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심전도 신호의 R-R 간격 정보를 이용한 심실빈맥 부정맥 검출

        이성택(Seong-Taek Lee),윤태호(Tae-Ho Yoon),신승원(Seung-Won Shin),이선주(Sun-Ju Lee),김경섭(Kyeong-Seop Kim),이정환(Jeong-Whan Lee)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심실 빈맥은 심실에서 비정상적인 전기자극 발생으로 인하여 심박수가 분당 100~120회를 초과하는 부정맥 증상을 일컫는다. 심실 빈맥이 발생하는 경우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폐에는 미처 나가지 못한 피가 고이는 경우도 발생하여 심부전증이 나타나거나 심실 세동으로 발전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매우 위험한 부정맥 중의 하나이므로 심실 빈맥 검출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분 연구에서는 R-R 간격 정보를 이용하여 심실 빈맥 부정맥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실내 조명 아래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앞방각 모양 및 안압의 변화

        이성택(Seong Taik Lee),박수진(Su Jin Park),강용구(Yong Koo Kang),신재필(Jae Pil Shin),김대우(Dai Woo Kim),박동호(Dong Ho Park)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9

        목적: 실내 조명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에 안압과 앞방각 모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적 이상이 없는 19-35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전에 리바운드 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해 앞방각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이후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2, 4, 6분에 리바운드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6분에는 앞방각 이미지도 함께 촬영하였다. 6분 후 스마트폰 사용을 중단하고 2분간 휴식을 취하였다. 8분에는 안압 측정만을 시행하였다. 결과: 36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전의 안압과 비교했을 때 스마트폰 사용 후에 2분째부터 의미 있게 안압이 증가하였고 4, 6분째에도 안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스마트폰의 사용을 종료하고 2분간 휴식 후 8분째에 안압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 스마트폰 사용 후 앞방 깊이는 감소하였으나(p<0.05) 앞방각 넓이는 넓어졌다(p<0.05). 결론: 실내 조명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안압이 상승하지만 이는 앞방각의 변화와 상관이 없다. 녹내장 발생의 위험이 있는 환자나 녹내장 진행에 대해 주의가 필요한 환자에서는 이에 대한 주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iridocorneal angle (ICA) configuration during smartphone use under room light. Methods: We included healthy adults aged 19-35 years with no ophthalmological abnormalities. All read text on a smartphone for 6 minutes under room light. IOP was measured via rebound tonometry at baseline and at 2, 4, and 6 minutes. ICA images were obtained via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fter each IOP measurement. After 6 minutes, participants stopped reading text and rested for 2 minutes. IOP was then measured again. Results: The IOP significantly increased at 2, 4, and 6 minutes of reading compared to baseline (p < 0.001) but recovered to baseline after 2 minutes of rest (p = 1.000). The anterior chamber depth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anterior chamber angle width increased after 6 minutes of smartphone reading (both p < 0.05). Conclusions: IOP increased when reading smartphone text under room light but the ICA did not change. Prolonged smartphone reading is inappropriate for a patient at risk of glaucoma or glaucoma progression. Such patients should be cautioned.

      • KCI등재

        가정내 대인외상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성택 ( Lee Seongtaek ),정석희 ( Jeong Sukhee ),손영미 ( Sohn Youngmi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7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정내 대인외상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1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가정내 대인외상경험과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를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내 대인외상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관계적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즉, 중간 혹은 낮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수준을 지닌 대학생들은 가정내 대인외상을 경험할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을 더욱 강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이 더 높은 수준의 관계적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trauma at home,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al aggress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Korean (n=182)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omestic interpersonal trauma and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d been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al aggression. Finally, as a result of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ath of domestic interpersonal trauma to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internalized shame. Specifically, students with low or moderate level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end to experience more shame as they experience domestic interpersonal trauma, which exacerbates their relational aggre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와 연관된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 망막병증 2예

        이성택(Seong Taik Lee),김수연(Su Yeun Kim),강용구(Yong Koo Kang),박한상(Han Sang Park),박동호(Dong Ho Park),신재필(Jae Pil Shi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0

        목적: 백혈병에서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와 연관된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에 동반된 망막병증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급성골수세포백혈병으로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를 복용하던 58세 여자가 양안의 시력저하로 내원했다. 우안 시력은 0.5, 좌안은 0.4였고, 안저검사에서 다수의 면화반과 망막출혈을 보였으며 형광안저혈관조영에서 모세혈관 비관류를 보였다.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에 동반된 망막병증이 의심되어 Tacrolimus를 중단하고 혈장분리교환을 시행하였으나 3개월 후 양안에 신생혈관녹내장이 발생하였다. 앞 증례와 유사한 20세 남자가 양안 시력저하로 방문하였다. 우안시력은 0.05, 좌안시력은 0.025였다. 앞의 환자와 유사한 소견을 보여 Tacrolimus를 중단하고 혈장분리교환을 시행하였고 1개월 후 우안 시력은 0.2, 좌안은 0.4로 회복되었다. 결론: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와 같은 calcineurin 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가 시력장애를 호소할 경우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에 동반된 망막병증을 의심해야 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We report two cases of tacrolimus-related transplant-associated thrombotic microangiopathy (TA-TMA) retinopathy in leukemia patients who had undergone allogen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Case summary: (Case 1) A 58-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PBSCT due to acute myelocytic leukemia and taking tacrolimus was referred to the ophthalmology clinic with visual disturbance. Her visual acuity (VA) was 0.4 in the right eye and 0.5 in the left eye. Multiple cotton wool spots and retinal hemorrhages were found in both eyes on fundus examination. Multiple capillary non-perfusions were seen on fluorescein angiography (FA). Tacrolimus-related TA-TMA retinopathy was suspected. Tacrolimus was discontinued and plasmapheresis was performed. After 3 months, neovascular glaucoma developed and her VA became “counting fingers” at 20 cm in both eyes. (Case 2) A 20-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PBSCT due to acute lymphocytic leukemia and taking tacrolimus was referred to our clinic because of decreased VA in both eyes. His VA was 0.05 in the right eye and 0.025 in the left eye. Fundus and FA findings were the same as in Case 1, and the patient was suspected to have tacrolimus-related TA-TMA retinopathy. Tacrolimus was discontinued and plasmapheresis was performed. His VA was 0.2 in the right eye and 0.4 in the left eye at 1 month after treatment.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A-TMA retinopathy in leukemia patients taking calcineurin inhibitors, such as tacrolimus, who have decreased VA.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important.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0):1428-1434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퇴비화 과정에 관여하는 생체 고분자 분해 미생물 및 황산환원균의 분리

        이성택(Seong-Taek Lee),이재정(Jae-Jeong Lee),나현준(Hyun-Jun Na) 유기성자원학회 1994 유기물자원화 Vol.2 No.2

        갚l 비화 과정의 미생불학적 연구플 위해 퇴비화 재료인 유기성 폐기물에 많이 존재하는 고분자 물칠의 분해에 관여하는 미생물들과 이들이 분비하는 효소들을 손쉽게 선별, 정량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아울러 혐기적 상태에서의 퇴비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혐기적 분해의 최종적 역할을하는 황산 환원 균의 퇴비화 과정에서의 분포를 알아보았다. 고분자 물질의 분해 측정법 개발에 사용된 기질은 각각 다당류 및 단백질 중에서 ß-glucan, xylan, dextran, CMC(carboxymethylcellulose), casein, collagen 등을 재료로 사용하였고 이들을 가교제를 써서 불용화시키고 색소를 결 합시켜 색소기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질을 이용하여 실제의 퇴비에서 고분자 분해 세균을 분리할수 있었으며 기존의 효소 정량법에 비해 민감하게 효소 활성을 정량할 수 있었다. xylan 과 ß-glucan색소기질의 경우 고체 배지 상에서 고분자 분해 미생물을 선별할 때 기존의 Congo red 법과는 달리 미생물 집락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었다. 실험에 쓰인 오니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 환원 세균은 lactic acid , propionic acid , butyric acid , formic acid 등의 유기산에 대해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고, acetic acid , valeric acid도 이용할 수 있었다. For a microbiological study of composting process, screening and assay method for biopolymer degrading enzymes and microorganisms were developed and for the study of the possibility of composting in anaerobic state, distribution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which plays a final role in anaerobic degradation was investigated. Substrate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ssay methods for biopolymer degradation are ß-glucan, xylan. dextran. CMC(carboxy methly cellulose) , casein , and collagen. These substrates were made insoluble by a cross-1inking agent and linked with dye to make chromogenic substrates. ß-glucan and xylan substrates could substitute congo-red method for screening of polymer degrading microorganisms without damaging the colonies. Sulfate reducing bacteria contained in the sample sludge showed preference to lactic acid , propionic acid , butyric acid and formic acid and could use acetic acid and valeric ac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