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무부 결혼이민자 조기적응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7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4

        국내 입국 초기의 결혼이민자 대상 실시되는 조기적응프로그램은 한국사회 서비스에 대한 정보의 제공을 통하여 사회부적응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요한 교육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목원대학교 조기적응지원센터에서 실시된 결혼이민자 조기적응프로그램의 운영사례를 토대로 하여 운영실제에 따른 문제점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결혼이민자 가정의 경우 재문화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반은 배우자이다. 결혼이민자 가정의 부부 및 가족 간의 갈등, 사회부적응의 사례가 속출에 따른 사전예방 및 한국 사회 조기적응을 위하여 결혼이민자와 배우자 대상으로 실시되는 본 조기적응프로그램의 이수는 의무참여제로 전환되어야 하고 둘째, 교육의 효과성 등을 제고하여 교육시간 순서에 따른 주교재의 재발간과 교육 참여자들로 하여금 교재 내용에 대한 이해의 증진과 균질적인 강의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교재 등 부교재의 개발이 요청된다. 셋째, 조기적응프로그램의 강의인력의 경우 다양한 전공과 직업경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양질의 교육을 위하여 조기적응프로그램 강사 대상 매년 교수법 중심의 보수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넷째, 조기적응프로그램에서의 멘토링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결혼이민자 대상 상담기법 등에 대한 교육이 요청된다. 마지막으로, 조기적 응프로그램의 참여를 위해 국제결혼안내프로그램 참여자 대상의 본 조기적 응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안내 및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전(前) 단계 체계로 구축, 여타의 안내문 제작・배포 등의 홍보방안이 요청된다. Initial adjustment support program of early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are adapting conducted major training program for this study, but to minimize the social maladjustment phenomena through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society services for the Korea situation is almost member. In this paper, the operating practices of initial adjustment support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s conducted in initial adjustment support center in Daejeon were derived based on the problems and issues of the actual operation. First, the marriage immigrants spouse based on an assumption that can effectively interact in the process of re-culturalization. Initial adjustment support program carried out by the marriage immigrant spouse targeted for preventive and Korea initial adjustment of the cases of conflict between the family and the coupl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social adjustment should be completed obligations, seco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uch training is required by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materials including multimedia materials for the promotion and teaching of understanding allowing homogeneous materials for information participants of the training with the publication of main textbook of the education chronological order. Third, the teaching staff for initial adjustment support program of education quality appeared to be doing work experience with a variety of majors initial adjustment support program, ministry of justice should be conducted instructors teaching method of the target annual refresher training. Fourth, education targeted marriage immigrant counseling techniques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mentoring in the initial adjustment support program. Finally, to participate in the early adaptation program, a preliminary guide to the early adaptation program for the participant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guidance program, a pre-stage system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and a publicity plan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other announcement texts is requested.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연구

        이성순(Lee, Sung-So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9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결혼이민자와 그들의 가족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을 뿐 국내에 유입되는 다양한 유형의 이민자들을 한국 사회에 융합시키는데 있어서 미흡한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소수집단들이 주류사회로의 적응과 사회통합에의 기여는 극히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100년 이상의 역사를 통하여 외국인근로자를 유입하고 그들을 활용하는 독일은 경제상황, 노동시장 동향, 사회상황 등을 고려하여 외국인근로자 정책을 보완하고 시행하는 등의 외국인력 도입 정책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그동안 시행되어 왔던 독일의 차별배제형 모델의 이민자 정책은 다문화주의의 모델 속에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갈등을 해소하고 다문화사회의 통합방안 모색한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단일민족주의를 고수했던 독일의 최근의 이민자 사회통합정책과 사회통합교육을 고찰하여 한국의 사회통합정책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정착에 있어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a cross-country analysis of integration in Germany, the Republic of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integration of migrants is conceived in the respective national agendas and how integration policy is initiated and implemented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in each country.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tus and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in Korea · Germany and reviews o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managing in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immigrants. According to an analysis, serious problems dealing from an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specially financial burden, increase of crime and unemployment rate as well as expenses of social welfare in local government have been assessed. Therefore, korean government try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for improving social unity through adequate education policy, cultural and educational policy for immigrants. Therefore, this paper has discussed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Korea · Germany for immigrants and then suggested prerequisite conditions in order to provide a this program. To make this social integration program success, a long-term strategy of the local government is needed. The citizen shall get in contact with foreigners to facilitate Integration. Immigrants should adapt to social Integration program, accordingly.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현실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순(Lee, sung-soon),강민완(Kang, min-wan),김종열(Kim, jong-ryul) 한국사회안전학회 2012 한국사회안전학회지 Vol.8 No.2

        최근 2010년과 2011년 초에 초등학생을 성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온 나라가 더들썩 하더니, 금년에는 그 아픔과 후유증이 채 치유되기도전에 10대들의 학교폭력과 연이은 자살이 우리사회를 뒤흔들어 놓고 있다. 학교폭력이 발생할 때마다 정부는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를 만들고 인성 및 공공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문화 선진화정책을 추진하는 등 법적ㆍ제도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아직도 동일유형의 학교폭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학교폭력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이 관대하여 학교폭력이 발생해도 학교와 학부모는 아이들의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그 사이 피해학생들은 마음과 몸이 깊은 상처를 받게 된다. 학교폭력은 잠깐 아프다 아무는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피해자는 정신적ㆍ육체적으로 지속적인 상처가 남겨, 성인이 된 뒤에도 우울증을 앓고 불신과 불안심리가 내재되어 대인관계마저 틀어지게 된다. 이제는 학생들이 학교폭력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교육 안전망을 심층깊게 검토하여, 가정과 학교, 정부와 지역사회 등 모두가 나서서 함께 해결책을 찾아야하는 시급한 문제라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금년도에 교육부가 파악한 학교폭력 실태 내용을 분석하여 폭력이 근절되지 않는 근본적인 원인을 고찰해 보고, 이를 토대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현실적 대응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해 보았다. 첫째, 학교폭력을 근절시키기 위해 정부와 교육계는 이념과 정치투쟁의장에서 벗어나 머리를 맞대고 초ㆍ중ㆍ고교 전 과정을 망라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교육시스템을 구축하여 연속성을 가지고 일관성 있는 교육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초ㆍ중학교 시기는 인간의 성격과 가치의 기초를 형성하는 아주 중요한 시기로 사회구성원의 일원이라는 공동체적 의식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을 활성화하고, 상대적으로 학교폭력 발생 비율이 높은 지방 중·소도시에 청소년 문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제도적으로 교사의 권위를 보장해 주고 행정위주의 과중한 업무체계를 개선하여 교육과 지도에 전념토록 여건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넷째, 학교폭력 자치위원회가 제 역할을 다하도록 운영체계를 실질적으로 보강하고, 사후 철저한 관리를 통해 재발방지와 조기 치료가 되도록 조치하고 공정한 신상필벌로 악순환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해 국가와 학교, 부모, 사회를 구성하는 전 요소가 다각적이고 실질적이며 가시적인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는 협조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내부의 환경적 취약요소를 제거하고 가용인원을 통합하여 학교가 관리되도록 운용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 KCI등재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의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방안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우리나라의 결혼과 이혼에 있어서 국제결혼이 점유하는 비율이 10%를 넘어서고 고령사회의 진입과 저출산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향후 국제결혼은 하나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국제결혼중개업의 건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국제결혼안내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은 국제결혼으로 인한 개인의 경제적·심리적·인권적인 피해를 예방하고 더 나아가 건강한 다문화사회 조성과 사회통합에 있어 단초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법무부의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제결혼문화의 발전과 안내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개발과 교육관련 자료집이 발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국제결혼안내 전문강사 양성 혹은 기존에 양성한 다문화전문강사 대상 보수교육을 통하여 양질의 강사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현행 교육시간을 보다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국제결혼 당사자의 인권보호 및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결혼중개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다섯째, 한국인과 결혼하려는 현지인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사전교육과 본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statistical data demonstrates a rapid increment in the por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2000. International marriages of foreign women with korean men take absolutely large portion of whole cases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especially the number of foreign brides has evidently increased. In this process, racially and sexually discriminatory advertisements are prevalent. No information on husband is provided to a foreign bride until the moment that she is finally selected by a korean husband.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migrant women at this moment is in a grave situation due to the provision of incorrect information on partner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women. Nevertheles, local governments are rather encouraging international marriage that takes on a human trafficking character than regulating brokering agencies that infringe human rights. The government shall devise a strong criminal punishment law against human rights violative practices performed by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in order to regulate, prosecute and punish such practices occurring on the border of human trafficking and migration. Also the ministry of justice planned people to hope international marriage should study three hours in immigrants office before their marriage from 16.10.2010. Recently from 2011.3.7. Korean people receive compulsory this program. First, for good marriage culture needs enough research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textbooks. Second, for training of good progressional needs supplementary lessons of systematic and fine quality. Third, education of three times is very short for good education, so needs extension of educational times with another various multicultural organization. Fourth, management of company for international marriage needs continuous for human right. Fifth the ministry of justice should offer other this program in seven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 멘토링의 운영 현황과 개선과제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4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6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정 자녀의 급증에 따라 국가차원의 교육지원정책이 수립되고 있다. 그 가운데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의 멘토링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교생활실태를 근거로 해서 볼 때 교육적?정서적 맞춤형 지원으로써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 매우 유의미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멘토링의 진행 중에 포기하는 멘토가 발생하는가 하면 멘토가 멘티의 교체를 희망하거나 멘티가 멘토의 교체를 요청하는 사례, 멘토의 교수법 등에 대한 멘티 부모의 불만 사례가 표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1년 이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멘토링 사업에 참여중인 목원대학교의 운영 사례와 멘토링 연계 사회봉사 교과목의 개설 사례를 통하여 멘토링의 효율적?안정적 운영에 있어 다섯 가지의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멘토의 선발 및 멘토-멘티 결연 사정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둘째, 중도 포기자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지지책을 강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멘토링에 대한 멘토, 멘티, 멘티부모, 담당교사를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결연관리자 및 슈퍼바이저 대상 직무교육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운영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및 워크숍, 평가회 개최 등 재능기부를 도출할 수 있는 방안의 제고와 확산에 대한 노력이 요청된다. Recently, with the rapid increase in nu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many educational policies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mong others, the mentoring program for the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valuable as a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ren adapting to school life. However, the program faces many problems: the mentor or mentee wishing to withdraw from the program, the mentor wishing to change his/her mentee, the mentee wishing to change his/her mentor, and the mentee’s parents demanding better teaching methods by the mentor. At this point, this paper suggests five pla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sustain stable management of the mentoring program. Based on a case study on the mentoring progam as part of the public service at Mokwon University,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changes to the program: First, it needs new selective standards and new mentor-mentee matching standards. Second, it needs a moral support policy for rejected mentor or mentee. Third,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mentor, mentee, mentee’s parents, and mentee’s teacher is needed. Fourth, also needed is an official education for the mediator and supervisor. Finally, there should be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gency and the university by holding regular meetings.

      • KCI등재

        결혼이민자 한부모가족의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7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정부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외국인정책 기본계획과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차별방지와 다양성 존중등 내외국인 사회통합의 문제를 제고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사회통합정책이 다문화사회 전개 양상 등 한국적 상황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이민사회에 대한 총체적 전망에 기초하여 수립된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 지적된 일련의 현상에 대한 대증적 · 파편적인 대응에서 연원하였다.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제정과 함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으로 초기정착지원, 교육지원, 사회적응 · 취업지원, 가족관계 향상지원 등을 하고 있으나 다양한 가족 유형 가운데 결혼이민자 한부모가족에 대한 지원은 미흡하고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결혼이민자 한부모가족의 사회통합정책 현황과 다문화가족정책의 진단하고자 에이거와 스트랭이 개발한 사회통합의 분석틀인 통합의 토대, 촉진요소, 사회적 관계, 통합지표와 수단 등 4개의 상위지수와 10개의 하위지수에 따른 지수별 유기적 연계방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Since Korea society has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government has started to plan the basic plan of foreign policy and the basic plan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ince the mid-2000s, and to raise the problems of social integration of Korean and foreign including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respect for diversity. However,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was not based on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Korean situation such as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overall prospect of the immigrant society, but rather a response to a series of phenomena pointed out as social problems. In 2008,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as enacted. In addition, support for initial settlement, education, social adaptation, employment, and family relations were provided through customized support for each life cycle. However, support for married immigrant single parent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In this paper, the present situation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of married immigrant single parents and the diagnosi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are analyzed. The analysis framework of social integration developed by Ager and Strang, the foundation of integration, facilitators of integration, Social connection, markers and means, we examined the index-based organic linkage method with four upper exponents and ten lower exponents.

      • KCI등재후보

        외국인력 정책에 관한 연구 - 논산시 외국인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이성순 ( Lee Sung-soon )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1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and policies in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foreign workers in Nonsan, based on the survey on foreigners in Nonsa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ac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bsence of grievances and residency counceling, the absence of education and consulting for foreign worker employers and foreign workers, the absence of measures to promot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and measures to enhance the cultural acceptance of Koreans were found in the support of forein workers living in Nonsan, appeared to be absent. As a policy suggestion, first, it is premi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olicy goals and key tasks of the foreigner policy of Nonsan City. Accordingly, the division of the foreign policy division, which plans and oversees foreign policy as the Donggo Dongrak domestic administrative department of Nonsan City Hall, and the Foreigner Support Division, which manages organic cooperation with multicultural institution is required. Second, it is required to conduct Korean language classes linked to multicultural organizations and to operate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oreign workers by regions where foreign workers are concentrated and by each area. Third, it is required to open the Cheonan Foreign Workers Support Center Nonsan Branch or to establish the Nonsan Foreign Welfare Center for foreigner grievance counseling and residency counseling. Fourth, in the absence of labor counseling, human rights counseling, and return support for foreign workers' employers and foreign workers, unified education and on-site consulting were conducted. Fifth, a community was established to promote foreign workers'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A plan is required to involve foreign workers in the Foreign Representatives' Association so that they can advise and monitor the information. Finally, in order to enhance cultural receptivity, a platform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multicultural institutions and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Nonsan City.(Mokwon University)

      • KCI등재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이성순(Sung-Soon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tus and problems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in Korea. So this study analyz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integr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y by comparing with social integration analysis frame of A. Ager and A. Strang. This analysis frame consists of four main areas(foundation, facilitators, social connection, markers and means) with ten sub areas(right and citizenship, language and cultural knowledge, safety and stability, social bridges, social bonds, social links, employment, housing, education, health). Therefore, Korean government should try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to improve social unity through adequate and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assess expenses of social welfare, rights, citizenship for immigrants in Korea and consultation with immigrants about granting Korean citizenship and expand the social security for immigrants. Secondly, social integration program pursued by the Korean ministry of justice, emphasizes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language, Korean society reviews and cultural experiences. However language is not mere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lso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empowerment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paper has discussed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Korea for immigrants and suggested prerequisite conditions in order to provide this program. And it should be included of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in education system or civic system. Thirdly, the Korean government effort in supporting immigrants could be local bridges, local bonds, social links in local society. Moreover, it has to be included in mentoring between Korean people and immigrants in local society and develop volunteers program for immigrants-mentoring resources.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better job-training programs for immigrants employment, improving projec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gram of promotion of health for immigrants in Korea. To make this social integration policy successful, a long-term strategy of the local government is necessary. The citizen shall get in contact with foreigners to facilitate integration. Immigrants should adapt to the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could find that there is an integration program, is no existence of an absolute integration policy of multicultural society. Moreover, we could know that convergence phenomenon is occurr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integration policies. Therefore, further integration discussion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should take complex policies into account appropriate Koreas multicultural situation and background.

      • KCI등재

        다문화 전문 인력 양성 현황과 과제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0

        본 논문의 목적은 법무부가 시행하는 사회통합프로그램1)에서 한국사회 이해 과정을 담당할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양성과정에 대해 진단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법무부의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체계와 교육과정, 전문인력 양성의 한계와 그에 따른 대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 인력의 수요ㆍ공급, 활용연계에 대한 진단이 요청된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강사진 구성에 대한 제고가 요구된다. 셋째,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에 있어 체계적인 양질의 보수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법무부ㆍABT대학ㆍ자치단체ㆍ민간단체 등의 협력체제 구축 및 지역적 특성의 제고 속에서 시민교육 또한 담당할 수 있는 다문화사회전문가로 양성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다문화전문 인력의 활동과 연계된 심화과정으로서의 대학 혹은 대학원 과정에 다문화관련 전공 개설 등의 중장기적 로드맵을 제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다문화관련 전문 학위 과정 신설 및 인증제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rapid increase of migrants in the korean society, professionals of multicultural society are very important workforce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o that immigrants have no difficulty in integrating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By serving migrants as multicultural professionals, new immigrants may easily settle in korea, and the multicultural professionals may contribute to the social integration by understanding their potential participation in the korean society as korean citizens. As a result, the number of professionals and training programs for those professionals are rapidly increasing but the quality of the workforce and programs is not improving as much as it is necessary to fellow up with the increase of migrants.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se multicultural professional’s and program training to provide an effective mecha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force. First, the professional training has to start depending on demand, supply, and employment. Many of professional expert job opportunities right after training, but failed to find one to satisfy their expectations. Second, As a consequence, the programs didn’t provide useful skills and capabilities for them to develop their expertise. For training of good progressional needs enough research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book and teacher. Third, for training of good professional needs supplementary lessons of systematic and fine quality. Fourth, the Ministry of JusticeㆍActive Brain Towerㆍa Local Community maintain a close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nd implement a educational system for citizens in the current multicultural experts education. Fifth, we have to demand a high level of program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counselling skills to fully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finds them remaining at the medium level without further opportunities to upgrade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