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수반되는 형사법적 문제점 - 연예기획사 사건을 중심으로 -

        김성천 ( Seong Cheon Kim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4 No.2

        2009년에 발생한 스타즈 엔터테인먼트 김종승 대표의 술 접대·성 접대 강요 사건과 2019년에 발생한 YG 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 승리의 성 접대 사건의 공통점은 연예기획사가 여성의 성을 상품화 하면서 성 접대를 통해서 소속 연예인을 출연시키고 투자를 유치하는 등 불공정 경쟁을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국내 연예기획사들은 여성을 성 상품화 한다는 측면에서 대부분 공통적이다. 성 상품화를 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좋지 않게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회적 비난은 성 상품화에 가담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리적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 불편함은 자아의 방어기제로서 합리화를 통해서 해소될 수 있다. 합리화를 통해서 성 상품화에 대한 내심상의 불편함을 극복하고 작업을 하게 되면 점차 이에 익숙하게 된다. 성 상품화를 하면서 합리화를 열심히 하다보면 점점 더 높은 수준의 성 상품화에도 윤리적 저항감을 가지지 않고 매우 익숙하게 합리화를 하게 된다. 합리화가 점점 더 원활하게 작동하면서 감정적 반응은 사라지고 이성적 사고만 남게 된다. 이렇게 주지화 단계에 이르게 되면 아무런 감정적 반응도 없는 상황에서 성 접대를 강제할 수 있게 된다. 여성 성 상품화에 몰두하다보면 성 접대를 하면 안 된다고 하는 내심상의 규범의식이 사라져 버리는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국내 연예기획사들은 공통적인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성 접대를 함으로써 소속 연예인을 방송에 많이 출연시키고, 투자를 유치하고, 언론사가 호의적인 기사를 쓰게 하고, 사건이 불거졌을 때 수사기관이 사건을 무마하도록 만드는 것은 모두 불공정 경쟁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수사기관에 대한 뇌물 공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민간영역에 해당하는 사안이어서 형법 제129조 이하의 뇌물죄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대신 형법 제357조의 배임수증재죄가 적용될 여지가 있는데, 출연요청이나 투자 유치 등을 부탁하는 것이 ‘부정한 청탁’에 해당함은 명백하다. 성 접대도 ‘재산상의 이익’으로 볼 수 있으므로 부정한 청탁을 하고 성 접대를 하게 되면 배임증재가 성립한다고 할 수 있다. 배임증재 행위는 민간영역에서의 직무수행의 공정성(청렴성)을 침해한다. 연예기획사도 강한 공공성을 가지고 있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가리지 않고 공공성이 강한 업무를 처리하는 사람들이 부정한 청탁을 받거나 평소에 금품을 제공받음으로써 직무수행의 공정성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정된 것이 부정청탁금지법이다. 연예기획사의 불공정 경쟁 행위를 방지하고자 한다면 부정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에 연예기획사 임직원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2009, Stars Entertainment CEO Jong-seung Kim forced serving alcohol and Sex Services. In 2019, YG Entertainment's singer Seungri provided Sex Services. The commonality between the two cases is that the entertainment agency commercialized the female sex, and attempted unfair competition through Sex Services, such as appearing and attracting investments. Most domestic entertainment companies are common in that they convert women into sex products. There is a socially unfavorable view of the behavior of sexual commodification. These social criticisms cause psychological discomfort for those who participate in sexual commodification. This psychological discomfort can be resolved through rationalization as a defense mechanism of the self. Through rationalization, as you overcome the discomfort in your inner mind about sexual commercialization and work on it, you gradually get used to it. If you try hard to rationalize while doing sex commercialization, you will be very familiar with rationalization without having an ethical resistance to sexual commercialization at an increasingly higher level. As rationalization works more and more smoothly, emotional reactions disappear and only rational thinking remains. When you reach this stage of Intellectualization, you can force sex services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emotional response. If we are immersed in the commercialization of female sex, the normative consciousness in our mind that not to do sex services disappears. In that respect, domestic entertainment companies have a common risk. By doing sex services, it is unfair competition to have your celebrities appear on broadcasts, attract investments, make media outlets write favorable articles, and let investigative agencies dominate the case when a case arises. The rules for bribery do not apply to the rest of these, except for bribes to investigative agencies. Instea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rticle 357 of the Criminal Code will be applied, and it is clear that a request for contribution or inducement of investment, etc., constitutes an “unfair solicitation”. However, whether sex services are'property benefits' is problematic for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prostitution punishment law, the act of providing sex opportunities in exchange for money and goods is subject to punishment. However, nevertheless, the Supreme Court condemned the act of not paying the price while having sex by cheating on paying such a price as a fraud under Article 347 of the Criminal Code. According to the legal and economic concept of property,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precedent, all economic benefits except criminal interests are property. 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cept, it would be difficult to recognize the property for the provision of services called prostitution. Nevertheless, seeing prostitution services as a property benefit means that the Supreme Court is not seriously aware of the criminality of prostitution. It may be a bit confusing because there are prestigious penalties, but it is reasonable to view sex services as a property benefit. Therefore, doing unfair solicitation and doing sex services in return is a crime. The act of unfair solicitation violates the fairness of job performance in the private sector. Even if it is not the job of a public official, fairness should be ensured for jobs performed by institutions with strong publicity, such as schools and labor unions. This is because, even if they are not state institutions, these institutions with strong public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members of society. Entertainment agencies also have strong publicity. It is an organization that sells products to the general public and has a psychological impact on many people. In this way, the Unfair Solicitation Prohibition Act was enacted in order to prevent people who handle business with strong publicity regardles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from losing the fairness of their job performance by receiving illegal solicitations or receiving money and goods on a regular basis. In order to prevent unfair competition from entertainment companies, I think that executives and employees of entertainment companies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ubject of the Unfair Solicitation Prohibition Act.

      • KCI등재후보

        日本書籍検索制度と電子書籍流通制度の構築

        마츠다 마사유키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4 No.2

        인터넷 발달에 따른 새로운 사회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일본의 출판사들은 전자서적 출판과 관련된 법적 문제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두 가지 문제로 논점을 제시할 수 있는데, 하나는 전자서적 유통과 관련된 법적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국립국회도서관의 검색시스템과 관련된 문제이다. 출판사가 전자서적을 유통시키기 위해서 서적을 전자화 하는 것은 저작권법의 복제권과 관련된다. 특히 출판사가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수 있는 법적 지위를 확보해 두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자서적출판 계약에 따른 출판사업 확보의 문제, 출판사의 전자출판에 있어서 이익배분의 법적 근거를 확립하는 문제, 컨텐츠의 net유통에 있어서 가격결정권을 저작자와 출판사에 귀속시키는 문제와, 저작자와 출판사간의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관한 애매한 법적 문제를 해소하고 명확한 법상황을 만들어야 하는 계약 실무의 확립문제 등에 대해 심도있게 다뤘다. 또한 저작권법에서 정의하는 출판이란 ‘인쇄 그외의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저작물을 문서 또는 도화로서 복제해, 이 복제물을 반포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포의 목적을 갖는 것’, ‘원작인 채’, 복제의 방법, 전자출판의 유형 등 출판 계약에 있어 출판사에 있어 법적 문제를 다루고 이에 대한 출판사의 대응방법과 한계에 대해 지적했다. 특히 판면(版面)에 대한 개념을 도입해 설명하고 판면과 관련된 출판결정권(=편집권), 출판협력의무, 판면보호의 법리와 계약상의 보호, 판면과 전자출판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일본 국회도서관 소장자료의 전자화와 일본서적의 검색제도에 관해 검토하였다. 일본 국회도서관은 서적의 ‘보존’과 ‘공중의 이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소장자료를 전자화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소장자료의 전자화가 저작권법상의 복제권과 상영권, 자동공중송신, 저작인접권 등의 규정과 관련되어 제한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도입된 것이 나가오 구상인데, 공공서비스로서의 전자서적 유통, 관외대출로서의 데이터 송신, 민간투자와의 관계 등에서 해결점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 국회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일본 서적 검색제도 또한 공공서비스, 국유재산화, 전자납본제도 확립, 공공도서관에 있어서의 이용과 저작자, 출판사의 보호, 국회도서관 등의 이용에 있어서 분쟁해결 기능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결론을 내렸다.

      • KCI등재

        한국의 엔터테인먼트산업과 중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의 연예매니지먼트 사업을 중심으로-

        안건형 ( Keon Hyung Ahn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4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ntertainment industry, especially, among others, entertainment management business which involves most complicated interests among concerned players in Korea. Entertainment management business in Korea has a couple of unique features wh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First,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ies carry out function of management along with agency together, whereas these two different functions are separated in developed countries in the field of entertainment business, like in USA. Second,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ies tend to get involved in producing movies, TV programs and music albums as well as management and agency business of entertainers. Third, it is common to giv to entertainers an advance payment for exclusive management contract by a pertinent management company. Lastly, entertainment management business has a characteristic similar to that of venture industry which has incubating role and has high-risk high-return feature. For these unique reasons in Korea, disputes arise very frequently between entertainers and management companies. In the meantim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one of the Government agencies, has published a standard model form of Exclusive Contract for Entertainment Manag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clusive Contract") on 6 July 2009, to eliminate some types of unfairness that placed entertainers at disadvantage such as forced PR activities or activities without payment, excessive privacy infringement and exemption of payment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exclusive contract. In the dispute resolution clause of the said model form, parties can choose either litigation or arbitration. As far as disputes related to exclusive contract for entertainment management are concerned, it is desirable to resolve disputes by arbitration than litigation. Privacy and speediness of dispute resolution ar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celebrities are involved. Public image is directly linked to celebrities` reputation and commercial opportunity, and furthermore, to their income. Therefore, it is very timely to examine the entertainment management business in Korea and arbitration appropriateness with Exclusive Contract of Entertainment Management on this paper.

      • KCI등재

        엔터테인먼트 표준약관상의 중재조항에 대한 관견(管見)

        이준형 ( Joon-hyong Lee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4 No.1

        2008. 9. 대한상사중재원이 한국엔터테인먼트법학회에 용역을 발주하여 같은 해 11. 30. 제출받은 연예엔터테인먼트 분야 6종(전속계약[가수, 연기자 각각], 연화출연계약, 방송출연계약, 광고출연계약, 영화공동투자계약)에 대한 표준계약서 초안 가운데 전속표준계약서 초안은 2009. 4. 17. 한국연예매니지먼트협회(연매협)과 한국연예제작자협회(연제협)를 거쳐서 공정거래위원회 약관심사과에 제출되기에 이른다. 그 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2009. 7. 6. 최종적으로 대중문화예술인 표준전속계약서(표준약관 제10062호[가수중심]/제10063호[연기자중심])가 의결되었다. 조정제도는 사법상의 분쟁을 적정, 공평, 신속하게 해결하도록 한다는 점에서(중재법 제1조 참조) 전통적인 사법구제절차에 비하여 장점을 가지지만, 그 법률적 기초의 근간은 어디까지나 私人間의 자발적인 합의(중재합의)에 있기 때문에, 특히 교섭가능성이 부재한 부합계약의 경우 이를 인정하면 자칫 국민의 기본권인 司法접근권(access to justice)이 박탈될 수 있다는 우려를 부정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 공정거래위원회가 마련한 표준약관들을 훑어보면 이번 경우와 같은 분쟁해결 조항을 포함한 것을 찾기 어렵다는 사실도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표준분쟁해결약관의 제정으로부터 새로운 과제를 떠안게 된 것은 중재법학뿐만 아니라, 아니 오히려 그보다는 약관법학이라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번 약관의 제정을 가능하게 하였던 엔터테인먼트업계의 현실을 살펴보고(Ⅱ), 다음으로 약관과 중재합의의 관계를 일반약관, 표준약관, 개별약정 이상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는(Ⅲ) 순서로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법학교육 양성목표 및 실현방법에 관한 연구

        허신건 ( Shen Jian Xu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5 No.2

        현재 중국의 법학교육이 직면한 제일 주요한 문제는 이론과 실무 사이에 괴리가 있다는 것이다. 본 문장은 법학교육 양정목표를 어떻게 명확하게 확립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무형 법학교육을 발전시킴으로써 향후 리걸클리닉교육 (Clinical Legal Education) 전문가들이 중국의 법학교육을 발전시키는데 관한 공동한 사명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Legal Education of China is currently under serious criticism for its hug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article issuing a call to vary the goal of Legal Education, upgrade the Experiential Teaching. The author has varying perspectives for the future of Clinicians` shared mission of improving Legal Education

      • KCI등재

        특허권람용법리(特許權濫用法理)의 역사적(歷史的) 전개(展開)와 독점금지법(獨占禁止法)

        최승재 ( Sung Jai Choi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09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3 No.1

        미국은 연방헌법 제1조 제8항 제8호에 특허권자의 보호를 명시하면서 특허권을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보호하여 왔다. 특허권이나 저작권과 같은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해는 Sonobono Copyright Term Extension Act와 관련된 Eldred 사건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미국 연방대법원은 특허권남용법리를 발전시켜왔다. 1917년 Motion picture 사건에서 특허권남용법리를 선보인 미국 연방대법원은 이 법리를 사용하여 특허권의 권리행사의 의연을 규정하였다. 1890년 제정된 셔먼법은 독점금지법이라는 영역을 통하여 특허권을 제약하는 것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다. 셔먼법은 중소기업의 보호를 염두에 둔 법이었다. 그러나 셔먼법과 Clayton법 및 연방거래위원회법과 같은 독점금지법은 특허권이 경쟁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시작하면서 특허권남용법리를 통하여 특허권을 제약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의 Carbice Corp 사건과 1942년 Morton Salt 사건 등을 거치면서 특허권남용법리는 독점금지법의 법리를 흡수하면서 점차 정돈된 모습을 가지게 된다. 1960년대 미국법무부는 9 No-Nos라고 불리는 기준을 제시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일정한 유형에 해당하는 특허권의 행사는 당연위법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1982년 CAFC가 창설되면서 미국은 다시 소위 pro-patent 시대를 맞으면서 특허권남용법리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2000년 이후 patent troll의 등장과 특허권의 남용적 행사가 다시 사회적인 이슈가 되면서 미국 연방대법원은 특허권을 제약하는 태도를 취한다. 이러한 미국에서의 특허권에 대한 시대에 따른 인식의 변화는 특허권이 가지고 있는 정책적인 속성에 기초한 것이다. 향후 미국에서 현재 논의되는 특허개혁법(PRA)을 살펴보는 것은 그래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독점금지법 집행이 성한 시기에는 특허권은 후선으로 밀리는 경향이, 그 반대로 특허권자의 보호가 강조되던 시기에는 특허권에 대한 독점금지법의 집행이 소극적으로 바뀌었다. 역사는 미래를 보는 거울이다. 특허법 집행에서도 이러한 점은 마찬가지이다. US expressly announce their intention to protect inventors under their Constitution Article 1 para 1 subpara 1. Eldred case relating to Sonobono Copyright Term Extension Act is a good example how the US court understand the aforementioned provision. On the other hand Patent Misuse doctrine has been developed as a case law by Us Courts. In 1917 US Supreme Court showed a incipient form of Patent Misuse doctrine in Motion picture case. This rule works for limiting the scope of patent protection. Sherman Act enacted in 1890 also influenced the progress of Patent Misuse doctrine by the Courts. Antitrust laws in conjunction with Clayton act and FTCA has regulated the patents through Patent Misuse doctrine. After Carbice case in 1930 and Morton Salt case in 1942 Patent Misuse doctrine has become much more concrete rule by absorbing the ideas and rule developed by antitrust laws. In 1960s US DOJ suggested so called rule named nine NO-Nos. Under this rule any patent holder` s usage of patent right classified under those 9 categories declared as illegal using per se illegal standard. Since 1982 when CAFC was established, pro-patent policy widely accepted in US and US Courts turn a deaf ear to the Patent Misuse doctrine for the time being. However after 2000, the emergence of patent troll and other patent related social cases called a attention to the outer limit of patent right and Patent Misuse doctrine is now to be re-highlighted by Courts. As times goes by, the understanding of patent has been changed age to age. It`s because of the policy oriented nature of patent. From this point of view Patent Reform Act is so interesting issue to get a sense of how the patent law will be developed. History is a mirror to see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Same as the law enforcement in the area of patent.

      • KCI등재

        우리나라와 독일의 영화진흥법제 비교연구

        유성재 ( Seoung Jae Yu ),김지영 ( Ji Yong Kim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09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3 No.2

        현대 산업국가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 차원의 개입과 지원은 보편적이라 할 수 있다. 영화라는 문화예술의 동일한 한 영역을 지원함에 있어 그 어떤 나라에서도 동일한 내용의 진흥법제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이는 영화진흥정책이 각 국의 영화산업의 현실 뿐 아니라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의 관점이 다양함을 나타내는 결과이기도 하다. 문화예술정책의 지원 방식, 구체적인 지원 내용에 있어 차이가 있고 각 국가들이 문화 정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들 역시 상이하다. 이는 각 국가의 문화예술에 대한 역사적 배경, 철학, 국가관 그리고 각 국가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의 경쟁력 등에서 그 차이와 다양한 목표의 원인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It is very common thing for modern industrialized country to intervene and to support the culture and art. However, the way how they support the same domain, movie industry, is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That shows different circumstances and perspectives the countries have when they make the support plan. The way of supporting the cultural industries, specific plans and the purpose what they try to achieve are vary from one to another. That is because the every sector of cultural industries is based on its` countries` philosophies, historial backgrounds and also their differences competitiveness of cultural products.

      • KCI등재후보

        中国传统监狱制度及其近代转型

        马志冰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5 No.2

        중국전통감옥의 의미는 광의의 감옥을 뜻한다. 감옥이란 법에 따라 형벌을 집행하여 인신자유를 구속, 제한하는 모든 감금노역장소를 가리키며 현대의 감옥, 노동교화관리소, 구치소, 유치장 등 여러 유형의 감금구금기관을 포함한다. 다만 중국고대의 법은 기결수와 미결수에 대하여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다. 중국 고대의 전통감옥의 출현은 적어도 先秦시기 夏정권의 설립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기원전 1세기 西漢의 史遊가 편찬한 “急就篇”에는 “睾陶가 옥을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중국전통감옥관리체제는 고대의 형사사법실무에서 최초로 발생하였고, 최초의 형사사법실무는 조기의 군사사법실무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중국고대에는 이른바 “刑은 兵으로부터 시작하였다.”, “兵과 獄은 同制이다.”라는 주장이 있었다. 전술한 “睾陶作士” 중의 “士”는 실제로는 최초의 사법관 겸 옥관이었다. 이는 중국고대조기의 형사사법과 형벌집행은 군사와 행정기능을 구분하지 아니하는 특징이 있음을 보여준다. 魏, 晉, 南北朝시기의 400년에 가까운 발전, 과도와 변천을 거쳐 隋唐시기 이후에 들어서서 중앙 감옥관리체제에는 하나의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3省6部制를 주체로 하는 중앙행정관리기관 중 尙書省이 관할하는 6部에 전문적인 중앙사법행정기관인 刑部를 설치하였다. 刑部는 통일적으로 전국 감옥사무를 관리하는 최고직능부서이고 “천하의 형법 및 徒隸, 勾復, 關禁의 정령을 관장한다.” 지방은 州, 縣 兩級制의 행정관리체제를 실행하여 각각 州, 縣 兩級의 지방감옥을 설립하였다. 이러한 부분등을 포함하여 감옥체계에 대한 본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 내 경제 활동의 지식재산권 쟁점에 관한 고찰

        최중락 ( Choi Joong Rak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5 No.2

        메타버스 플랫폼은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사회·경제 활동을 연결해주는 차세대 주요 플랫폼으로서 기능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렇다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사회·경제활동이 일상화되는 단계를 대비하기 위한 메타버스 관련 시장의 윤리적, 문화적 쟁점 및 관련 법 제도를 정비할 필요성도 그만큼 커진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성공적·선도적 메타버스 플랫폼 지위에 있는 제페토(Zepeto)에서의 경제 활동과 관련된 지식재산권 보호 문제에 대하여 몇 가지 상황을 가정하여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하였다. ① ‘얼굴 인식 3D 아바타 생성방식’이 유발할 수 있는 성명·초상 등의 무단 이용에 의한 재산적 손해를 실효성, 일관성 있게 규제할 필요가 있다. ②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아이템 창작과 관련한 저작권 문제는 현행 저작권법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 ③ 상표권·디자인권은 권리를 보호받기 위한 설정등록을 해두어야 권리행사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메타버스 생태계 활성화에 대비해 별도 등록출원 조치를 해두어야 한다. ④ 퍼블리시티권, 디자인 및 디자인권은 부정경쟁방지법을 적용하더라도 제대로 보호받기 어렵다. 그리고 위 검토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제시하였다. ① 퍼블리시티권을 보호할 법률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② 미등록 디자인 보호를 위해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자목에서 규정하는 행위태양에 ‘판매’를 추가하고, 상품의 정의에 ‘이종 상품’까지 포함한다고 해석될 수 있는 법률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③ 앞 자목 보완의 대안으로서,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카목 규정이 ‘이종 산업 간의 경쟁관계’까지 포함한다고 해석될 수 있는 법률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The Metaverse Platform is very likely to function as a major next-generation platform that connects the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of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If so, the need to reorganize the ethical and cultural issues and related legal systems in the metaverse-related market to prepare for the stage whe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on the Metaverse Platform become a part of our daily lives increases to the same ext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ssue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related to economic activities in ZEPETO, which is in the status of a successful and leading Metaverse Platform, was reviewed assuming several situations. As a result, the following points were confirmed. ①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and consistently regulate property damage caused by unauthorized use of names and portraits that can be caused by the ‘face recognition 3D avatar creation method’. ② Copyright issues related to item creation on the Metaverse Platform can be protected under the current copyright law. ③ A separate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must be made in prepar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Metaverse ecosystem because trademark rights and design rights must be registered to protect the rights to be exercised. ④ Even i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s applied, publicity rights, design rights and design rights are difficult to be properly protected. And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above review,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① A legal basis to protect the Right of Publicity should be prepared. ② In order to protect unregistered designs, 'sale' should be added to the behavior stipulated in Article 2, Item 1 (i)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a legal basis should be prepared that can be interpreted as including 'different products' in the definition of a product. ③ As an alternative to supplementing the preceding, a legal basis should be prepared that can be interpreted as the provision of Article 2, Item 1 (k)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cludes ‘competitive relations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 KCI등재

        개정 디자인보호법에서의 화상디자인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일본 개정 의장법상 논의를 중심으로-

        정태호 ( Tae Ho Jung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5 No.1

        개정 디자인보호법은 화상디자인제도에 관하여 새로운 체계를 도입하였다. 기기의 조작에 이용되거나 기능의 발휘에 한정하는 화상디자인만 물품성의 개념을 해체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개정 디자인보호법은 실시의 개념과 관련해서도 화상 자체를 전기통신회선의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 등을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개정 디자인보호법은 일본 개정 의장법의 화상디자인제도를 도입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정 디자인보호법에서 화상디자인제도에 관하여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일본 개정 의장법의 화상디자인제도에 관한 입법 배경과 여러 가지 비판적인 논의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화상디자인제도가 일본에서 도입되기 전에 논의된 새로운 화상디자인제도의 경제적인 효과 등에 관한 비판적인 견해들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검토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의 개정 디자인보호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존의 보호방식과의 혼란 초래의 문제, 구법상 선출원된 등록디자인과의 유사 판단 및 이용·저촉의 문제, 저작권과의 저촉의 문제, 특허권과의 저촉의 문제, 공업상 이용가능성에서의 대량생산의 의미와의 충돌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개정 디자인보호법상으로는 물품에 구현되는 화상에 대한 보호와 화상 자체에 대한 보호가 혼재되기 때문에,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심사기준을 정비하여 운용상의 묘를 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물품’이라는 개념보다 유럽연합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제품’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제품성의 범주안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들을 디자인보호법상 디자인의 보호대상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입법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introduced a new system for graphic image design system. Only graphic image designs that are used to Operation of the Devices or that are limited to the exercise of functions are provided as protecting the concept of article property by dismantling it in th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And th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also provides newly that the graphic image itself is offered by means of telecommunication lines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working of a design. However, we understand that th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introduced the graphic design system of the japanes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expected problems of the graphic design system in th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we need to review the legislative background and various critical discussions on the graphic design system of the japanes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In particular,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refer to critical opinions on the economic effects of the new graphic design system which was discussed before it was introduced in Japan. Based on such a review, we should resolve the problems on confusions with existing protection methods, judgments of similarity and conflicts with registered designs applied previously under the old law, conflicts with copyrights, conflicts with patent rights and conflicts with the meaning of mass production in the concept of design capable of being used in industrial manufacture in th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Since the protection of graphic images embodied in articles and the protection of graphic images themselves are mixed in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operational skills for preventing this problems by improving the design examination guidelines. In conclusion, I think that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the concept of “product”, a term used in design acts of the European Union, rather than the existing concept of “article” to mean things that can be mass-produced within the category of “product” as protection of design under the Design Protection Act. And we also need to study legislation on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