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재반응모델에 기초한 직접교수가 수학 학습장애아동,학습부진아동의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새별 ( Sae Byoul Lee ),김광수 ( Kwang Soo Kim ),강옥려 ( Ock Ryeo Kang ),홍성두 ( Sung Doo Ho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본 연구는 중재반응모델에 기초한 3단계의 직접교수 중재가 수학 학습장애아동과 학습부진 아동의 연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3학년 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1단계 일반교수, 2단계 직접교수, 3단계 Touchmath원리를 적용한 직접교수 중재를 실시하였다. 대상아동의 연산능력은 BASA- math검사로 진전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다단계 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단계에서는 38명의 수학 학습부진아동이 선별되었고, 이 중 연구에 동의한 25명이 2단계 직접교수 중재에 참여하였다.2단계에서는 7명이 이중불일치 준거에 의해 선별되었고, 3단계 중재 후 3명(1.27%)이 최종적으로 수학 학습장애아동으로 선별되었다. 직접교수 중재는 수학 학습부진아동들의 연산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 학습장애아동들의 연산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효과적이지는 않았다. 연구결과는 대상으로 선별된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검증하기엔 너무 적은 수라는 점과 중재기간이 짧았다는 점 등의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출현율이 1.27%로 나타났으나, 1단계에서 선별된 38명 중 13명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수치라고 할 수는 없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irect Instruction based on three-tier RTI model on the computational abilities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MLD) and learning difficulties. For these purposes,the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does direct instruction based on three-tier of RTI affects the computational abilities of students with MLD and learning difficulties? and 2) what are the differences does the computational abilities between MLD and learning difficulties? For this purpose, 236 Students in grade 3 from S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March-May 2010; the 3-tier mathematics interventions (i.e., general instruction, direct instruction, direct instruction applied Touchmath principles) were implemented. Students`` compuational abilities were measured by the M-CBM(BASA-math) and analyzed by the Piecewise growth modeling. Results are as follows: Direct Instruc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putational abilities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however,the effects for students with ML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help them (MLD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effectively, they shall be screened early by the RTI model and special education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to them.Lastly, practical implication,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용 작업기억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이새별 ( Lee¸ Sae Byoul ),강옥려 ( Kang¸ Ock Rye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기반의 초등학생용 작업기억 검사를 제작하고 Rasch 측정 모형을 활용하여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하는 S초등학교 학생으로 예비검사 30명, 본 검사 252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Baddeley(2000)의 다중요소모델에 근거하여 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 중앙집행기의 세 하위요소에 따라 총 8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하위요소에 따른 소검사는 음운루프(숫자폭, 역순 숫자폭, 철자폭), 시공간잡기장(매트릭스폭, 역순 매트릭스폭, 화살폭), 중앙집행기(읽기폭, 대칭폭)으로 구조화한 연구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화된 모형에 따라 R 프로그램의 mirt, eRm 패키지를 활용하여 Rasch 분석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적합도 지수 분석에서 3문항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험자×문항분포도 분석에서는 각 문항들이 피험자의 수행 결과와 일관성이 있으며 적절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에서는 7문항이 선별되었다. 넷째, 피험자 분리신뢰도와 분리지수 분석에서는 검사도구가 일관성 있고, 피험자의 수행 차이를 효과적으로 잘 분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음운루프 57문항, 시공간잡기장 54문항, 중앙집행기 33문항으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the computer-based WM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ied the validity based on Rasch measur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30 preliminary prosecutors and 252 main prosecutors. The WM test consisted of eight sub-tests according to three sub-components, based on the multi-factorial model of Baddeley(2000). The collected data were structured into the phonological loop(i.e., digit recall, backward digit recall, and letter recall), the visuo-spatial sketchpad(i.e., matrix, backward matrix, arrow recall), and the central executive(i.e., reading span, symmetry span)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Rasch analysis using the mirt and eRm package of the R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item fit index showed that three items were inappropriate. Second, person-item map analysis shows that each question is consistent with the outcome of the subject's performance and has an appropriate relationship. Third, seven items are selected in the analysis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DIF). Fourth, the analysis of person separation reliability and separation index shows that the inspection tools are consistent and effectively separate the subjects' performance differences. Finally, the phonological loop 57 items, the visuo-spatial sketchpad 54 items, and the central executive 33 items were validat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분석

        이새별(Lee, Sae-Byoul),강옥려(Kang, Ock-Ryeo)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경계선급 지능 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능력의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여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경계선급 지능 아동들을 교육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이새별(2020)이 제작하고 타당화한 작업기억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경계선급 지능 아동(30명)과 일반아동(30명)의 작업기억을 측정하고 비교ㆍ분석한 결과, 첫째, 경계선급 지능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작업기억 수행 능력이 저조하며, 작업기억 폭이 음운루프, 시공간잡기, 중앙집행의 세 하위요소에서 모두 약 2개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작업기억 발달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향상되는 경향을 보이나 연령이 증가해도 집단 간 차이는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작업기억 소검사 수준에서는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소검사 간 상관관계가 일반아동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경계선급 지능을 가장 잘 판별해주는 소검사 변인은 읽기폭, 매트릭스폭, 철자폭으로 나타났다. 넷째, 읽기폭과 대칭폭의 간섭과제 정답률 분석 결과,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언어적 정보처리는 일반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보이고, 시공간적 정보처리는 일반아동과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을 고려하면, 가능한 학령기 초기에 이러한 아동들을 선별 및 진단하여 작업기억 조기 중재를 통해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을 위한 교육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한 번에 제공하는 정보의 양을 잘게 쪼개어 제시하기, 핵심적으로 시각적 자료를 제시하기, 교사의 지시사항은 한 번에 1∼2가지로 쪼개어 확인하면서 단계적으로 제시하기, 연습이 필요한 과제는 여러 번 반복하는 기회주기 등의 권장사항을 반영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be a basic study that prepares a method for educationally supporting children with BIF placed in the blind spot of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WM of children with BIF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results of measur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M of children with BIF(30)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30) using the validated WM test(Lee, 2020)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BIF showed lower WM performanc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e WM span was about 2 less in all three sub-components(i.e., phonological loop, visuo-spatial sketchpad, and central executive). Second, while the WM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BIF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with age, the gap between children with BIF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intained. Third, at the level of WM subtests, the correlations between subtests were different in children with BIF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subtests that best distinguish children with BIF were reading span, matrix, and letter recall.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ct answer rate of children with BIF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reading span and symmetry span interference tasks, the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of children with BIF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ir visuo-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sidering the WM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BIF, there is a need of additional educational efforts to screen and diagnose these children as early as possible and improve their WM through early intervention. In addition, if you are developing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BIF, you should reflec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1) Give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at a time, 2) Teacher’s instructions at a time 1-2, step-by-step, 3 )Key presentation of visuo-spatial information, 4) Tasks that require practice give multiple opportunities to repeat.

      • 초등학생용 작업기억 검사의 타당화

        이새별(Sae Byoul Lee),강옥려(Ock Ryeo Ka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연구목적: 학교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초등학생용 작업기억 검사를 제작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 연구방법: 연구대상-서울에 위치하는 S초등학교 학생 중 예비검사 35명, 본검사 257명, 검사 도구 제작- Baddeley(2000)의 다중요소모델에 근거하여 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 중앙집행기의 세 하위요소에 따라 총 8개의 소검사로 구성->검사도구의 흐름도를 전문가 5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음->S대 컴퓨터공학 전공자에게 의뢰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친숙한 UI, UX바탕의 컴퓨터 검사 프로그램 제작, 제작된 검사 프로그램은 예비 검사를 통해 검사상의 오류를 수정, 최종 수정된 검사도구로 본 검사를 실시.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하위요소에 따른 소검사는 음운루프(숫자폭, 역순 숫자폭, 철자폭), 시공간잡기장(매트릭스폭, 역순 매트리스폭, 화살폭), 중앙집행기(읽기폭, 대칭폭)으로 구조화한 연구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남. 구조화된 모형에 따라 R 프로그램의 mirt, eRm 패키지를 활용하여 Rasch 분석 실시한 결과, 1) 부적합 대상자를 제외한 문항 적합도 지수 분석에서 3문항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남, 2)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에서는 6문항이 선별됨, 3) 피험자x문항분포도 분석에서는 각 문항들이 피험자의 수행 결과와 일관성이 있으며 적절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4) 피험자 분리신뢰도와 분리지수 분석에서는 검사도구가 일관성 있고, 피험자의 수행 차이를 효과적으로 잘 분리하는 것으로 나타남. 결론: 최종적으로 음운루프 57문항, 시공간잡기장 54문항, 중앙집행기 33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됨.

      • KCI등재

        미래 역량으로서의 자기관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비교

        임효진 ( Lim Hyo-jin ),이새별 ( Lee Sae-byoul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미래 역량 중 자기관리 능력에 영향을 주는 학생 및 학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자료는 초등학생 5,690명, 고등학생 5,420명의 설문지 응답 자료로, 연구방법으로는 설명변수가 없는 기초모형부터 모든 변수가 투입된 모형6까지 2수준 위계선형모형(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관리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이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별이나 가정의 문화 향유 정도 같은 배경 변인 외에도, 부모 요인(부모-자녀관계, 상호작용)이 정적인 예측력을 보였다. 또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자존감, 학습관련 전략이나 동기 패턴 등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교 급에 따른 차이로는 초등학생의 경우 진로성숙도가 자기관리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고등학생의 경우 학업성취 수준과 2수준 변수의 일부 역시 자기관리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차이점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self-manage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of the survey administer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5,69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5,420 high school students.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used for analysis from unconditional model with no explanatory variables to research model with all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the pattern of association between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self-man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imilar to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o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family and parental factors (e.g. parent-child relationship, interaction)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predictive power. Self-esteem, which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school levels, and the learning-related strategy and motivation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predict self-management. In terms of th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high school, the level of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on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le the achievement level and some of the level-2 variables were significant only for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작업기억 특성에 관한 고찰

        강옥려 ( Kang Ock Ryeo ),이새별 ( Lee Sae Byou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작업기억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장애영역별 작업기억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43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동향 및 작업기억 검사에 사용된 도구와 장애영역별 작업기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기억 특성 관련 연구는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2011년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해졌으며, 장애영역별 연구현황은 학습장애 10편, 학습부진 10편, 지적장애 4편, 단순언어장애 4편, ADHD 4편, 자폐성장애 3편, 청각장애 5편, 시각장애 3편으로 다른 장애영역에 비해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의 연구가 2배 정도 많은 편이었다. 둘째, 작업기억 하위요소별 검사과제는 명칭과 측정영역이 연구자와 연구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소별 측정과제를 살펴보면 중앙집행기 측정에 숫자폭, 읽기폭 등이 활용되었고, 음운루프 측정에 숫자폭, 비단어 따라 말하기 등이 활용되었으며, 시공간잡기장에는 사각형 매트릭스검사, Mr. Cucumber Test 등이 활용 되었다, 일화버퍼를 측정한 연구는 단 1편이었는데, 사용된 과제는 문장 따라말하기였다. 셋째, 장애영역별로 작업기억의 특성을 종합ㆍ정리해보면, 지적장애와 단순언어장애는 작업기억의 세 하위요소인 중앙집행기, 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고, 학습장애는 중앙집행기와 음운루프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ADHD와 자폐성장애(고기능자폐)는 중앙집행기에서만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청각장애와 시각장애는 각각의 결함과 관련된 영역, 즉 청각장애는 음운루프에서, 반면 시각장애는 시공간잡기장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학습부진의 경우 연구결과가 연구마다 다르게 나온 경우가 있었지만, 전반적인 경향은 일반학생에 비해 작업기억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in each disability area by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working mem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 total of 43 paper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tasks of work memory te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 memory by disability area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memory research became more active in 2011, and the status of research by disability area includes learning disabilities(10), academic underachievement(10), intellectual disabilities(4),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4), ADHD(4), autism spectrum disorders(3), hearing impairment(5) and visual impairment(3). Second, the working memory test tool and measurement area used for each stud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researcher and research purpose. Thir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for each disability area,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ere lower in the central executive, phonological loop, and visuospatial sketchpad than the general students. Learning disability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he central executive and phonological loops compared with general students. ADH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high functioning autism)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general student only in the central executive. Hearing impairment and visual impair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area associated with each defect, i.e., auditory impairment in the phonological loop, while visual impairment was poor in the visuospatial sketchpad. In the case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research results were different, but overall tendency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