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의 시원과 이성의 근원 -셸링의 Weltalter(1814,15)에 관한 연구-

        이광모 ( Kwang Mo Lee ) 한국칸트학회 2012 칸트연구 Vol.29 No.-

        ``Weltalter``, which Schelling read in 1814/15 in Munich, attempts to show nothing less than how it is that we come to say that thing are what they are: why does being not remain in a state of inarticulacy or simply consist in endless chains ot meaningless difference? Without some kind of articulation there is just One, and this cannot be said. The issue is getting from this to something else that exists as someth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ne, but cannot be without it. It is finally said that ``Weltalter`` dealing with emergence of being by creation, aims at the genetic explanation for the origin of rational meanings. This paper tries to show the meaning and limits of ``Weltalter`` which elucidates the origin of beings and rational meanings in relation with world-creation.

      • KCI등재

        부정성, 예술직관 그리고 전회 -헤겔, 셸링 그리고 하이데거의 철학의 근거 지움에 대한 고찰-

        이광모 ( Kwang Mo Lee ) 한국헤겔학회 2015 헤겔연구 Vol.0 No.38

        본 논문은 독일관념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이 < 정신현상학 >의 헤겔과 <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 >의 셸링에게 있어 얼마나 타당한지를 고찰한다. 이때 던져질 수 있는 물음은 왜 헤겔과 셸링 철학에 대한 평가를 굳이 하이데거의 잣대에 의존해서 전개하려는가 하는 점이다. 본 논문이 하이데거의 평가를 잣대로 해서 헤겔과 셸링철학을 논의하려는 이유는 하이데거가 제기하는 문제가 단순히 그 자신의 철학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이 다루어야 할 근본적인 문제로부터 주어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하이데거가 제기하는 비판의 관점으로부터 헤겔과 셸링 철학을 검토하고 나아가 하이데거 자신의 철학과 비교하는 일은 단순히 독일관념론의 문제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철학 자체의 근본적인 문제를 성찰하는 것이 된다. 이때 이러한 논의를 가능케 하는 철학의 근본적인 문제란 다름 아닌 진리를 추구하는 학문으로서 철학은 그 자체 근거 지워져야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철학이 그것으로부터 근거 지워질 수 있는 진리의 근거가 무엇인지가 결정적이 된다. 헤겔과 셸링 그리고 하이데거가 진리의 근거로 생각하는 것은 서로 다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면에서 일치한다. 따라서 하이데거가 어떤 이유로 헤겔과 셸링의 철학을 비판하는지 그리고 그 비판은 타당한 것인지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이 생각하는 진리의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부터 시작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그 근거로부터 어떻게 철학을 근거 지우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해야 한다. 특히 이때 우리의 시선을 끄는 것은 진리의 근거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해는 헤겔로부터 구분되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셸링의 이해와 일치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일치점이 무엇인지를 제시함으로써 <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 >의 셸링을 포함해서 독일관념론 전체를 주체성의 형이상학이라고 비판하는 하이데거의 주장이 어떤 점에서 타당한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core of the thinking of Being in Heidegger`s philosophy - unfolded under the title of “getting over metaphysics” - is understood as an attempt to ground philosophy as “representational thinking of beings” in the “keeping in mind Being itself”.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can be said that Heidegger`s attempt to ground philosophy concurs with that of Hegel and Schelling in proposing that the grounding of philosophy explains the “necessity and essence” of philosophy from the “original essence of truth.” This introduces the question of what is the “original essence of truth”. Based on discussions unfolded in Heidegger`s On the Essence of Truth,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and Schelling`s System of Transcendental Idealism, this paper intends, first, to reveal their original essence of truth, and how philosophy attains its “necessity and essence” from the “original essence of truth.” However, what is problematic here is that although they all agree with the way to ground philosophy in a broader view, they differ from each other and are even critical of one another in detail. These situations are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essence of truth. And these differences make Heidegger criticize Hegel`s and Schelling`s philosophy as the “metaphysics of subjectivity”. Thus, our attempts to explain the difference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essence of truth are not only to consider their philosophy comparatively but also to examine the validity of Heidegger`s critique on Hegel`s and Schelling`s philosophy. So, this paper intends, second, to uncov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essence of truth. Especially arresting is the similarity between Heidegger`s and Schelling`s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essence of truth and their difference from Hegel`s understanding. Thu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lastly intends to show whether Heidegger`s critique of German Idealism including Schelling as metaphysics of subjectivity is valid and, if so, to what extent.

      • 조선시대 흡연문화의 형성과정 연구

        이광모(Lee Kwang-Mo) 강원행정학회 2013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흡연문화의 형성과정에서 국가의 행정권은 어떤 기여를 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 16c말 처음 우리나라에 도입된 담배는 17c 중반까지 일반대중에게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는 담배에 관한 잘못된 상식과 믿음이 크게 작용하였으며, 국가는 경제적, 정치적 이유로 담배문제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다. 조선기의 금연정책은 국가가 주도하였지만, 국가 공권력은 매우 미약한 상태였으므로 소극적 금연정책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조선의 엄격한 신분제 구조 하에서 흡연행위는 점차 신분상의 권위와 과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변화하면서 일반서민들은 양반 앞에서 함부로 흡연할 수 없도록 엄격히 통제되었다. 이처럼 조선기의 흡연문화는 양반들의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방편으로 형성되어 갔고, 이러한 과정에서 흡연문화를 주도하게 된 양반들은 이러한 규범을 일반백성에게로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흡연규범은 보다 더 구체화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흡연인구의 증가로 제례에서 조차 흡연이 국가권력에 의해 인정되기에 이른다. 한편, 국가권력은 양반사회의 흡연행위 자체를 문제 삼으며,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통제하고자 했다. 그러나 신분제질서의 동요 속에서 국가권력의 양반사회에 대한 적극 개입은 오히려 서민의 일상생활로 확대되어 차별이 더욱 엄격한 흡연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결국 현재 우리의 흡연문화는 국가권력의 개입과 깊이 관련되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role of the nation"s administrational power in the formation process of smoking culture. Due to the general public"s misunderstandings and false believes, tobacco had been widely spreaded by 17c, since first introduced in late 16c. The government power in Chosun Dynasty was so weak at that time that its policy on smoking was passive. But smoking had changed to show the social power and authorities, so that working class were not allowed to smoke in face of the upper class. Eventually, smoking culture in Chosun Dynasty was formed to maintain the social orders for the noble class. In late 18C, since the number of smokers had increased, even smoking in ancestral ritual was allowed by the state power. Meanwhile, the state tried to directly control the smoking of the gentry, but it went beyond to the working class. State controled smoking of the general public more than the upper class. Finally, we could find out that smoking culture in Chosun Dynasty was closely concerned with the policy of the state power.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논증과 합리성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에 대한 고찰-

        이광모 ( Kwang Mo Lee )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29

        본 논문은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을 고찰한다. 논증이란 하버마스에 따르면 첫째, 언어적 행위의 합리성에 대한 심급이다. 따라서 다양한 합리적 언어사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되는 다양한 논증유형이 있어야 한다. 둘째, 논증유형은 일상 언어에 대한 형식 화용론적 재구성을 통해 도출된다. 이러한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은 일상 언어에 대한 재구성을 통해 획득되는 한에서 수사학적 지평을 수용하는 것이며 동시에 형식 화용론적으로 도출되는 한에서 보편적 타당성을 잃지 않는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Habermas`s theory of argumentation. According to Habermas, first, argumentation i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rational linguistic action. In oder to explain diverse use of language, there must be the types of argumentation corresponding to that diversity. Second, the types of argumentation are resulted from the formal-pragmatical reconstruction of ordinary language. Habermas`s theory of argumentation accepts the rhetorical needs insofar as it is resulted from the reconstruction of ordinary language, and keeps the universal validity insofar as the types of argumentation are formulated by formal pragmatics.

      • KCI등재

        헤겔과 브래들리

        이광모 ( Kwang-mo Lee ) 한국헤겔학회 2020 헤겔연구 Vol.0 No.48

        본 논문은 브래들리와 헤겔 철학의 차이를 서술한다. 영국 관념론을 대표하는 브래들리의 철학은 초기 분석철학자들에 의해 헤겔 철학의 아류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브래들리 스스로 헤겔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하듯이 두 철학 간의 차이가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브래들리의 철학에 대한 비판은 곧 헤겔 철학에 대한 비판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두 철학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은 곧 영 미 권에서 오랫동안 왜곡되어왔던 헤겔 철학에 대한 이해를 교정하는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당시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던 헤겔 철학 내지는 관념론의 원리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본 후, 브래들리가 이와는 구분되는 자신의 철학을 어떻게 전개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전개는 왜 헤겔 철학의 왜곡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서술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Bradley’s and Hegel’s philosophy. Bradley's philosophy, representing 19th century British idealism, was regarded as a subclass of Hegelian philosophy by early analytic philosophers such as Moore and Russell. However, despite the obvious difference between the two philosophies as Bradley himself says he is not a Hegelian, the critique of Bradley's philosophy was directly understood as a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Thus, revea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hilosophies is a starting point for a work to correct the understanding of Hegelian philosophy which has been distorted for a long time in the Anglo-Saxon philosophy. For this work, this paper first examines what was the principle of Hegelian philosophy or idealism that was generally accepted at that time, and then how Bradley unfolds his philosophy that is different from Hegelian philosophy, and lastly how such development originate from the distortion of Hegelian philosophy.

      • KCI등재
      • KCI등재

        ‘이념의 자연으로의 외화’를 통해 고찰한 자연철학의 의미

        이광모 ( Lee Kwang-mo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9

        본 논문은 헤겔의 자연철학이 그의 ‘철학적 학문체계’ 내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논리학’과의 연관 속에서 고찰한다. 이 고찰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것은 ‘논리학’ 끝에서 서술되는 ‘이념의 자연으로의 외화’가 어떻게 이해되는가이다. 왜냐하면 헤겔에게 있어 자연이란 ‘외화된 이념’이므로 이 ‘외화’가 어떻게 해석되는가에 따라 그 이념을 고찰하는 자연철학 자체의 의미 및 ‘논리학’과의 관계 그리고 ‘체계’ 내에서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논리학’과의 연관 속에서 자연철학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려는 본 논문은 먼저 ‘이념의 자연으로의 외화’에 대한 주요한 해석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해석이 갖는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물론 이때 ‘이념의 자연으로의 외화’에 대한 기존의 해석의 문제점이 밝혀진다고 해서 곧 바로 그것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것에 대한 올바른 해석은 다시 ‘논리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본 논문은 ‘논리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무엇인지를 간략히 제시하면서 그러한 이해가 받아들여질 때, 이념의 외화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 그것을 토대로 ‘논리학’에 대한 자연철학의 관계와 ‘체계’ 내에서의 그 의미를 제시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meaning of Hegel's Philosophy of Nature within his "Philosophical Sciences' System" and its role in the relation to the Science of Logics. For this consideration, the understanding of 'Transition of Idea to Nature' which happens at the end of Science of Logics is greatly significant, because the way of interpretation on its transition decides the meaning and the role of Philosophy of Nature in relation to Science of Logics, as the ‘nature’ is the same as 'the transferred idea'. Thus, this study, which considers the meaning and the role of Philosophy of Nature in the relation to Science of Logics, begins with the explanation of several interpretations on the 'Transition of Idea to Nature' and the problems of each interpretation. However, the exposition of problems of each interpretation does not directly lead to the reasonable elucidation on the Transition of Idea, because it requires a correct understanding of Science of Logics for that reasonable elucid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argues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Science of Logics, the way of interpretation of Transition of Idea based on its understanding, and the meaning and the role of Philosophy of Nature in the relation to the Science of Logics.

      • KCI우수등재

        ‘동일성철학’의 원리에 관하여

        이광모(Kwang-Mo Lee)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78 No.-

        셸링은 1794년 『철학 일반 형식의 가능성에 관하여』란 저서를 시작으로 1841년 '신화철학'과 '계시철학' 강의 안을 출간하기까지 근 50년 동안 끓임없이 새로운 철학체계를 구상하고 그것을 서술하고자 한다. 이 가운데 1800년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를 끝으로 새로이 전개되는 '동일성철학(Identitatspilosophie)은 초기 철학적 발전에 대한 매듭일 뿐만 아니라 진정한 의미에서의 셸링 자신의 고유한 체계에 대한 전개로 평가될 수 있다. 셸링은 동일성철학 속에서 주관적 반성으로부터 벗어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으로부터 다양성이 도출될 수 있는 무제약적인 원리로서의 절대자를 제시하고자 한다. 단적인 실체인 이 절대자는 그에게 있어서 동일성의 형식으로 존재하며 끊임없는 자기 확증(Selbst-affirmation) 속에서 무한히 다양한 방식으로 차별적인 현상들을 산출한다. 절대자의 자기 확증의 두 계기 즉, 확증하는 것과 확증되는 것의 무한한 산출에 의해서 정립되는 세계가 곧 자연과 정신의 세계이다. 동일성철학의 문제는 서로 구별되는 자연과 정신의 세계와 더 나아가 그 속에 있는 다양한 개별자들이 하나의 무제약적 실체인 절대자로부터 모순 없이 도출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셸링은 절대자의 자기 확증 속에서 무한히 다양한 방식으로 전체를 정립하고 이 정립된 전체 속에서 양적인 차이에 의해 무한히 다양한 유한자를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볼 때, 유한자란 그에게 “비존재”이며 비실재성으로서의 ‘현상’이다. 따라서 우리는 셸링의 철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갖게 된다. 즉 유한자를 소멸시킴으로써 전체의 통일을 유지하는 체계는 결국 무세계주의적(akosmistiscll) 일원론에 불과할 뿐이지 않겠는가!

      • KCI등재

        지와 진리에 관하여- 정신현상학과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 을 중심으로 -

        이광모 ( Kwang Mo Lee ) 한국칸트학회 2014 칸트연구 Vol.34 No.-

        셸링의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1800)와 헤겔의 <정신현상학>(1807)은 비록 7년의 시차를 두고 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결하려는 문제와 그 해결 방법에 있어서 공통점을 갖는다. 왜냐하면 두 저서는 진리로서의 실재적 지의 가능성을 해명하려고 할 뿐만 아니라 자기의식의 전개 과정에 대한 서술을 통해 그 목표를 수행하려고하기 때문이다. 물론 셸링과 헤겔이 그들의 저서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와 그 해결 방법이 이처럼 같은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모두 칸트 철학이 남겨준 문제, 즉 현실적 인식은 사물 자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 단지 현상에 국한되며 그런 한에서 철학은 진리를 알 수 없다는 주장을 극복하려고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칸트 선험철학의 원리인 자기의식을 자신들의 철학의 원리로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들의 철학이 전적으로 공통점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자기의식을 지의 원리로 받아들인 후, 그것에 기초하여 실재적 지를 설명하기 시작하면서부터 결정적인 차이를 보이기 시작할 뿐만 아니라 급기야는 더 이상 화해할 수 없는 자신들만의 길을 가게 된다. 특히 그들을 서로 다른 길로 가게끔 하는 결정적인 차이는 경험적 의식이 자신의 근거인 자기의식과 어떻게 관계하는가에 대한 다른 이해이다. 따라서 경험적 의식과 자기의식의 관계를 그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지를 고찰하는 것은 <정신현상학>과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의 근본적인 차이가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이 된다. 본 논문은 진리 즉 “실재적 지”의 가능성에 대한 해명을 공통의 과제로 하는 셸링과 헤겔이 어떤 방식으로 그 문제를 풀어 가는지 그리고 그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정신현상학>과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때 우리의 논의를 가로지르면서 두 입장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게 해줄 기준은 칸트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칸트가 던진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을 걸어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순수이성비판>에서 전개되는 칸트의 입장이 무엇인지를 우리의 논의에 필요한 만큼 정리한다. 그리고 인식론에서 미완의 혁명으로 끝난 칸트의 입장을 헤겔이 어떻게 비판하고 완성시키는지를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 위에서 셸링의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가 검토된다. Schelling` s System of Transzendental Idealism(1800) and Hegel` s Phenomenology of spirit(1807) have similarities in its aim and Method, although those were published seven years apart. In their Work, Schelling and Hegel attempt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as truth by describing the development of the Self-consciousness. It ist not accidental that they take the same methode to achieve their goal. Because they all try to overcome the limits of Kant` s Philosophy, namely, our knowledge should be restricted to the phenomenon and so the Philosophy could` t know the truth. Accordingly, they accept the Self-consciousness which Kant designate as the Principle of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to the Principle of their own Philosophy and investigate it critically. Of course, Schelling and Hegel don` t have only similarities but also difference. This difference is so big that they become never to meet again while they persue each aim. The decisive difference consists in the relation of empirical consciousness to the Self-consciousness which is the ground of that consciousness, i.e, in the way how the empirical consciousness recognize the Self-consciousness as its own ground. Therefore, it is to inquire into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System of Transzendental Idealism(1800) and Phenomenology of spirit(1807), to consider the relation of the empirical consciousness to the Self-consciousness. This study aims to explain what is the difference of epistemic Metaphysics of Schelling and Hegel which appears in System of Transzendental Idealism(1800) and Phenomenology of spirit(1807). The views of Kant at that time will be a measure of comparison. Because Schelling and Hegel go their separate ways according to the way how they overcome the limit of K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