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진통 임신부에서 임상적 감염의 비침습적 예측

        이성윤 ( Sung Youn Lee ),박교훈 ( Kyo Hoon Park ),오경준 ( Kyung Joon Oh ),정은하 ( Eun Ha Jeong ),김시내 ( Shi Nae Kim ),정희정 ( Hee Jung J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양막파수 없이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신부에서 비침습적 임상지표를 이용하여 입원 후 발생한 임신부 또는 신생아의 임상적 감염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양막파수 없는 조기진통(임신 20.0~35.0주) 임신부 165명에서 경질초음파로 자궁경부길이를 측정하였고 임신부 혈액에서 백혈구 수를 측정하였다. 임상적 감염은 임신부에서 분만 시 임상적 융모양막염이 발생하거나 혹은 신생아에서 선천성 패혈증이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통계분석은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과 논리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감염의 빈도는 5% (8/165)였다. 임상적 감염이 존재한 군은 존재하지 않는 군보다 입원 시 임신주수가 유의하게 낮았고, 자궁경부길이도 유의하게 짧았으나 백혈구 수는 유의하게 높았다. 논리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모형이 만들어 졌으며 이때 혈액 백혈구 수, 자궁경부길이, 임신주수가 가장 중요한 예측인자로 선택되었다. 이 모형은 Hosmer와 Lemeshow검정에서 적절한 통계적합도를 보여주었으며(P=0.202), ROC 곡선에서 area under curve값은 0.822로 측정되어 유용한 예측력을 보여주었다. 결론: 양막파수 없이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신부에서 자궁경부길이, 혈액 백혈구 수, 임신주수의 임상지표를 기반으로 한 모형을 이용하면 비침습적으로 임신부 또는 신생아의 임상적 감염을 예측할 수 있다. Objective: To develop a model based on non-invasive variables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subsequent maternal and/or neonatal clinical infection in women admitted to hospital for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Methods: Transvaginal ultrasound for measurement of cervical length was performed and maternal blood was collected for the determination of white blood cell (WBC) count at admission in 165 consecutive women with preterm labor (between 20.0 and 35.0 weeks). Clinical infection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clinical chorioamnionitis at delivery or early onset neonatal sepsi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The prevalence of clinical infection was 5% (8/165). Women who developed clinical infection had a significantly lower median gestational age at admission, a lower shorter median cervical length, and a higher median WBC count a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develop clinical infec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a final model was chosen, which included maternal blood WBC, cervical length, and gestational age as the best predictors of clinical infection. A risk score was calculated containing these 3 variables for each patient. The model was shown to have an adequate goodness of fit (P=0.202), and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was 0.822, indicating reasonably good discrimination. Conclusion: In women admitted to hospital for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the risk for the subsequent maternal and/or neonatal clinical infection can be predicted non-invasively with a risk score based on cervical length at admission, maternal blood WBC, and gestational age.

      • KCI등재

        복식 자궁경협부 봉합술의 적응증 유효성 평가와 임상적 예후에 관한 연구

        김지연 ( Ji Yeon Kim ),이근영 ( Keun Young Lee ),전현아 ( Hyun Ah Jun ),이성윤 ( Sung Youn Lee ),송지은 ( Ji Eun Song ),박성택 ( Sung Taek Park ),김홍배 ( Hong Bae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1

        목적 : 자궁경부 무력증에 있어서 복식 자궁경협부 봉합술의 적응증과 임상적 결과를 검토하여 복식 자궁경협부 봉합술이 질식 자궁경부 봉합술을 대치할만한 지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본원에서 1999년 1월부터 2004년 12월 사이에 자궁경부 무력증으로 진단받고 복식 자궁경협부 봉합술을 시행 받은 48명의 환자의 챠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복식으로 수술하게 된 적응증을 분석하고 태아의 예후를 조사하였다. 결과 : 산모의 평균 나이는 31.7±3.2세였고 산과력은 평균 2.9±1.5회였다. 복식 자궁경협부 봉합술을 시행하게 된 가장 많은 적응증은 이전에 질식 자궁경부 봉합술을 실패한 경우로 23명이었고, 두번째는 자궁경부 길이가 짧은 경우로 19명이었으며 나머지 6명은 자궁경부 열상이 있었다. 복식 자궁경협부 봉합술 시 평균 임신 주수는 13.7±6.9주, 평균 분만 주수는 37.1±2.4주로 평균 임신 연장 기간은 23.4±2.5주였다. 평균 신생아 몸무게는 2.92±0.5 kg이었다. 56명의 태아 중 자궁 내 사망 1명, 출생 후 24시간 내 3명이 사망하여 태아 생존률은 92% (52/56)이다. 합병증은 수술 중 출혈과 수술 후 창상 열상이 대부분이었고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 복식 자궁경협부 봉합술 시술은 엄격한 적응증 적용이 필요하며, 아주 불량한 산과력을 가진 자궁경부 무력증 산모에서 수술 기법 등을 잘 숙지하여 수술을 시행하면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태아의 생존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식 자궁경부 봉합술을 대치할 수 있는 유용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ndications of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and clinical outcom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valid alternative to transvaginal cerclage.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was carried out of transabdominal cerclage patients at our hospital from Jan. 1999 to Dec. 2004. Analysis of the indications for the transabdominal rather than the vaginal approach and evaluation of fetal outcomes was performed. Results : 48 patients underwent transabdominal cerclage. The primary indication for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was failed transvaginal cerclage in 23 patients, the secondary indication was short cervix for transvaginal cerclage in 19 patients and cervical laceration in 6 patients. In 48 pregnancies, 8 twins were included. Therefore, total number of fetus was 56. One fetus of twin died in uterus at 27 weeks of gestation with unknown cause. 48 patients successfully delivered 55 live babies by Cesarean section. However, three babies died due to Tetralogy of Fallot, gastroschisis and preterm delivery. Complication including blood loss requiring transfusion did not occur. All patients had histories compatible with incompetent cervix requiring cerclage, and none were suitable candidates for vaginal cerclage. Live birth rate was 92% (52/ 56), compared with 28% salvage of pregnancies beyond the first trimester before the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procedure. Conclusions : Our results and review of literature confirm that with strict indications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offers a high rate of fetal salvage with minimum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extremely poor obstetric histories because of cervical incompetence.

      • KCI등재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양수 내 백혈구 수와 태반 염증성 병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정은하 ( Eun Ha Jeong ),박교훈 ( Kyo Hoon Park ),오경준 ( Kyung Joon Oh ),이성윤 ( Sung Youn Lee ),김시내 ( Shi Nae Kim ),정희정 ( Hee Jung Jung ),이정연 ( Jeong Yeu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2

        목적: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양수 내 백혈구 수와 태반 염증성 병변의 존재 및 정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로 입원한 단태임신 임신부 중 양수 내 백혈구 수 측정 및 양수 배양검사를 위해 경복부 양수천자가 시행되고, 양수 천자 후 72시간 내에 조기분만(임신 24.0-35.6주 사이)되었으며, 태반의 조직학적 검사가 시행된 90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빈도는 32%였으며 양성 양수 배양인 경우는 21%였다. 태반 염증성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양수 내 백혈구 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양수 내 백혈구 수는 교란변수의 영향을 보정한 후에도 태반 염증성 병변의 존재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양수 내 백혈구 수는 각각의 태반 부위별 염증 정도가 심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태반 염증성 병변 존재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양수 백혈구 수의 절단치는 25개/mm3였고 이때 민감도 62%, 특이도 77%를 나타내었다. 결론: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양수 내 백혈구 수는 태반의 염증성 병변의 존재 및 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전에 이의 존재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 인자이다.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mniotic fluid (AF) white blood cell (WBC) count and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inflammatory lesions of the placenta in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90 consecutive women with PPROM (24.0-35.6 weeks) who met the following criteria: singleton gestation; transabdominal amniocentesis performed to obtain AF for culture and WBC count; delivery within 72 hours of amniocentesis; placental histologic examination after preterm delivery. Results: The prevalence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 was 32% (29/90) and that of positive amniotic fluid culture was 21% (19/90). Patients with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ad a significantly higher AF WBC count than those without this les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F WBC count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fter controlling for gestational age and AF culture. The median AF WBC count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higher severity of inflammation in each type of placental histologic section. According to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the best cut-off value of AF WBC count for predicting histological chorioamnionitis was 25 cells/mm3, with a sensitivity of 62% and a specificity of 77%. Conclusion: Both the presence and greater severity of inflammatory lesions of the placenta are associated with an elevated AF WBC count. AF WBC count is an important and independent predictor for inflammatory lesions of the placenta in women with PPROM.

      • 인터넷 기반 통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활용 기술과 아키텍처

        김종우,이윤희,이성윤,백승기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8 忠南科學硏究誌 Vol.25 No.1

        This paper presents enabler technologies and architecture for Internet-based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s. Current Internet-based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s have only roles of data repository and provide limited services such as source data display and download. Reinforced with the enabler technologies such as data warehouse, multidimensional database, Java, dynamic HTML, and intelligent agent, the future Internet-based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s will provide more services including data analysis, data processing, multiple data view generation, and statistical advice. The proposed architecture of Internet-based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s consists of four layers; data collection layer, data management layer,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layer, and information interface layer. A prototype Internet-based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which is called ISIS(Internet-based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has been developed through Java and relational database on Windows NT ser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