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가정봉사원사업의 확대방안

        이가옥(Ka Oak Rhee) 한국노년학회 1992 한국노년학 Vol.12 No.1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correct model for developing the home helper services for the elderly in Korea. For implementing this purpose a survey on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the main caregivers in the family has been conducted in April 1991. The sample size of households with the elderly 60 years or over amounted to 1,124 households. From them 947 older persons and 835 caregivers of the elderly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44.0% of the elderly were reported to need 'some help' in maintaining every activities by themselves. 23.2% of elderly and 30.0% of the caregivers showed their intention to utilize the home helper services from now on or in near future. In society the burden of caring for the elderly often goes beyond the limit of family caregiving capacit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a varity of social service programs such as home helper services are developed to share /support /take over the traditional family function in caregiving for the elderly.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가정봉사원사업에 대한 수요추정(실태조사방법을 실시)과 현행 가정봉사원사업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가정봉사원사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현대사회에서 노인의 보호부양기능이 이제는 가족의 테두리내에서만 충족될 수 없다는 현실을 인식한다면, 가정봉사원사업은 우리 고유의 가족기능을 대체 보완해줄 수 있는 보다 실제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가정봉사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자는 총 556명이며, 가정봉사원 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은 681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둘째, 현행가정봉사원사업의 주요 문제점은 (1) 대상노인 선정의 비합리성 및 서비스 내용의 부적합성, (2) 노인가정봉사원 교육내용의 미비, (3) 가정봉사원 확보의 어려움, (4) 담당사회복지사의 업무과중으로 요약될 수 있다. 세째, 조사대상노인중에서 수발을 필요로 하는 노인의 비율은 44%이며, 전체노인의1/4 정도가 가정봉사원서비스를 현재 또는 가까운 장래에 이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정봉사원 서비스는 '병간호 및 신변수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국의 케어 제공자에 관한 정책 연구 : 보호자 권리와 유급고용의 질 강조

        이가옥(Rhee Ka-Oak),우국희(Woo Kug-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2

        본 연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케어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영국 정부가 시행해 온 정책과 제도를 살펴보았다. 영국 정부는 최근 케어 수요와 공급 간의 불균형이 초래할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가족과 시장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 두 영역에 대해 초기의 의도와는 달리 점차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공식적 보호자인 케어러에 대해서는 보상과 인정을 주는 형태로, 공식적 보호자인 유급 케어워커에 대해서는 규제와 감독 강화를 통한 질적 통제라는 형태로 정부 기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케어러의 지위와 권리 향상을 위해 3가지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유급 인력의 자격 강화를 위해 케어기준법과 그에 기반 한 5가지 공식 기구가 발족되었다. 이러한 제도적 정비 과정에서 영국은 비공식적 보호자에 대해서는 적극적 시민권이란 새로운 이념으로, 유급 케어워커에 대해서는 사회서비스의 현대화 가치라는 이념으로 그 기반을 다지고 있다. 그러나 영국의 케어 정책은 점차 혼자서 살아가기 어려운, 시장에서 케어를 사적으로 구입하기가 어려운 보다 열악한 환경에 놓인 서비스 이용자들을 외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In a period of rapid change, transition and re-definition of care concept, this study reviewed social policies on care providers in the UK. In the face of care crisis, the British government has made a radical reform of the care system and enacted new legislations. In the UK social policy, care providers are classified into carers and care workers. Carers mean informal caregivers and care workers are those who are paid for providing care as part of a contract of employment. <br/> Recently, the United Kingdom has given carers recognition and reward. To enhance the status and right of carers, the Carers (Recognition and Services) Act 1995, the strategy document Caring about Carers 1999, Carers and Disabled Children Act 2000, and Carers (Equal Opportunities) Act 2004 have been enacted. At the heart of the policy for carers is the idea of active citizenship, carers-friendly employment and work-life balance etc. <br/> In case of paid care worker, government's focus seems to be on quality of employmen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new national infrastructure for quality. The five national bodies founded on Care Standards Act 2000 has been established. The UK government has realized care work would play an important part in job creation strategy. In this article, we have presented several criticisms and issues of current care policy in UK.

      • KCI등재

        주제별 집단토의 방법론(Focus Group Discussion)

        이가옥 ( Ka-oak Rhee ),장묘욱 ( Myo-wook Cha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保健社會硏究 Vol.13 No.1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연구방법으로 사회조사와 같은 양적 자료수집방법과, 집단 참여 관찰이나 개별 면접조사 등의 질적 자료수집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Focus Group Discussion(FGD)은 집단 면접조사 방법론에 그 유래를 두고 있으며, 집단의 상호 작용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FGD는 다른 연구방법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독립적인 자료수집 방법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FGD 방법론의 장점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비교적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연구자가 어떤 주제를 최초로 다루고자 하거나 새로운 사실 및 관점을 발견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셋째, 참여관찰 또는 개별 면접조사 연구방법보다 그 범위나 영역에 있어서 개방적이고 융통성이 있다. There are survey as quantitative methodology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ividual interview as qualitative in research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As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focus group is basically group interview. Focus group discussion is the explicit use of the group interaction to produce data and insights that would be less accessible without the interaction found in a group. Focus group discussion is best viewed as a complement to oth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independently is used as a data collection method in a research. Focus group discussion is useful for: ○ Orienting oneself to a new field. ○ Generating hypotheses research sites or study populations. ○ Evaluating different research sites or study populations. ○ Developing interview schedules and questionnaires. ○ Getting participants` interpretations of results from earlier studies. The ultimate goal of this article introduces focus group discussion methodology and helps for researcher to conduct focus group discussion. In historical perspective, focus group discussion is new part of social science in korea. Thus this article introduces specific techniques for planning and executing, processing and analysis of suggestion for report writing of the focus group discussion.

      • KCI등재

        고령자 고용정책의 대응전략에 대한 비판과 시민권(citizenship)의 원리를 통한 대안 모색

        이가옥(Rhee, Ka-Oak),이지영(Lee, Ji-Young)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2

        시대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고용자 고용을 위한 어떤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는가에 대해서 면밀한 검토를 해 볼 필요가 있지만, 현 고령자 고용정책은, 거세어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 빠른 변화만을 요구받으면서, 노동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고령자 일자리 전략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일자리 연장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사회적 일자리 방식이다. 일자리 연장의 방식의 경우, 유연적 삶이 노년기의 이상적 사회로 간주되면서 안정화의 필요성이 간과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일자리의 경우, 사회통합의 의미는 배제된 채 잔여적 복지의 일환으로 협소하게 해석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령자 고용정책의 한계는 연령차별주의와 경제우선주의가 맞물려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두 가지 논리에 의해서 고령자의 삶의 질은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시대변화에 따른 현 고령자고용정책의 비판을 통해,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강조되어야 할 것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연령 차별적 논리와 경제우선주의를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새로운 이념적 틀로, 본 고에서는 시민권(citizenship)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노동생활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생존권과 건강권이, 그리고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평생학습권의 보장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권에 대한 논의는 기존의 경제논리에 묶여 있던 고령자 고용정책에서 새로운 차원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역설하고 그 정당성을 확보해 주는 데 의의가 있다. Nowadays, the employment policies for older people is requested to become the new form in the change of information, globalization, and aging. It is discussed, simultaneously, about an age integrated society as the full time jobs' continuation and social jobs after the full time jobs. The discussion of jobs' continuation include from institutional system to age integrated society. Social jobs include from public labor to social wages. jobs' continuation passes over stabilization, regarding it as ideal society. social jobs are interpreted it as residual welfare, excluding the meaning of social solidarity. In fact, most of the debates is overwhelmed by the logic of economy. And so they pass over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Therefore, this study critics the employment policies for older people in the present situation and states a directi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lder people.

      • KCI등재

        사회화과정과 일중독의 연관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30대 화이트칼라 성인남녀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이가옥(Rhee Ka-Oak),이지영(Lee Ji-Young) 한국가족학회 2006 가족과 문화 Vol.18 No.3

          본 연구는 단순히 노동시간을 줄인다고 일자리를 나누어 일할 권리를 확보할 수 있는 것도, 이른바 ‘일하고 소비하는 문화’에서 벗어나 높은 삶의 질을 영유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기존 사회학 연구에서는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과도한 일의 수행 원인을 노동조건으로 환원하고, 이에 따라 제도적 방책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 주력하였다. 이에 반해 기존 심리학 연구에서는 이를 개인의 문제로 환원하여 일중독으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적인 문제들의 해결하는 데 주력하였다. 여기서 일중독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으로만, 혹은 사회구조에 의한 영항으로만 단편적으로 보기는 어렵다. 한 개인의 삶의 선택은 개인적 체험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동시에 그 개인적 체험은 사회적 의미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BR>  따라서 본 연구는 일중독자들의 생애체험을 재구성하여, 개인과 이를 둘러싼 사회적 구조, 그 양자를 통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생애사 연구방법론에 의한 일중독 연구는 연구관점을 현재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생애사의 지형 속에서 조망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일중독을 추동하는 인식의 준거틀이 형성,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일중독을 이해하고자 한다.<BR>  이 논문에서 재구성된 사례에서 참여자들의 현재 일중독의 양상은 어린 시절 사회화과정의 체험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1960, 70년대 ‘산업화의 역군’인 아버지와 ‘치맛바람’인 어머니 세대의 영항, 성장제일주의, 교육을 통한 계층 이동의 욕망, 가부장적 성역할에 대한 생애사적 체험이 복합적으로 현재 일에 대한 인식의 생애사적 배경을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theory that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in itself is unable to provide occupational security, or enable a person to transcend the so-called "Culture of Work and Consumerism" and achieve a higher standard of living. To improve the workers" quality of life and relieve their exhaustion, the reasons why they are working so hard and concentrating on their jobs must be asked, and interpretations based on multiple approaches must be developed.<BR>  This investigation would take white-collar workers in their thirties and attempt to recreate their sociological progression and their career from the basis of their life stories. Workers in their 30s have been affected, whether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repercussions of the IMF, and furthermore, they are the first generation to be working in a flexible labor marke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mplex motives for working which are not simply based on economic motive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ir work from the viewpoint of their life stories.<BR>  The case examples listed in this paper show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work addiction is related to the social experiences one had as a child. The paper shows that the current attitudes regarding the career are constituted out of a multitude of complex factors including the influence of the parents, namely "Hero of Industrialization" father and the "Model Wife" mother in the 1960s and 1970s, economic growth oriented ideology, the desire to raise one"s social status using education, and the patriarchal gender roles.<BR>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by reinterpreting the social experiences one had as a youth and the current work environment, we can discover the meaning behind one"s occupational life. First, as shown in the case examples, one"s social experiences form an important biographical background in deciding one"s attitude towards work. Secondly, the results of the participants" recreating their work is closely related to their socialization processes. Third, the research shows that any internal circumstances beyond the participants" control related to their work are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ir socialization processes.

      • KCI등재

        노인 휴대전화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이가옥(Ka-Oak Rhee),이미진(Mi Jin Lee),이지영(Ji-Young Lee)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일대일 개별 교육방식"의 노인 휴대전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면에서 기존의 노인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평가와 다른 특징을 가진다. 첫째, 평가의 주체를 교육받은 노인 참여자로만 한정하지 않고, 개별 교육을 실시한 교육도우미와 프로그램 개발 및 진행에 관여하였던 연구자까지를 평가의 주체로 포함시킴으로써 평가의 주체를 다양화하였다. 둘째,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병행하여 사용한 다원적 접근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양적 평가로는 노인과 교육도우미를 각각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방법을, 질적 평가로는 노인과 교육도우미를 각각 대상으로 한 초점 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연구자의 프로그램 진행과정에 대한 현장 관찰기록 분석, 교육도우미가 매 회기마다 작성한 과정 평가의 총 네 가지 방식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개별 교육방식에 대한 질적 평가는 노인과 교육도우미 모두 개별 교육방식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적 평가결과 노인과 교육도우미 모두에게서 개별 교육방식이 가장 높은 점수의 평가를 받았다. 노인과 교육도우미의 양적 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교육기간, 교육시간, 교육장소, 교육 자료는 다소 낮은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교육내용, 교육주기, 과제물 수행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양적 평가와 병행하여 사용된 질적 평가자료 분석결과는 노인 휴대전화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노인과 교육도 우미의 의견 및 태도를 좀 더 심도 있게 알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함의와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valuates satisfaction with the mobile phone education program(MPEP) for older adults, which employes one-to-one teaching method. This study has two features. First, evaluation is perform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cluding older participants themselves, all educators who were an one-to-one teacher of using mobiles for each older participant, and researchers who designed the study and developed the MPEP. Second, this study posits triangulation approach by includ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Specifically, four types of data were utilized: focus group interview was performed for older participants and educators respectively, field notes which described the process of the MPEP and which were written by a researcher, qualitative session evaluation forms written by each educator, quantitative post-questionnaires for older participants and educators respectively. Quantitative data analyses indicate that both older participants and educators were very satisfied with one-to-one teaching method. No difference of quantitative evaluation between older participants and educators existed, and program duration, session hours, session places, session materials exhibited lower satisfaction scores while program contents, session interval, homework after session had higher satisfaction scores. Analyses of qualitative data were useful for revealing attitudes and opinions of older participants and educators toward the MPE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이가옥(Rhee Ka-Oak),이지영(Lee Ji-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1

        은퇴 후 연소노인들이 어떻게 노인이 되어 가고 있으며, 앞으로의 노년기는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0명의 연소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은퇴 후에도 연소노인들은 계속적으로 일을 하기를 원하였지만, 사회적으로 이들의 일에 대한 지향은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글은 일을 중심으로 그들의 기대를 낮추는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앞으로의 노년기를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연소노인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야심 달성에 실패하면서, 그때마다 기대를 낮추도록 요구받고 있었다. 외면적으로 이들의 포부는 점점 사라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 배제의 과정은 단순히 이들에게 일에 대한 포부뿐만 아니라,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계획까지 빼앗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젊어지려는’ 개인과 ‘조로(早老)시키려는’ 사회 사이의 커다란 괴리는 연소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elatively young old men become old people after retirement and how they view their forthcoming old age. We interviewed the aspects of lives of the 10 relatively young old men to attain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interviews, it was difficult to get a job after retirement in our society even though they wanted to do.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process of lowering their expectation to work happened, how they viewed their forthcoming old age during the process. One of the results showed that whenever they had failed to attain a job, they had been asked to lower their expectation of work. It seemed that their expectation to work became weak. But the process of exclusion of social role took away not only their expectation to work but also their plan for the future. As a result, the gap between an individual who wanted to be younger and the society which made them older made to decrease the degree of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노년기 자아통합 집단 프로그램 개발

        이가옥(Ka-Oak Rhee),이현송(Hyun-Song Lee)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1

        노년기의 자아통합감을 유지하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에릭슨은 노년기에 이루어야할 핵심적 발달과제로 '자아통합'을 지적하였다. 에릭슨에 따르면 노년기에는 '자아통합'이라 하여 기본적으로 과거 경험을 재음미하고 검토해보며, 그들이 살아온 인생을 가치 있는 삶으로 평가ㆍ수용하여 자신의 삶에 대하여 정돈해 보고 싶은 내적인 욕구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자아통합 욕구에 부응하는 집단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과정을 거치면서, 현실 적용 가능한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자아통합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간단히 서술한 후, 본 프로그램을 목적, 구성 등의 프로그램 설계를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을 분석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아울러 프로그램 실행시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group program for achieving the self-integration of the elderly. In this program the elderly are assisted to reorganize, make sense of, and have positive feeling of their past experiences and whole lives. A whole process of a program development on the subject is explained; theoretical background, framework of the program, details for the execution of a group work, report of a pilot execution, and finally,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program has a broad schema consisting of three parts; building intimacy, sharing experiences, and self-evaluation. A leader assists the participants of six to seven persons to open their mind and reflect upon their own lives while listening to other's experiences in a group meeting.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are supposed to have weekly meetings for seven weeks consecutively. The two times of pilot executions in different places show that the program works well in the real field. An independent evaluation also tells that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s well as the accomplishment of the objectives are substantially large for a pilot execution.

      • KCI등재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정서적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이가옥(Rhee, Ka-Oak),이미진(Lee, Mi-Jin) 한국노년학회 2000 한국노년학 Vol.20 No.2

        본 연구는 1998년에 실시된 '장기요양보호노인의 생활과 서비스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장기요양보호노인을 주로 수발하는 가족성원(이하 주수발자)이 갖게 되는 정서적 부양부담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 이론적인 틀은 스트레스 및 대응모델을 근간으로 하여, 주수발자가 갖는 정서적 부양부담의 수준이 3가지의 변인집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1) 스트레스요인이나 자원으로 분명하게 규정되지 않는, 장기요양보호노인의 자녀 동거여부 및 노인과 주수발자의 가족관계, 주수발자의 성과 같은 배경변인 (2) 장기요양보호노인의 ADL 제한항목수, 정신적 건강상태, 이들을 위한 수발빈도와 수발기간, 그리고 이들 이외의 다른 수발대상자의 존재유무와 같은 스트레스요인변인, (3) 주수발자의 건강상태와 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에 대한 평가와 같은 자원변인. 다중희귀분석결과에 의하면(n=404), 수발빈도와 수발기간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게서 대체적으로 그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 주수발자의 정서적 부양부담은 배경변인, 스트레스요인변인 및 자원변인에 의해 동시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노인이 자녀와 별거하며 노인의 배우자가 주수발자인 경우가 상당수에 이르며, 또한 본 연구에서 고려된 여러 변인들이 통제된 상황에서도 노인이 자녀와 별거하며 노인의 배우자가 주수발자인 경우가, 노인과 동거하는 자녀가 주수발자인 경우에 비해 정서적으로 더 큰 부양부담을 갖는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결론에서는 앞으로 '가족을 위한 복지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In Korea, it is common that long-term care for impaired elderly is provided by their family, particularly their spouses and children. Using 'Survey of Impaired Elderly and Their Service Utilization' conducted in Seoul,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xtent of caregiving burden among the primary caregivers of impaired elderly. Guided by Lazarus and Folkman's Transactional Model of Stress and Coping(1984), the study hypothesized that caregiving burden would be affected by three factors: background variables, stressors and resources.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are not clearly categorized into either stressors or resources, include the family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caregivers and the elderly, co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in the household, and gender of the primary caregivers. The stressors are represented by ADL limitation and ment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frequency and duration of caregiving, and presence of household members other than the elderly (i.e. infant and young child) who need care and support. The resources are indicated by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primary caregivers and their appraisal of social support that they receive from other family members or relativ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404) revealed that all the variables except frequency and duration of caregiv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e interesting finding is that, when all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spouses caregivers of impaired elderly who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have more caregiving burden than children caregivers of impaired elderly. It will be discusse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welfare of the family who are caregiving impaired elderly as well as impaired elderly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