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상위 리더와의 관계가 팀 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기현(Kihyun Lee),신인용(Inyong Shin),오홍석(Hongseok Oh)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2

        Team members obtain valuable resources through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They simultaneously engage in multiple social relationships both within and outside the team. The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as a social relationship outside the team can be a crucial conduit for resources. A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team leader’s leader) can influence team members’ performance because senior leaders have positional resources and power to control team leaders. In spite of thi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on team members’ performance. To date, previous research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eam leaders or coworkers. Given that team members engage in boundary-spanning behavior, increase influence through affiliation with high status actors, and are members of a senior leader, researchers need to consider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a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s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social antecedents of team members’ performance. In the current study, we seek to understand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a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s and to examine if it is related to team members’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 the level of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a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s predict team members’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the social relationships with a team leader and coworkers. Team members with strong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receive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which, in turn, enhance their task performance. Such members also engage in contextual performance to reciprocate the favor of the senior leader and to gauge their team leaders’ general receptiveness to social power. H1: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 is positively related to team members’ task performance. H2: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 is positively related to team members’ contextual performance. Furthermore, We explore how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eam such as the social relationships with a team leader and coworkers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s’ performance. Team member who have high quality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may be high in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because they are more likely to enjoy internal resources and social supports from and to reciprocate favorable treatment by team leaders and coworkers. H3: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team leader will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s’ task performance. H4: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team leader will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s’ contextual performance. H5: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coworkers will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s’ task performance. H6: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coworkers will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and team members’ contextual performance. Data for testing the hypotheses were collected from 668 employees including 36 department leaders and 89 team leaders in four design companies in South Korea. We provided the list of all employees in the company and asked the strength of relationship to each employee. Results revealed that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is positively related both to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team lea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a senior leader and both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조직 내에서 팀 구성원이 맺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는 팀 내부와 팀 외부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팀 내부의 사회적 관계에 중점을 두어 온 반면, 팀 외부의 사회적 관계가 팀 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차상위 리더와의 사회적 관계가 팀 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업무성과와 맥락적 성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팀 구성원이 팀 내에서도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팀 리더와 팀 동료들과의 사회적 관계가 팀 외부의 사회적 관계인 차상위 리더와의 관계와 어떠한 상호작용효과를 갖는지도 함께 검증하였다. 국내 4개 기업의 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차상위 리더와의 사회적 관계는 팀 구성원의 업무성과와 맥락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상위 리더와의 사회적 관계와 팀 내부 에서의 사회적 관계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팀 리더와의 사회적 관계는 차상위 리더와의 관계가 팀 구성원의 업무성과와 맥락적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 동료와의 사회적 관계는 차상위 리더와의 사회적 관계와 맥락적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상위 리더와의 사회적 관계와 팀 구성원의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 모형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차상위 리더와 팀 리더 간 사회적 관계의 선행요인

        이기현(Lee, Kihyun),신인용(Shin, Inyong),오홍석(Oh, Hongseo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3

        차상위 리더와 팀 리더 간의 사회적 관계가 팀의 성과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차상위 리더와 팀 리더 간 사회적 관계의 선행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성(similarity) 관점과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 관점을 중심으로 차상위 리더와 팀 리더 간 사회적 관계의 선행요인을 이론화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유사성 관점은 양자 간의 관계적 특성을 반영하고,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은 사회적 구조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차상위 리더와 팀 리더 간 사회적 관계의 선행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적합한 접근을 제공한다. 국내의 설계디자인 기업 4곳에서 근무하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 유사성, 근무기간 유사성, 팀 리더의 팀 내부 네트워크 중심성, 그리고 팀 리더의 리더 네트워크 중심성은 차상위 리더와 팀 리더 간의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했던 양자 간의 유사성과 사회적 구조의 특성을 중심으로 차상위 리더와 팀 리더 간 사회적 관계의 선행요인을 규명하였으며, 다양한 선행변수들을 고려함으로써 차상위 리더와 팀 리더 간의 사회적 관계가 발전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하였다. 가설의 논거와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한계,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lthough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upper leaders and team leaders have been linked to a number of positive team outcomes, research regarding the antecedents of such relationship is limited. Based on similarity and social network perspectives, we theorized and investigated six relevant antecedents to shaping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upper leaders and team leaders: age similarity, education level similarity, tenure similarity, intra-team network centrality, leader network centrality, intra-team network density. Data were gathered from four design organizations. Results revealed that education level similarity, tenure similarity, intra-team network centrality, and leader network central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upper leaders and team leaders. The current study advanced extant research on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upper leaders and team leaders by examining the various antecedents of such the relationships, based on similarity between upper leaders and team leaders, and social structure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social relationships, and by expla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upper leaders and team leader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팀 내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 특성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기현(Kihyun Lee),오홍석(Hongseok Oh),정명호(Myung-Ho Ch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1

        리더신뢰는 현대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자신들에게 부여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리더가 제시하는 성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지금까지 리더신뢰에 대한 연구는 리더와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관계, 그리고 팀과 조직의 공식적 맥락에 초점을 둔 반면, 사회구조적 요인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신뢰는 신뢰주체(trustor)에게 신뢰대상(truste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에는 신뢰주체-신뢰대상 간 양자관계뿐 아니라 제3자와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들이 배태되어 있는 사회적 구조까지도 포함한다. 즉 신뢰는 본질적으로 사회적 현상이므로 사회적 구조를 통해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 그리고 팀 리더와 구성원들이 함께 배태되어 있는 사회적 구조를 반영하는 리더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팀 네트워크 밀도를 다수준(multi-level)적 관점에서 함께 고려함으로써 리더신뢰가 형성되는 과정을 이론화하고 검증하였다. 4개의 국내 설계디자인 회사에 소속된 651명(팀장 96명, 팀원 555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위계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통해 분석한 결과,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 리더의 네트워크 중심성, 팀 네트워크 밀도는 모두 리더신뢰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강조 되었던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뿐 아니라 사회적 구조도 리더신뢰의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던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이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하는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rust in leadership is important because it makes followers willing to accept the leader’s goals, activities and decisions and then work hard to achieve them. Previous studies on the antecedents of trust in leader have primarily focused on a set of individual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between a leader and his or her followers, but have rarely considered team-level social contexts. Trust in leader is inherently social in that team-level social contextual variables provide more direct environments within which a leader and followers are embedded. Thus, we adopt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to theorize on and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ontexts on trust in lead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characteristics on trust in leaders, we take a close look at leaders’ network positions and the team network dens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a follower. A field study involving 555 followers and 96 team leaders representing four Korean companies provided the evidence that social relationship and network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rust in leader. As hypothesized,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a follower, the leader’s network centrality, and the team network dens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rust in the leader.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윤리풍토가 구성원의 사기에 미치는 영향

        이기현(Kihyun Lee)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8 한국군사학논집 Vol.74 No.3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ethical context as a predictor of morale, few studies have explored mechanisms through which ethical context relates to morale.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main effect of ethical climate on morale and the moderation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and moral ident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and morale. A field study involving 236 petty officers from Korean Navy provided the evidence that ethical context is related to morale. As hypothesized, ethical climate significantly increased moral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thical leadership and moral identity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and morale.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성균차이나브리프』를 통해 본 한국의 중국연구 동향

        이기현 ( Lee Kihyun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4 중국사회과학논총 Vol.6 No.1

        본 논문은 한국 내 중국연구의 현실을 좀 더 객관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연구에 집중해 온 『성균차이나 브리프』 서지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적 분류 유형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을 하였고,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시각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중국연구는 상대적으로 외교경제 분야에 집중되어 왔고, 세부 주제도 미중 경쟁 하 중국과 한반도 관계, 중국 경제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았다. 즉, 중국 자체에 대한 학술적 관심보다 정책지향적이고, 한반도 중심의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정책적 관심이 다소 떨어지는 동아시아 지역협력, 중국과 기타 지역 관계, 양안 이슈가 꾸준히 조망되었다는 것은 고무적이었다. 특히 중국식 민주, 정부 거버넌스 등 중국의 정치개혁 및 정치담론 이슈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다루어 졌는데, 이는 중국인 정치학자들이 『성균차이나브리프』를 논문 발표의 플랫폼으로 활용한 결과로 평가할 수 있다. 아쉽게도 이러한 연구들은 아직까지 국내 중국연구에서 소수 그룹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데 향후 연구의 다양성을 추구해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 이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정책분야 역시도 단기 현안보다는 역사적 흐름을 반영한 장기 분석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Chinese studies in Korea with more objective data. For this purpose, the bibliographic database of 『Sungkyun China Brief』, which focuses on Chinese studies, was us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according to basic classification types, and visualization was conducted through text m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omestic Chinese studies have been relatively focused on diplomatic/economic fields, and the subjects have been characterized by high policy interest in China’s relations with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hinese economy under US-China competition, i.e., they are more policy-oriented and Korean Peninsula-centered than academic interest in China itself. However, it was encouraging to see that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China's relations with other regions, and cross-strait issues, which receive less policy attention, were consistently examined. In particular, issues of political reform and political discourse in China, such as Chinese-style democracy and governmental governance, were covered in relatively large number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Chinese political scientists used the Sungkyunk China Brief as a platform to publish their papers. Unfortunately, these studies still remain a minority in domestic Chinese studies. This is why it is important to pursue diversity in future research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China. Even in the field of policy, which is already well researched, there is a need for long-term analysis that reflects historical trends rather than short-term issues.

      • KCI등재

        프로젝트 팀의 네트워크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기현(Kihyun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4

        프로젝트 팀은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배경과 특성을 가진 개인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팀 내부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응집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응집성은 집단사고와 팀에 대한 강한 동일시를 유발하여 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프로젝트 팀에 대한 연구는 응집성의 긍정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관성 관점을 통해 팀의 응집성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역동적인 과정을 이론화하고 실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전반에 형성된 팀 내부 네트워크 밀도가 후반의 팀내부 네트워크 밀도와 팀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서의 팀 네트워크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 특성들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44개 팀에 대한 실험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전반의 팀내부 네트워크 밀도는 후반의 팀 네트워크 밀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팀 네트워크 중심성에 대해서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젝트 후반의팀 네트워크 중심성은 팀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후반의 팀 내부 네트워크 밀도는 팀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팀 네트워크 중심성과 팀 성과 간의 정(+)적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팀의 응집성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역동적인 과정과 프로젝트 전반의 네트워크 구조가 후반의 네트워크 구조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이론화하고 실증함으로써 프로젝트 팀 연구와 사회적 네트워크 관성 연구에 이론적으로 기여한다. 이러한 이론적 의의와 함께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roject teams consist of a mixture of members with different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backgrounds, abilities, and expertise; managing team conflict and improving cooperation among project team members are therefore particularly important. This issue has led researchers to consider team cohesion as a prerequisite for project team performance. Although the negative effects of cohesion, such as groupthink and strong team identity, have received increasing research attention, we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process through which cohesion influences project team performance. This study addressed this research gap by adopting a social network inertia perspective. I conducted an experimental simulation of 44 teams with 211 individuals, in which I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ast team network density and present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eam performance. Results revealed that past team network dens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current team network density, but negatively related to current team network centrality. I also found that current team network centra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ject team performance, and current team network density strengthened this relationship.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on project team and social network inertia as well as practical insight on important factors that shape team network structures and project team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의 불만족 증대와 국제질서에 대한 도전 : 세력전이이론에 대한 재탐색

        이기현 ( Kihyun Lee ) 한국세계지역학회 202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8 No.4

        본 연구는 중국이 미국이 주도하는 현 국제질서에 과연 도전을 할 것인가? 라는 고전적 질문에 대한 해석이다. 동시에 기존 세력전이 관련 경험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전국의 불만족 변수에 대한 새로운 탐색을 시도하였다. 우선, 미국 주도 군사질서에 대항하여 군사비용 등 중국의 종합군사력이 증대되고 있다. 둘째, 중국의 권위주의 레짐과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은 서구의 민주주의 체제와 본질적으로 이질적이다. 셋째, 중국은 사실상 미국을 적으로 상정하는 중국식 동맹을 확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은 새로운 규범과 제도를 창조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모두 중국이 현 국제질서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력전이이론이 확률적 가정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서, 결국 현 질서에 불만족스러운 중국의 부상은 평화롭기보다는 공세적일 확률이 높고, 이 과정에서 충돌과 균열 심지어 세력전이 전쟁의 가능성까지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comprehensively answer the classic question, whether China will challenge the current US-led order.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mpirical research in the Power Transition Theory and discover new dissatisfaction variables. First, China is increasing its comprehensive military capabilities, including defense budgets against the US-led military order. Second, Chinese authoritarian regimes and democracy are inevitably be alienated from the Western democratic system. Third, China is expanding the Chinese- styled alliance system that is likely to regard the US as an enemy. Lastly, China is even creating its new norms and architecture. These phenomena imply that China is dissatisfied with the current order. Given that Power Transition Theory has a probabilistic assumption, the rise of China, unhappy with the current order after all, is more likely to be offensive than peaceful, and clashes and cracks in the process, even the possibility of a power war, cannot be ruled ou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차별화가 구성원의 윤리적 리더십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적 접근 : 교환관계 수준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

        이기현(Kihyun Lee) 한국산업경영학회 2016 경영연구 Vol.31 No.2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을 밝히기 위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리더의 행동 측면에 중점을 두는 반면, 구성원들의 인식 측면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윤리적 리더십 인식에 대한 양자관계 수준 LMX와 LMX 차별화의 주효과와 함께 상호작용효과를 이론화하고 실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해군 부사관들과 그들의 리더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LMX 수준이 높을수록 구성원들 의 윤리적 리더십 인식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LMX 차별화 수준이 높을수록 구성원들의 윤리적 리더십 인식 정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MX 차별화는 LMX와 윤리적 리더십 인식 간의 정(+)적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 인식과 관련하여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리더-구성원 간 상호작용 특성을 반영하는 LMX와 LMX 차별화 를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 연구와 LMX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 그리고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thical leadership, researchers have tried to identify its antecedents. However, research on the antecedent of ethical leadership has mainly focused on the leader behavior, but paid only little attention to the follower perception. In this study, I theorized and examined both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LMX and LMX differentiation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Navy. The results indicated that LMX significantly increased member’s perception of ethical leadership, and LMX differenti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ir perception of ethical leadership. I also found that LMX differentiation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member’s perception of ethical leadership. This study contributes to both ethical leadership and LMX literatures by considering LMX and LMX differentiation as interactional antecedents of ethical leadership. This is the first study examining these relationship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