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 공중급유를 위한 영상기반 상대 항법시스템 개발

        윤형철(Hyungchul Yoon),심태민(Taemin Shim),양유영(Youyoung Yang),이현재(Henzeh Leeghim),정정례(James Jung),방효충(Hyochoong Bang)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8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Vol.2018 No.11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의 자동 공중급유를 위한 영상기반 상대 항법 시스템을 구현한다. 공중급유는 프로브-드로그 방식을 가정하고 피급유기가 영상센서를 통해 드로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대 항법을 진행한다. 영상에서 드로그 인식을 위해 IR LED를 이용하여 드로그 형태 규정하며 IR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처리를 진행한다. 영상처리를 통해 얻은 드로그의 정보는 Gaussian Least Squares Differential Correction(GLSDC) 및 Levenberg-Marquardt(LM)을 이용한 상대항법에 사용된다. 상대 항법 알고리즘을 통해 나온 결과는 INS/Vision 상대 항법 필터를 최종적으로 걸쳐서 결과 값을 도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고 실험을 통해 구현 가능성을 분석한다.

      • KCI등재

        남아공 ‘진실과 화해 위원회(TRC)’를 통해 본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

        윤형철 ( Yoon Hyung Chul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3 No.-

        헌정사상 초유의 국정농단사태를 경험하면서 어느 때보다 정의를 갈망하는 한국사회에 한국교회는 어떤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 본 논문의 목적은 남아공의 기적을 이룬 ‘진실과 화해 위원회’(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의 전략과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시대와 사회를 위한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의 포석을 모색하는 것이다. TRC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차별과 억압의 시대를 종식하고 국가 일치와 화해 증진을 위해 설립되었다. 과거사의 진실을 밝히고 화해의 공동체를 수립하기 위해 TRC가 선택한 방식은 ‘회복적 정의’, ‘우분투(Ubuntu)의 화해’, 그리고 ‘공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국가적 기억으로의 통합’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각각 기독교적 가치와 비전을 반영하고 있다. 첫째, TRC는 ‘응보적 정의’ 대신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를 통해 희생자와 가해자와 공동체가 다 같이 참여하여 책임과 치유와 관계회복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는 사회적 약자들과 고통 받고 억압받는 자들을 돌아보시고 해방하시고 위로하시며, 죄인을 용서하시고 의롭다 하시고 거룩하게 만드시는 하나님의 ‘공감적 정의’(compassionate justice)와 상응한다. 둘째, TRC의 화해 개념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의 정체성과 존엄성이 공동체적 관계와 상호성 속에서 형성된다는 아프리카의 형제애와 인간성 개념인 ‘우분투’(Ubuntu)에 기반을 둔다. 아프리카의 토착사상인 우분투는 깨어진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서 성경적인 ‘샬롬’과 닮았지만, 샬롬은 이 세상의 화해와 번영의 가능성이 오직 세계 너머에서 오는 초월성으로 통해서만 가능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독교 세계관을 더 분명하게 반영한다. 또한 샬롬의 비전은 인간 삶의 모든 관계들이 완전하고 조화롭고 정의로운 질서 속에서 기쁨을 누리는 참여와 교제의 풍요와 번영의 종결을 제시해준다. 셋째, TRC는 아파르트헤이트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야기를 공적으로 나눔으로써 그 기억을 국가적 기억(national memory)에 통합시키려 하였다. 이는 과거의 아픈 역사를 용서하되 미래를 위해서 잊지 않기 위함이다.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삶의 중심에도 하나님의 구속이야기에 대한 기억과 기념과 고백과 송축이 자리 잡고 있다. ‘기억하기’는 그리스도인들이 예수의 이야기와 하나님의 구원역사에 자신들의 이야기를 통합시키는 방식이다. 더 나아가 그리스도인들은 최종적으로 기억의 구속이 일어날 종말을 믿고 고대한다. TRC의 프로세스의 세 가지 핵심개념에 상응하는 사상들은 우리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에 긴요한 영감과 통찰을 제공해준다. What kind of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vision can be presented to the Korean society that is more desperate for justice than ever before by experiencing former president Park and her friend Choi’s manipulation of government affairs, which is unprecedented in constitutional hist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and activities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South Africa,’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miracle of South Africa, and by so doing to find a basis for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discourse for our time and society. The TRC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nd the period of apartheid discrimination and repression and to promote national unity and reconciliation. The TRC’s approach to clarifying the truth of past history and establishing a community of reconciliation can be summarized as ‘restorative justice’, ‘Ubuntu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into national memory through public storytelling’, Each of which, I believe, reflects Christian values and visions. First, the TRC tried to make victim, perpetrator, and community participate in achieving responsibility, healing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 by employing not the concept of ‘retributive justice’ but ‘restorative justice’. It corresponds to the ‘compassionate justice’ of God, who did not only look after the weak, the suffering and oppressed, but also free, comfort, forgive, justify, and sanctify sinners. Second, the TRC concept of reconciliation is based on the African concept of brotherhood and humanity, ‘Ubuntu’, which claims that the identity and dignity of any person or group can be formed only within a communal relationship and reciprocity. An indigenous idea of Ubuntu bears a close parallel to a biblical ‘Shalom’ in the way it views a broken world. But Shalom shows the Christian worldview clearly by declaring that any reconciliation and prosperity in this world is possible only through transcendence beyond this world. The vision of Shalom also would envision the abundant and prosperous eschatos of participation and fellowship, in which all the relationships of human life will be enjoying joy in perfect, harmonious and just order. Third, by publicly sharing the story of both the victims and the perpetrators of the apartheid, the TRC attempted to integrate their memories into the national memory. This is to forgive the sad history of the past but not forget it for the future. At the heart of the Christian community is the memory, commemoration, confession, and praise of God’s story of redemption. ‘Remembering’ is a way for Christians to integrate their stories into Jesus’ story and God’s redemptive history. Furthermore, Christians look forward to the redemption of memory in the final stage. These Christian ideas, which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TRC process, would provide critical inspiration and insight into a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discourse for our time.

      • KCI등재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권위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해석학의 삼중적 과업을 활용하여

        윤형철 ( Hyung Chul Yo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7 No.-

        개혁주의 관점에서 볼 때, 성경은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그 권위를 지닌다. 이는 개혁주의 성경권위담론에서 궁극적인 질문이 ‘어떻게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더욱더 신실하게 경청하고 지금 여기의 삶에서 살아낼수 있는가’여야 함을 상기시켜준다. 성경권위에 대한 진정한 인식과 고백은 결국 ‘어떻게 하면 성경이 스스로 말하게 하고 우리의 가장 깊은 내면이 성경을 통해 듣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도전받고 재형성되고 변혁되게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인식은 해석학적 차원이 성경권위담론의 핵심적이고 결정적인 구성요소여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현대의 철학적 해석학의 분야에서 성경권위담론을 위해 매우 적절하고 가치 있는 목소리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통찰들은 해석학의 삼중적 과업, 즉 ‘해석적 우상 제거하기,’ ‘삶과의 지속적 연관성을 촉진하기,’ 그리고 ‘타자의 소리를 경청하기’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해석적 우상을 제거하는 해석학의 기술은 성경을 우리 자신의 이익과 욕망과 이해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조작하는 것을 막고, 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성령의 임재를 분별하게 해준다. 둘째, 해석학은 성경읽기의 우선적 목표가 무엇보다도 독자의 성품과 사고방식과 삶을 형성하고 변혁하는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구체적 삶 속에서 성경을 체현하도록 돕는다. 셋째, 해석학은 타자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에 자신을 개방하여 성경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존중하고, 결국에는 궁극적인 초월적 타자이신 하나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도록 돕는다. 우리가 성경을 읽고 성경의 권위를 고백하는 데 있어서, 성령은 성경뿐만 아니라 기독교 전통과도 깊이 공명되는 이러한 해석학적 통찰을 사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성경 안에서 하나님이 실제로 말씀하시는 바를 깨닫게 하고, 더 나아가 성경의 실천과 실행이 그 해석에 굳게 결합하게 하신다. 따라서 현대 철학적 해석학의 중요한 통찰들을 비판적으로 활용하여 우리는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권위를 다시금 선언하고 고백할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하여, 필자는 성경권위와 성경읽기 사이의 해석학적역동성이 회복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더 나아가 해석학적 차원이 성경권위 담론에 재통합되어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From a Reformed point of view, Scripture claims its authority as the living Word of God. It means that a crucial question in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should be ‘how to hear more faithfully the living Word of God and furthermore to live it here and now.’ Acknowledging and confessing authentically Scripture`s authority relates to the matter of how to let Scripture speak for itself and how to let our innermost challenged, reshaped, and transformed by the living Word of God we hear through Scripture. Upon this,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hermeneutical dimension must be thought of as a constitutive and critical part of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In the area of contemporary philosophical hermeneutics, we can recognize some relevant and valuable voices for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These voices and insights can be summed up as the threefold task of hermeneutics, that is, ‘removing interpretive idols,’ ‘facilitating ongoing life-engagement with Scripture,’ and ‘listening to other voices.’ Firstly, a hermeneutical art of removing interpretive idols prevents us from using Scripture as a manipulating tool to legitimate our own interests, desires, and understanding, and thus helps us to discern the presence of the Spirit speaking through Scripture. Secondly, hermeneutics emphasiz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our character, habits of thought, and life as the primary aim of reading Scripture, and by so doing facilitates the embodiment of Scripture in our concrete life. Thirdly, hermeneutics would render us open towards the Word of God as otherness and enable us to respect the plurality and unity of Scripture and eventually to listen to the viva vox Dei, the voice of the ultimate transcendent Other. For the Christian practice of reading Scripture and confessing Scripture`s authority, the Holy Spirit uses those hermeneutical insights, which seem to resonate deeply with the theological resources found in the Bible and the Christian tradition, not only in leading our interpretation to what God is really saying in and through Scripture, but also in wedding our performance of Scripture as closely as possible to our interpretation. Therefore, critically appreciating contemporary hermeneutical insights, we can reclaim and confess the authority of Scripture as the living word of God. In this study, I intend to stress the need to retrieve the dynamic hermeneutical relation between the authority of Scripture and the reading of Scripture and hence the need to reintegrate the hermeneutical dimension into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 KCI등재

        우상의 또 다른 얼굴, 이데올로기 : 이데올로기의 우상화와 우상적 기능에 대한 비판

        윤형철 ( Yoon¸ Hyung Chul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0 생명과 말씀 Vol.28 No.3

        나무와 돌로 만들어진 우상이 사라진 현대에서 우상은 이데올로기의 가면을 뒤집어쓴다. 본래 이데올로기는 마르크스주의와 구조주의 철학에서‘인간과 사회를 그릇된 방향으로 규정하고 제약하는 이념’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알튀세르는 사람이 특정한 세계에 참여하는 한 지배당하고 포섭될 수밖에 없는‘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의 존재를 지적한 바 있다. 20세기에 사회적, 정치적 이론의 도구로 등장했던 이데올로기는 전통적 종교의 영향력이 약해진 틈을 타 종교가 담당했던 세계관의 기능을 탈취하였다. 유사종교화된 이데올로기는 그 아래 포섭된 사람들을 허구와 위선 속에 가두고 욕망과 추구의 대상, 즉 우상으로 등극하였다. 종교화된 이데올로기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우상의 힘을 발휘한다. 첫째, 이데올로기는 자기지시적, 자증적, 자기변호적, 자기확신적 신비화 과정을 통해 역사적이고 상대적인 것을 초역사적이고 초월적인 것으로 절대화한다. 물신화된 자본주의나 나치의 국가주의 우상은 이런 과정을 거쳐 태동했다. 둘째, 이데올로기는 그 안에 포섭된 사람에게 현실에 대한 허상을 심어 현실 인식을 왜곡시키고, 더 나아가 해석학적 왜곡을 합리화하게 만든다. 이데올로기에 의해 인식과 해석과 성향이 왜곡된 사람은 이데올로기의 의지와 자신의 의지를 동일화하여 이데올로기를 맹목적으로 추종하고 열성적으로 실행한다. 셋째, 이데올로기는 인간의 모방성향과 형상화 특성을 오용하여 인간의 기질과 습관과 행위를 그릇된 방향으로 형성한다. 현대의 사상가들이 밝혀냈듯이 인간은 자신 바깥의 중개를 통해서 모방하고 욕망하고 추구하면서 그것을 반영하고 닮아간다.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복음의 메시지와 신앙고백이 이데올로기적 표명으로 변질하지 않기 위해 현대의 우상인 이데올로기를 분별하고 대항해야 한다. In modern times when idols made of wood and stone disappeared, another face of the idol appears as ideology. Ideology was a term used in Marxism and structuralist philosophy to refer to the idea of defining and constraining humans and society in the wrong direction. Althusser pointed out the inevitability of“ideological state organization”that would rule and subsidize a person as long as he/she may participate in a particular world. Ideology, which emerged as a tool of social and political theory in the twentieth century, seized the function of the worldview held by religion through the weakening of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religion. The quasi-religious ideology is the confinement of those subordinated in fiction and hypocrisy to the object of desire and pursuit. There are three ways in which religious ideology exerts the power of idols. First, ideology would absolutize the historical and relative into a historic and transcendental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ferential, self-authenticating and self-affirming mystification. Fetish capitalism or Nazi nationalist idols were born this way. Second, ideology distorts reality perception by injecting illusions about reality into those who are embedded in it, further justifying hermeneutic distortion. A person whose perception, interpretation, and disposition is distorted by ideology, identifies the will of his ideology and his will, blindly follows ideology and executes it enthusiastically. Third, ideology misuses human imitation tendencies and shaping traits to form human temperaments, habits, and actions in the wrong direction. As modern thinkers reveal, human beings imitate, desire and pursue something through mediation outside of them to reflect and resemble it. Churches and Christians who practice true godliness must discern and oppose ideology, the modern idol, in order that the gospel message and confession of faith will not turn into ideological manifes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