틀을 수정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그래서 논술문 쓰기 과정에서는 기존의 논술문이 논리적 측면에 치우쳐 문학 텍스트가 가진 장점을 제한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논술문 작성에 상상적 글쓰기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즉 문학텍스트에 대한 공감적 읽기와 논쟁적 글쓰기 성격을 띤 비평적 글쓰기 형식을 결합한 즉 주관적 요소와 객관적 요소가 통합된 형태의 글쓰기를 지향했다. 수업현장에서 독서, 토론, 쓰기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수·학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배양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수업형태는 읽고 토론하고, 글을 쓰는 작업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고 그 결과 세 영역이 최상의 균형을 찾아 완벽한 정점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논리적 말하기, 논리적 글쓰기를 추구하는 만큼 문학과 논리가 조화를 이루는 이상적 접점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상적 가능태로서 연구자들이 끊임없이 추구해가야 할 목표로 존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model of teaching for reading, discussion, and composition proficiency for the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literature text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It was found out that reading the classic text and connecting it to the discussion and composition part strengthens the ability of efficient use of language. This integrated reading was also found out as a practical model for preferabl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language ability. Integrated Reading is a strategy that combines reading,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ltogether and a very effective educational and basic tool for the improvement of the writ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text which is used in this study has high integrated aspects in terms of the meaning, and the system. Literature text like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satisfies the efforts of language expression by combining the self imposed control & the normative law. It is possible for literature text to be translated in many ways and be related to produce free imagination according to different individual experiences. The book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is a literature text that can be retranslated from the classic version to present version. It was chosen as the classic text material as it contains total aspects of living. For the reading process, the class was divided into 4 steps of reading with the aim of acquiring correct communication, reasoning, writing, and reading skill of the text. The reading steps were consisted of word for word reading step that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clearly revealed contents in the text, while logical reading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unrevealed contents in the text. The evaluated reading goaled with the contents & form while creative reading was for applying the subject of the text to one s life and society in general. When these 4 steps of reading were mastered, high level of discussion & writing would be possible. Learning the principle and ways of discussion is the aim of the colloquial cultivation of expressive ability. The way of choosing subject & pyramid discussion was adopted gradually to the class. Learners were not allowed to write separate essay but to try to write an integrated essay between imaginative writing and logical essay writing. Integrated writing was proved much more valuable in the sense that, it can correct the stereotyped way of thinking. So Integrated writing is positively accepted in logical writing as logical writing restricts imaginative side of literature text. Integrated reading combined with the critical writing makes it possible to read the text with great sympathy & imagination. Therefore,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style of writing were strongly recommended. When the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were done relatedly in the class, systematic and specific teaching would be possible as well as it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and creative way of thinking. Each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should not be leaned to one way process. Instead, 3 categories should be balanced and a tangential point should be suggested before reading the literature text.

      • KCI등재

        식생활관련 소비자역량이 새벽배송 신선식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순옥(Soon-Ok Lee),김지영(Ji-Young Kim),승민(Seu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6

        온라인 쇼핑의 활성화로 새벽배송이 등장하면서 어느 때나 주문할 수 있는 신선식품 온라인 주문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새벽배송 신선식품 구매실태와 식생활관련 소비자역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식생활관련 소비자역량이 새벽배송 신선식품 구매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새벽배송 신선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50대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15일부터 1월 18일까지 온라인 설문지 형태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벽배송 신선식품은 자녀가 있는 30~40대의 직장인으로 월평균 가구소득이 400만원~600만원 미만인 가구에서 주 1회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벽배송 신선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연령 및 자녀유무에 따라 식생활관련 소비자역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품정보활용역량은 20대가 30대, 40대보다 더 높았고, 건강한 식생활역량은 50대가 30대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한 식생활역량은 20대가 30대보다 높았다. 자녀가 있는 경우,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건강한 식생활역량과 안전한 식생활역량이 높았다. 자녀유무와 연령을 모두 보정 후 식생활관련 소비자역량이 구매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품표시이용역량과 안전한 식생활역량이 높아질수록 구매만족도가 높아지고, 식품정보활용역량과 건강한 식생활역량이 높아질수록 재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매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재구매의도가 높아지는데, 건강한 식생활역량이 새벽배송 신선식품 구매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재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몇 가지의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온라인 식품시장에 새롭게 등장한 새벽배송 신선식품에 대해 살펴본 기초연구로, 변화하는 식품 소비환경에서 현명한 소비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인 소비자역량을 살펴봄으로써 식생활관련 소비자역량 교육의 방향을 식품공급자가 아닌 소비자 입장에서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early-morning delivery servic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online ordering of fresh foods. We aimed to analyze the utilization status of an early-morning fresh food delivery service (MFFD) and corresponding dietary behavior-related consumer competencies (DBCC) and verify the impact of DBCC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the repurchase intention for MFFD. Four hundred participants who used MFFD were surveyed. An office worker in his 30s or 40s with children and with a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between 4 million won to 6 million won tended to use MFFD once a week. Participants differed in their DBCC depending on their age and the status of their children. Results showed higher food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in participants in their 30s and 40s, higher healthy dietary competency in those in their 30s, and higher safe dietary competency in those in their 20s. Both healthy and safe dietary competencies were particularly higher in those with children. An analysis after adjustment for the presence of children and age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food label utilization competency and safe dietary competency, the higher the purchasing satisfaction. Also the higher the food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y, the higher the repurchase intention. Our findings may suggest that healthy dietary competency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for MFFD, leading to a higher intention to repurchase. Our study provides a basis for emphasizing DBCC in MFFD marketing and the direction of consumer DBCC-related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not food suppliers.

      • KCI등재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절차에 관한 판례 연구

        이순옥(Lee, Soon-Ok)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2

        이 사건 대법원 전원합의체 결정은 수사기관이 디지털 증거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저장매체 자체를 압수하거나 이미징하는 방법으로 복제한 후, 수사기관의 사무실에서 영장에 기재된 범죄사실과 관련된 전자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전자정보를 문서로 출력하거나 파일을 복사하는 과정까지 모두 압수·수색영장 집행절차에 포함된다고 보고, 이러한 각 과정에 피압수자측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여야 하며 만일 이를 보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대한 절차적 위법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이 사건 압수·수색 당시 형사소송법의 체계적 해석이나 실무에 비추어 수사기관이 저장매체 자체 또는 이미징한 복제본을 압수하고 압수목록을 교부하는 등의 절차를 마친 경우 압수·수색영장 집행절차는 종료되었다고 봄이 상당하고, 압수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해 탐색하는 전 과정에 피압수자측의 참여권을 인정하는 경우 수사보안에 심각한 영향이 미쳐, 실체진실의 발견이라는 형사법의 목적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대량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저장매체의 압수를 무한정 허용하는 경우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침해할 우려가 크므로,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절차에 있어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절차적으로 수사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규정을 신설하여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상결정에서는 하나의 압수·수색영장에 의하여 압수·수색이 이루어진 경우, 압수·수색 과정을 단계적, 개별적으로 구별하여 그 처분의 위법 또는 취소여부를 판단해서는 안 되고 압수·수색 과정을 전체적으로 하나의 절차로 보고 전체 압수·수색절차를 취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수사기관 이미 적법하게 이루어진 압수처분에 의하여 획득한 증거는 그 본안 사건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하고, 대상결정과 같이 이미 적법하게 획득한 증거까지 이후에 행해진 다른 압수처분의 잘못으로 인해 소급하여 효력을 부정할 법률적 근거가 없고 이 사건 경우 수사기관이 의도적으로 피압수자 측의 참여를 막은 사정이 없는바, 이러한 경우에도 적법하게 이루어진 압수처분의 효력을 부정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The present paper review a recent 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2011mo1839) of 2015 regarding on requirements for legal procedure of Search and Seizure of the Digital Evidence. In the 2015 decision,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suspect have a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execution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in Article 219 and Article 121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If the officers did not give the suspect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the procedure should be cancelled because of it"s illegality, so the digital evidence should not be submitted to the Court. According to the decision, seizing a data storage device itself does not mean that search and seizure process is completed. In other words, th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includes searching, printing out and copying the stored information of the data storage device in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the suspect have a right to take part in the whole process. As a result, the officers can not seizure unrelated information to the criminal charge written in the search and seizure warrant. However, the process of retrieving digital information should be regarded as ‘the act of analyzing seized property’ after the completion of seizure process, not ‘a part of search and seizure process’ according to the Article 219 and Article 121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Participating of the suspect to the whole course of execution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can interrupt the process, security and efficiency of investig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suspect’s participation right to the first step after taking out electronic information or information storage device because the information storage device can include much unrelated information like confidential information, trade secrets. It can protect the freedom of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and property right of the suspect. Also, the court says, when the process is terminated after proceeding by one warrant of search and seizure,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the illegal disposal of canceled by whole search and seizure process as one procedure, rather than individually separating the process, step by step. However, the evidence already collected by legally seizure, should be submitted to the court, because there is no Article that the evidence collected by legally seizure should be invalidated retroactively in next seizure made by wrong, so this part of the decision can be irrational. The Criminal Procedure Law is not enough to search and seizure digital information efficiently and legitimately. What’s worse, It can not protect the suspect’s participation right in full degree. So we need to legislate law about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 KCI등재

        문화재 환수와 관련된 형사법상 압수 및 몰수

        이순옥(Lee, Soon-Ok) 한국국제사법학회 2018 國際私法硏究 Vol.24 No.2

        2015. 7.경 대검찰청에서 우리나라 문화재 절도단이 2012. 10.경 일본 대마도에 있는 카이진 신사에서 절취한 동조여래입상을 반환한다는 결정을 하자 많은 비판이 있었다. 왜냐하면, 위 불상은 8세기 통일신라시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우리 문화재로 일본의 수없이 많은 침략과정 또는 일본식민지 통치 기간 동안에 약탈된 것으로 추정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일본측에 반환한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절도범이 일본 대마도에 있는 관음사에서 절취한 관세음보살좌상의 경우 일본으로 반환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위 관세음보살 좌상의 경우 14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국내 사찰인 부석사가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위 절도범에 대한 형사사건 진행 중에 대한민국을 상대로 점유이 전금지가처분을 신청하여 인용되었기 때문에 형사사건에서 몰수 판결이 확정된 다음에도 몰수물인 관세음보살좌상을 관음사 측에 반환하지 못하고 있다. 부석사는 대한민국 정부를 상대로 위 불상의 인도를 청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하였고, 대전지방법원에서는 위 불상에 대하여 부석사의 소유임을 인정하였으나, 정부가 이에 대하여 항소하여 현재까지 민사소송이 진행중에 있다. 즉 관세음보살좌상의 경우 일반적인 도품과 같이 당시 이를 보관하고 있던 관음사에 반환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위 불상은 왜구에 의하여 약탈된 약탈문화재로 최초 소유자로 추정되는 서산 부석사에 인도하여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견해 대립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 형사사건에서의 도품인 문화재의 압수, 몰수, 피해자환부 및 몰수물 교부 등 몰수물 처분과 관련된 형사소송법 등 관련 규정을 검토한 다음, 형사사건의 재판과정에서 위와 같이 도난된 불상을 피해자에게 환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 여부, 절취 당시 위 불상을 점유하고 있던 관음사 등에게 몰수물을 교부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기로 한다. 도품의 경우 형사소송 절차에서 피해자에게 환부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품인 문화재의 경우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필요적 몰수의 대상이기 때문에 똑같은 절차를 통해 처리된다고 보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위 형사사건 재판과정에서 도난된 불상을 피해자로 기소된 일본 사찰에게 환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다른 절차를 통해서 반환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The decision in July 2015 of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s Office to return a standing buddhist Statue stolen from Tsushima Island in October 2012 by several korean thieves was criticised by many Korean people. Because it was made in 8th century during Korea’s Silla dynasty and it might have been stolen from Korea centuries ago during one of their countless attempts to invade or 1910-1945 colonial era by Japanese. But there was no evidence that it had been moved to Japan illegally and no claims for its ownership. So it was returned to Japan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But a seated buddhist Statue stolen from Tsushima Island at the same time by the korean thieves was not returned to Japan. Because Buseok Temple in the southwestern Korean city of Seo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sisted original ownership of the statue that was made there in the 14th century for the temple, and a temporary injunction preventing its return to Japan has been issued while the criminal case of the thieves was in progress. Even after the judgment of confiscation has been finalized in the criminal case mentioned above, there is no return of the confiscated seated statue. The temple filed a suit against the Korean Government ordering it to deliver the statue to the temple and the Daejon District Court ruled that the temple can have the statue. But the suit is in progress for the Korean government’s appeal.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elated provisions such as the seizure or confiscation of stolen cultural goods, return of seized goods to the rightful owner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and in the course of the trial of a criminal case, it is advisable to return to the Japanese temple which it had maintained the possession of the statues. It is not same procedure of return of seized goods to the rightful owner between general stolen goods and stolen cultural goods, because stolen cultural goods shall be forfeited to the Government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conclusion, it was not appropriate to return the stolen statues to the Japanese temples during the criminal case trial and their return should be determined by different process not the criminal case.

      • KCI등재

        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보관한 정보에 대한 압수·수색 절차

        이순옥(Lee, Soon-Ok)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文集 Vol.43 No.3

        현대사회는 스마트폰 보급의 확대로 트위터 등 SNS, 모바일 뱅킹, 이메일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손 안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우리의 생활이 물리적인 장소 또는 국내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고, 페이스북(facebook), 유튜브(YouTube), 구글(Google) 등 해외 인터넷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이용을 통한 네트워크까지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곧 범죄자들의 범행방법, 범죄수익 등과 관련된 증거 역시 인터넷 상에 전자정보로 보관되며, 더욱이 범죄의 증거가 국내 네트워크를 넘어 해외 서버에 저장된 경우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외 인터넷서비스제공자를 포함하여 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보관 정보에 대한 현행 압수·수색절차가 적절한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리 형사소송절차는 아직까지도 유형의 물건에 대한 압수를 전제로 규정되어 있는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법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규정으로는 수사의 효율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더욱이 이메일 등 제3자가 보관한 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절차에 있어 피의자가 아닌 정보주체의 참여권 등의 권리도 충분히 보호되지 않고 있다. 제3자 보관 정보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자영장제도의 도입, ISP의 협력의무 및 이의절차 규정 도입, 영장의 전자적 제시 허용 등을 통하여 수사의 효율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피압수자 및 정보주체의 권리를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형사소송 절차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 As the use of smartphones increases, the modern society has enabled not only text messaging but also various Internet services such as SNS and e-mail, including mobile bankin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has led to the expansion of living space through networks that cross domestic and overseas. In other words, various evidences about criminals crimes, concealment of crime profits, and evidences of crimes are also stored as electronic information on the net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ird parties, including overseas Internet service providers, to review the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for archived information. However, our criminal procedure is still premised on the seizure of goods,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efficiency of investigation. Moreover, in the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for information stored by third parties such as e-mail, it is difficult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information subjects because the procedures for guaranteeing the right of participat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s other than the suspects are also insufficient. It is urgent to revise criminal proceedings to reflect the nature of Internet Service Provider Archiving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