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의 자아개념 구조에 대한 분석

        이경옥(Lee Ky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 4, 5세의 유치원생(n=201)을 대상으로 유아기 자아개념의 측정모델을 분석하여 유아기 자아개념의 구조를 검토하고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을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유아의 자아개념의 8개의 하위 영역으로 변별되는 다면적 구조(multidimensionality)를 이루고 있다는 Marsh의 주장과 일치하였다. 또한, Shavelson이 제시한 것처럼 유아의 자아개념 하위영역은 학문적 자아개념과 비학문적 자아개념으로 크게 대별되어 전체적인 자아개념을 구성하는 위계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적 모델의 모델적합도, 요인부하량 및 요인간 상관관계가 이러한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른 나라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일치하여 유아가 자아개념의 발달과 자아개념 척도의 다문화적 타당성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the measurement structure of Self Description Questionnaire I (SDQ-I) was examined with kindergarteners in Korea. The original SDQ-I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data was collected from 5 kindergartens in Korea (N=201). The results indicated that SDQ-I was reliable and the 8-factor structure of SDQ-I was well defined with Korean kindergarteners. Factor loadings and factor correlations were also appropriate.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Cross-cultural validation of SDQ-I was supported in this study. For further studies, we plan to include more data with different age groups and also examine age differences in self-concept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동작활동 콘텐츠 개발

        이경옥(Lee KyungOk),이지영(Lee Ji-Young),이상희(Lee Sang-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동작교육을 활성화하고 디지털 매체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동작활동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유아 동작활동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와 유아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진 동작활동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를 기초로 동작활동 콘텐츠를 제안하였다. 특히 동작활동의 구성 요소를 참고하여 유아를 위한 동작활동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안된 동작활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유아에게 적절한 동작활동 콘텐츠로 개발되었다. 본 콘텐츠는 가상공간이 지니는 이점과 동작인식 기술을 접목하여 유아의 동작활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작교육의 기본 요소와 디지털 기술에 기초한 재미 요소를 결합하여 동작활동 콘텐츠를 구성함으로써 유아 동작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imulate movement education,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develop new movement game contents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develop a new movement game contents for children, the literatures were reviewed for the basic elements of movement education as well as the ongoing movemen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s. The movement activity was suggested to apply new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appropriate motions recognition technology.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bine the movement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the technology of movement recognition and other relevant techniques to enhance the education capacities. We also tried to pursue a new direction in movement education for children by integrating the basic elements of movement education with the fun of game activities.

      • KCI우수등재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의 지능구조에 관한 연구

        이경옥(KyungOk Lee),박혜원(Hyewon Park),이상희(Sanghee Lee) 한국아동학회 2016 아동학회지 Vol.37 No.6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 validity of K-WPPSI-IV. Factor structures of the structures of the K-WPPSI-IV full scale as well as primary index scales for two age ranges (2 years, 6 months to 3 years, 11 months; 4 years to 7 years, 7 months) were examin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00 children aged 2 years, 6 months to 7 years, 7 months during the K-WPPSI-IV standardiz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K-WPPSI-IV subtest performances with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using Amos 18. Results: First, the three-factor model (verbal comprehension, visual spatial, and working memory) fitted best for the younger age range. However, the five-factor model (verbal comprehension, visual spatial, fluid reasoning, working memory, and processing speed) fitted best for the older age range. Residuals suggest the presence of two nested subfactors within the verbal comprehension factor (broad/expressive and focused/simple).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primary index subtests identified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 reduced sets of primary index subtests.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s of WPPSI-IV subtests were confirmed within K-WPPSI-IV.

      • KCI등재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모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분석

        이정미(Lee Jungmi),이경옥(Lee Kyung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정서 노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18.0과 Amos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모델은 부와 모에 대한 영아교사의 아동기 애착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 각 정서노동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적 정서노동은 교사의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 지각 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부에 대한 애착 지각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적 정서노동은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나, 교사의 아동기 부와 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와 모에 대한 애착 지각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면적 정서노동을 포함한 모델의 경우,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지각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해 직 · 간접적인 관계가 나타나, 교사의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사이에 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emotional labors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the paren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214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Each model including analyzation of meditator effect, which is found in sub factors in emotional labor, between teacher’s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things. First one is that natural emotional labor is revealed to perform a role of fully-mediating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contrast,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father was found to have no meaningful effect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parents of infant teachers had a direct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superficially emotional labor had meaningful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but there is no meaningful effect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parents of teachers. Finally, infant teacher’s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had its own influence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direct and indirect ways. This result showed that deep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have partially-mediating effect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KCI등재

        창작로봇(UCR) 기술을 활용한 동극활동 모형 개발 연구

        이상희 ( Sanghee Lee ),이경옥 ( Kyungok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UCR(User Created Robot) 기술을 활용하여 유아교육현장에 적절한 동극활동 을 개발하고, UCR 기술의 유아교육현장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UCR 기술을 활용한 동극활동을 계획하고 동화내용에 적절한 로봇의 외형을 설계하였다. 또한 로봇의 이동성과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로봇콘텐츠를 개발하여 유아가 로봇과 함께 동극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로봇기술을 활용한 동극활동은 전문가 검토과정을 거쳐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육현장에 UCR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로봇콘텐츠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고, 유아들이 로봇과 같이 동극활동을 수행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동극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CR 기술을 활용한 동극활 동 개발 연구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로봇콘텐츠를 수정·제작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수매체로서 로봇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으며 유아의 활동을 촉진하는 유용한 로봇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dramatic activities using the UCR(User Created Robot) technology,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UCR techn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apply the UCR technology on dramat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 designed robots that are suited for a fairy tale and robotic contents based on the mobility and the interactive system of robots to help young children perform dramatic plays with robots. After going through a review process, dramatic activities using UCR technology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action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in the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this study, not only could we see the possibility of various robotic contents based on UCR technology, but we could also confirm that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dramatic activities more enthusiastically when they were performing with robots. Due to the fact that user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create robotic contents by themselves, the UCR technology, as a proper instructional medium demand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contribute to lots of valuable robotic contents.

      • KCI등재

        만 3-5세 유아의 한국어 음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유재권(Jae-Kwon Yoo),이경옥(KyungOk Lee),이경미(Kyoung-Mi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유아는 만3~5세 사이에 언어 능력이 빠르게 발달하게 된다. 유아의 언어발달에 맞는 다양한 경험을 위해서는 그 시기에 맞는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위해 유아에 맞는 음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한국어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이 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서 만 3~5세 유아들의 객관화되고 정확한 음성 데이터 수집을 설계하기 위하여 발달시기에 맞는 적절한 단어 선정 및 성인과 다른 유아의 행동 특성 유형을 파악하는 과정을 거쳐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단어의 경우 MCDI-K에서 두 단계를 걸쳐 선정하였고, 유아는 한 단어 당 세 번씩 발성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음성 데이터는 유아별, 단어별 파일 토큰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한국어 유아 음성 데이터베이스는 웹 페이지를 통한 기술 이전을 할 계획이며, 이를 통하여 유아들의 언어 발달에 유익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그 익일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 Children develop their language skill rapidly between age 3 and 5. To meet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a variety of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ge-appropriate contents. So it needs to develop various contents using speech interface for children, but there is no speech database of korean children. In this paper, we develop speech database of 3 to 5 years old children in korean. For collecting accurate childrens speech, child education experts examine in the speech database development process. The words for database are selected from MCDI-K in two stage and children speak a word three times. Such collected speech are tokenized by child and word and stored in database. This speech database will be transferred through web and, hopefully, be the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children-oriented contents.

      • KCI우수등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

        박혜원(Hyewon Park),이경옥(KyungOk Lee) 한국아동학회 2016 아동학회지 Vol.37 No.6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1,700 Korean children aged 2 years, 6 months to 7 years, 7 months across two age ranges (2 years, 6 months to 3 years, 11 months; 4 years to 7 years, 7 months). Methods: Data from the standardization study of the K-WPPSI-IV were analyzed using Korean and American norms and in terms of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region, maternal education level, and child gender. Results: Korean children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ir American counterparts in most subtests and indexes. Verbal subtest performances for Korean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performance subtest performances for Korean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re we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with higher performances among children from Seoul than from other areas. Children whose mothers had higher education levels showed higher performances than their counterparts. This trend was more apparent in the older age range.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most subtests, with girls showing higher scores than boy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measured with the newly standardized K-WPPSI-IV. In addition, significant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region, maternal education level, and gender were found.

      • KCI등재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여은진(Yeo EunJin),이경옥(Lee Ky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유아 정서조절 발달에서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관련 행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청, 전라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526명과 교사 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와 어머니의 정서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관련행동 중 정서표현과 정서지도는 유아의 정서조절에 직?간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지도는 유아와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 정서조절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ity, mother's emotionality, mother's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 to these rela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onducting a survey of child's mothers(N=525) and early childhood center's teachers(N=33). An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children and mother's emotionality had not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 reaction among mother's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 had 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ther's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reaction were significant. Cross-validation confirmed the structural model of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emotionality. mother's emotionality, mother's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