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文殊寺〈熾盛光如來降臨圖〉考察

        이동은(Dong-Eun Lee)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0 佛敎美術 Vol.21 No.-

        치성광여래도는 성수 신앙의 결정체로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치성광여래를 主尊으로 하고 있으며 여러 星宿들을 불격화 시켜 도해한 그림이다. 치성광여래도는 도교적 권속과 불교적 권속이 모두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도ㆍ불교 신앙의 양면을 모두 알 수 있다. 조선전기까지는 고려시대의 치성광여래강림도의 도상을 계승하고 있었으나 조선후기에는 이전 시기와는 다른 새로운 도상의 치성광여래강림도가 제작되어 도상이 매우 다양해진다. 그 한 예로 문수사 〈치성광여래강림도〉를 들 수 있는데 이 작품은 여러 星宿들이 雲尾가 말린 구름 위에 서서 마치 강림하는 듯 표현되어 있다. 문수사 〈치성광여래강림도〉는 1855년에 선화와 도성에 의해 제작된 작품으로 화면 내부에 방기가 있어 각 권속의 존명을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1749년에 전라도 지역에서 의겸에 의해 제작된 천은사 〈치성광여래강림도〉와 전체적인 화면구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두 작품은 시기ㆍ지역적으로도 차이가 날 뿐더러 화사간 화연관계도 드러나지 않는다. 아마도 문수사 작품을 그린 화사는 천은사 작품을 본 적이 있거나 그 도상에 대한 인식이 있어 천은사 을 모본으로 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문수사 작품은 천은사 작품을 모본으로 하여 제작되긴 하였으나 도교적인 권속을 새롭게 등장시키고 도교적 권속의 존명을 보다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문수사 작품이 제작된 1855년에는 도교가 사회적으로 상당히 흡수되어 있었고 이에 따라 선화와 도성은 그 사회상을 받아들여 문수사 작품을 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더불어 협시보살의 보관에 원상을 표현하고 있는데 이 또한 치성광여래의 협시보살이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라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다. 문수사 작품은 권속과 구름을 제외한 바탕 전체에 금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의습선과 대의의 문양은 백분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독특하며 각 안료의 색이 씌여 있어 초본에서만 볼 수 있었던 특징이 나타나고 있는점 또한 흥미롭다. 이와 같이 문수사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몇 안되는 강림도 형식의 작품으로 천은사 〈치성광여래강림도〉의 도상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화사의 의지에 의하여 약간의 변용이 가미되어 제작된 작품이다. 또한 19세기의 사회상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사회ㆍ사상적인 배경도 알 수 있어 흥미가 느껴지는 작품 가운데 하나로 주목할 만하다. The painting of flaming light Buddha, which is based on the flaming light Buddha from the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is the fruit of the belief about the constellation. In addition, this is the painting illustrated the constellation of Buddhism, and can be shown both Taoist and Buddhist beliefs because this has the Taoist and Buddhist dependents. Until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icons of the painting were inherited by ones of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the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Goryeo Dynasty. But, these have changed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 new paintings were painted. As a result, the icons could become more various. For example, there is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This is described like that many constellations stand and descend upon the clouds rolled up their tails.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was painted by Sunhwa(善和) and Dosung(道成) in 1855. This has the meaningful and important painting, because this has the letters which is shown the names of the each dependents inside painting. Moreover, this composition of the frame is the same with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Chuneun(泉隱寺).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ch as the times, the locals and so on. futhermore they don't have any relations of the panters. Therefore, the painter, painted the one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might see or be based on the other in the Buddist temple of Chuneun(泉隱寺), because he had the recollection about the painting. Although the paint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was based on the other in the Buddist temple of Chuneun(泉隱寺), this is changed the names of the Taoist dependents to the new ones and shown more detail them. Because Taoism was widely spreading in that time, painted in 1855. Therefore, it can be guessed that Sunwha(善和) and Dosung(道成) painted this as the sociality of that time. In addition, the coronets of the Bodhisattva have circles. This is caused that the Bodhisattva of flaming light Buddha are the Sūrya-prabha(日光菩薩) and the Candra-prabha(月光菩薩). The painting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used the gold leaf on the total background without dependents and clouds. But, this is the unique, because the lines of clothes and the clothes shapes of Bodhisattva are the whites. Futhermore, this is interesting in writing the letters about the each colors and painted the each suitable colors. For such reasons,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has the form of avent(Gangrim-Do, 降臨圖) and is only a few things painted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is was accepted the many thing's of the other in the Buddist temple of Chuneun(泉隱寺). Futhermore, this based on the other is altered by the painters. In addition, this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because this has the sociality of 19th century and can be shown the soci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at that time.

      • KCI등재

        『칼릴라와 딤나』와 아흐마드 샤우끼의 우화시 비교 연구

        이동은 ( Dong Eun Lee ) 한국이슬람학회 2012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22 No.1

        This i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alilah wa Dimnah』and the fable poems of Ahmad Shawqi.『Kalilah wa Dimnah』is the Arabic animal fable which has appeared in the 750`s by Ibn al-Muqaffa` and Ahmad Shawqi has composed the fable poem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eing influenced by 『Kalilah wa Dimnah』and the French animal fable of La Fontaine that was composed being deeply influenced by 『Kalilah wa Dimnah』. This study compares the subjects and the roles of animal character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between the two work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Ahmad Shawqi`s 12 poems which are influenced directly by 『Kalilah wa Dimnah』. In the aspect of subjects, the two works are common to harmonize the moral teachings in the surface level and the political satire in the deep level. And in the aspect of roles of animal character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Kalilah wa Dimnah』shows the divers symbolic meanings of animals without relation to their natural characters except lions, wolves, donkeys. On the hand the fable poems of Ahmad Shawqi show the unchangeable and constant symbolic meaning of the animal with relation to their natural characters except the cocks. This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rench animal fable of La Fontaine. The common peculiarity between the two works which have time difference of 1200 years in the aspect of the subjects proves the perpetual tradition of Arabic animal fable as a satire literature.

      • 바이오 애드 혹 네트워크를 이용한 재난 조기 경보시스템 설계 및 분석

        이동은(Dong Eun Lee),이구연(Goo Ye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A

        인프라가 필요 없는 특성을 갖고 있어 임시 구성용 네트워크나 군사용 망에서 많이 개발되어온 애드 혹네트워크는 산악과 같은 고립된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과 같은 재난의 조기 경보 시스템에 이용한다면 효과적이다. 그러나 넓은 산악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애드 혹 노드들을 설치 운영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인포스테이션은 전송지연에 민감하지 않는 정보들을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동물들에 애드 혹 노드들을 탑재한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와 인포스테이션을 결합하여 화재와 같은 재난에 조기 대처할 수 있는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동물들의 이동성이 노드들간의 연결성을 향상시키므로서, 합리적인 수의 동물 노드로서 원하는 조기 경보의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우리는 또한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수식으로 분석하여 이를 시뮬레이션과 비교해 보았고, 실제 시스템 구축시 필요한 비용을 분석해 보았다. 이는 시스템 구축 시 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공할 것이다. 이 제안된 시스템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면 산악지역에서의 화재등의 재난에 조기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상미디어의 게임문화 재매개 양상 연구

        이동은(Dong-Eun Lee)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일방향적이고 관람 위주의 콘텐츠를 지향하고 있는 영화와 드라마 등의 영상미디어가 뉴미디어인 게임의 속성을 어떻게 재매개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게임성이 발현되는 양상을 살펴 게임과 영상미디어의 영향 관계 및 융합 양상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상미디어의 게임문화 융합 양상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는 게임의 콘텐츠적인 측면을 소극적으로 융합하는 양상이며, 두 번째는 게임의 시스템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융합하는 양상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게임이 다양한 영상미디어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힘과 동시에 게임 미디어가 대중 문화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미디어로 기능하고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 강조되는 온택트 패러다임을 이끌어가는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기초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video media such as movies and dramas, which aim for one-way and viewing-oriented content, remediates the attributes of games, and to study the influence and convergence of games and video media. There were two main types of game culture convergence patterns of video media. The first is the passive fusion of the content aspect of the game, and the second is the active fusion of the system aspect of the game. Such research is significant as a basic study that reveals that games affect various video media and proves that game media can function as a representative media leading popular culture.

      • KCI등재

        「천일야화」의 신이담 연구

        이동은(Lee Dong-Eun) 한국중동학회 2007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28 No.1

          Alf Lailah wa Lailah is the book of folk tales of Middle Eastern countries and it implies huge volume of various kinds of stories. A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stories of the book,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of scholars. This study classifies the book as Animal tales, Ordinary tales, Miracle tales, Instructive tales, Jokes tales and Anecdotes. And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Miracle tales which may be named as fairy tales or wonder tales.<BR>  This study analyzes the Miracle tales as three points. The first point is the survey of the kinds and roles of supernatural beings like Jinn, Ifr t, M rid, Gh l, Ibl s. And it finds that these supernatural beings play various roles but similar roles at the same time in the stories. They are divided into the good ones and the evil ones, muslim and non muslim and they may help human beings or do harm to them. They show supernatural powers when they perform miracles, but except those cases they talk and conduct like ordinary human beings, so they often become the heroes of the stories. And they are considered as some parts of ordinary human life rather than the fantastic and mysterious beings.<BR>  The second point is the survey of various aspects of magic and its functions. As for the motifs of magic, the transform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takes large part of it. And the processes of transformation are usually monotonous and fixed. And the most general means of the magic are magic words, and the instruments of the magic contains water, soil, sand, talisman, aromatic essence, drum, gold sticks or brass sticks, whistles.<BR>  The third point is the survey of hero"s adventure to surreal worlds. The heroes travel to the surreal world in order to find his family or unknown lover or in order to visit his friend. Usually the heroes meet the happy ending after his adventure. As for the kinds of surreal worlds, most of them are worlds of supernatural beings, and the sea worlds follow them. The worlds of supernatural beings are usually very far but the heroes can reach it very fast due to riding on Ifrit, horses, camels.<BR>  In the Miracle tales of Alf Lailah wa Lailah the activities of supernatural beings and the roles of magic and the trips to surreal worlds are regarded as some parts of ordinary human life. But these tales never lose mysterious and fantastic fascinations.

      • KCI등재

        아바타 기획을 위한 디지털 공간의 페르소나

        이동은(Lee, Dong-Eun) 한국게임학회 2009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9 No.4

        컴퓨터 기술 발전과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교합으로 발생한 디지털 공간은 더 이상 놀이의 공간이 아닌 새로운 가치 창조의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디지털 공간을 유희성이 두드러지는 디지털 게임의 공간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가상세계 공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공간에서 활동의 주체가 생성과 운용, 그리고 소멸시점에 따라 어떻게 페르소나를 형성하고 유지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 공간의 아바타를 기획하는데 지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The Digital Space that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with the imagination of utopia is entering upon the new phase no more playground than the space of cre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sona of digital space included the digital game and the virtual world. This paper compared with the persona formation processes -creation, activity, death phase- and interprete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digital game and virtual world. This is a valuable study for avatar design in digital game and virtual world.

      • KCI등재

        여성, 몸, 테크놀로지의 관계 짓기

        이동후(Dong-Hoo Lee),김수정(Su-Jeong Kim),이희은(Hee-E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이 연구는 젠더연구에서 몸과 테크놀로지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여성’이라는 범주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여성되기’의 진행적인 과정임을 제시한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젠더 정체성은 여성과 테크놀로지의 관계를 재설정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관계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몸’의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먼저 페미니즘 연구와 젠더 연구 전반에서 몸에 대한 담론이 진행되어온 과정과 의미를 탐색했다. 이어서 몸과 젠더의 관계에서 테크놀로지가 갖는 위치를 살펴보고, 몸이 젠더 정체성을 주체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정체성이 구성되기도 하는 담론의 장이자 물질적 장소임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는 몸과 젠더와 테크놀로지의 삼자관계에 집중한 사이버페미니즘의 논의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여성되기’에서 테크놀로지가 갖는 역할과 의미를 재고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결국 여성되기에 있어서 테크놀로지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는 일은, 일상의 경험 세계에서 몸이 지니는 담론적이고 실천적인 의미에 대한 숙고를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했다. ‘여성되기’의 가능성은, 몸-젠더-테크놀로지의 접합방식과 과정에 대한 탐구를 통해 젠더의 (재)구성을 살펴볼 때만 상상될 수 있을 것이다.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technology in gender studies, this paper argues that ‘being women’ as an analytical concept is not fixed but progressing, that is, ‘becoming women.’ In the age of neo-liberalism, gender and identity politics raised critical questions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women and technology. Understanding these dynamic relations asks us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body.’ Thus,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the discourses of body in feminism and gender studies. Then, it continues to the meaning of technology in body and gender relations, arguing that body is the discursive and material site where gender identity and being are simultaneously constructed. An introduction of cyberfeminism, which focuses on the triangular relations among body, gender, and technology follows,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technology in ‘becoming women.’ Finally, it is argued that finding the meanings of technology in becoming women requires reconsidering the discursive and performative construction of body. ‘Becoming women’ can be achieved through exploration of the articulations and processes of body, gender and technology, which allows us to figure out the (re)construction of gender ident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