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크 용접 와이어의 장거리 송급을 위한 Push-pull 방식의 와이어 송급장치 개발

        윤현준,황인성,김동철,강문진,최기갑,Yoon, Hyun-Jun,Hwang, In-Sung,Kim, Dong-Cheol,Kang, Moon-Jin,Choi, Ki-Gab 대한용접접합학회 2013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1 No.3

        It is difficult to feed welding wire stably, when the distance between welding wire feeder and welding torch is far enoug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rranging a extension wire feeder between them could be one of useful methods. However, the welding wire could be twisted up in the extension cable between extension and terminal wire feeders in the case that RPM of extension wire feeding motor is higher than that of terminal motor. In this study, feeding problem of normal push-pull wire feeding system occurred at low welding current range less than 250A.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wo new wire feeding systems of push-pull type were introduced. Welding wire feeding tests were preformed in the range of 150A to 400A with the developed push-pull feeding system. In addition, weldability test was performed at the welding current of 200A, 300A, and 400A. The welding wire twisting problem that was observed in the normal feeding system did not occur in the new push-pull wire feeding system.

      • KCI등재

        명령어 분석기를 이용한 고속 메모리 테스트를 위한 병렬 ALPG

        윤현준(Hyunjun Yoon),양명훈(Myung-Hoon Yang),김용준(Yongjoon Kim),박영규(Youngkyu Park),박재석(Jaeseok Park),강성호(Sungho Kang)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5 No.9

        메모리의 속도가 빠르게 향상됨에 따라, 고속 메모리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속 메모리를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도록 패턴을 만들어 내는 알고리즘 패턴 생성기(ALPG)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 메모리 테스트를 위한 새로운 병렬 ALPG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ALPG는 명령어 분석기를 통해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고속 메모리 테스트를 위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As the speed of memory is improved very fast, the advanced test equipments are needed to test the ultra-high speed memory devices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lgorithmic Pattern Generator (ALPG) that tests fast memory devices effectively using the instructions that testers want to u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arallel ALPG for the ultra-high speed memory testing. The proposed ALPG can generate patterns for fast memory devices at high speed using manual instructions by the Instruction Analyzer.

      • KCI등재

        비탈면 보강재의 매설각에 따른 지하수위 저감효과 분석

        윤현준(Hyeonjun Yoon),이성열(Sungyeol Lee),백원진(Wonjin Baek),강재모(Jaemo Kang),김진영(Jinyoung Kim),고화빈(Hwabin K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4 No.8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비탈면의 표층 유실 및 간극수압의 증가로 인한 비탈면의 붕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활동저항력을 증가시키거나 간극수압을 감소시키는 등의 다양한 공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활동저항력과 간극수압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공법이 적용되면 비탈면 붕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평으로 적용되는 배수재의 매설 경사를 상향 방향으로 매설하여, 비탈면의 보강 및 배수 기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상향식 비탈면 보강 공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공법의 보강 및 배수효과가 가장 우수한 매설각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표 단면에 수평 배수재를 0°~60°로 10° 단위로 설정한 조건에서 공법의 보강 및 배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배수효과가 가장 뛰어난 40°와 안전율이 가장 우수한 20°의 조건으로 실내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수치해석 결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수치해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40°에서 상대적으로 배수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20°의 경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탈면이 붕괴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상향식 비탈면 보강재의 보강 및 배수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Due to frequent occurrences of concentrated heavy rainfall caused by abnormal climate conditions in recent years, collapses of steep slopes have been occurring frequently due to surface erosion and increased pore water pressure. Various methods are being applied to prevent slope collapses, such as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movement and reducing pore water pressure. Research on these methods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as they provide an efficient response to slope collapses by satisfying both the conditions of resistance to movement and pore water pressure simultaneous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upward slope reinforcement method by burying drainage materials with an upward slope inclination, instead of the conventional horizontal application. This approach aims to satisfy both slope reinforcement and drainage functions effectively, offering a comprehensive solution for slope stabilization. Furthermore, to determine the optimal burial angle that exhibits the most effective reinforcement and drainage effects of the proposed method, we investigated the reinforcement and drainage effects under conditions where the horizontal drainage materials were set at angles ranging from 0° to 60° in increments of 10° on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 Additionally, indoor 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s of 40°, which showed the most outstanding drainage effect, and 20°, which exhibited the highest safety factor, to validate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urial angle of 40° exhibits a relatively higher drainage effect as with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while the angle of 20° results in inadequate drainage and observed slope collapse.

      • 통계분석을 활용한 연약 점성토 지반의 압축지수 예측 모형 제안

        윤현준 ( Yoon Hyeon Jun ),백원진 ( Baek Won Jin ),이성열 ( Lee Sung Yeol ),임중재 ( Lim Jung Jae ),정원철 ( Jeong Won Chul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대규모 사회기반시설이 해안 및 연약지반에 집중적으로 건설됨에 따라, 연약지반의 압밀침하로 인한 구조물 손상의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의 연약지반은 주로 수계를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생성요인, 퇴적환경, 조성광물 성분 등의 지역별 조건에 따라 지반공학적 특성이 상이하다. 연약지반의 압밀침하량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반정수를 적용해야하나 공사 규모에 따른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정밀 조사의 경우 시간 및 비용 등의 문제로 제한사항이 많아 소수의 지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대상 지역의 압밀침하량을 예측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기존 지반조사 결과로부터 물리·역학적 지반정수를 수집하여 지역별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통계학습 기법을 통해 수계별 압축지수 예측 회귀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구축된 DB로부터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수계를 선정하여 지역별 데이터셋을 구축하였고, 각 데이터셋의 특성을 분석하고 상관분석을 통해 압축지수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는 영향인자(자연함수비, 액성한계, 단위중량, 소성지수, 초기간극비)를 선정하였으며, 단일 및 다중 인자를 활용한 압축지수 예측을 위한 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Statistics 29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지반정수 데이터의 정규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경향에 따라 통계분석 기법 적용에 오차가 발생하기에 Box-Plot을 통해 정규분포 경향에서 뚜렷하게 벗어나는 이상치를 제거하여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상관분석을 통해 압축지수와 상관성이 높은 영향인자를 선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압축지수와 영향인자 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압축지수의 단일 및 다중회귀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자연함수비, 액성한계, 단위중량, 초기간극비, 소성지수는 압축지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므로 해당 지반정수를 활용하여 압축지수 예측 모형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간단한 물성실험을 통해 수계의 개략적인 지반정수의 값을 예측하거나 실험값에 대한 신뢰도를 뒷받침하는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 차량용 시스템에서 실시간 컨트롤 데이터의 시간 제약을 만족시키기 위한 확장된 IEEE 802.1 AVB

        윤현준(Hyunjun Yoon),박대동(Daedong Park),홍성수(Seongsoo Ho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5 No.5

        최근 무인자율주행자동차 기술 개발을 위해 자동차 업계와 IT기업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을 적극 탑재한 차량들이 출시되고 있다. ADAS는 각종 센서와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ECU를 요구하고 이에 따라 넓은 대역폭과 다수의 노드를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 필요해졌다. 하지만 기존에 존재하는 차량용 네트워크는 이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다. Ethernet은 넒은 대역폭을 제공하고 연결되는 노드 수에 제한이 없다. Ethernet의 다양한 종류 중에서 차량용으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IEEE 802.1 AVB(Audio Video Bridging)이다. 하지만 IEEE 802.1 AVB를 차량용 네트워크로 그대로 사용 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컨트롤 데이터의 전송 실시간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확장된 IEEE 802.1 AVB를 제안한다. 우리는 먼저 기존 IEEE 802.1 AVB에 새로운 클래스를 추가한다. 이어서 새로 추가된 클래스를 지원하기 위해 스위치의 출력 패킷 스케줄링 정책을 수정한다. 우리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장된 IEEE 802.1 AVB로 구성한 네트워크에서 컨트롤 데이터의 시간적 요구 사항을 만족함을 검증하였다.

      • 편재하중을 받는 연약지반상 성토체의 측방유동에 관한 사례연구 및 수치모델링

        윤현준 ( Hyeonjun Yoon ),백원진 ( Wonjin Baek ),이성열 ( Sungyeol Lee ),이정훈 ( Junghoon Lee ),정원철 ( Wonchul Jeong ),신영수 ( Youngsoo Shin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물류의 이동 및 사회활동의 광역화로 도로, 철도 등의 성토 공사시 연약지반상에는 편재하중으로 인한 측방유동의 발생으로 대규모의 전단파괴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측방유동에 의한 전단파괴가 발생한 사례지구를 대상으로 하부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파괴 발생 지반과 인접지반에 대해 지반조사를 실시하여 지반의 물리적 특성과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역해석을 통한 수치해석기법으로 사례지구의 주변여건, 기상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단파괴 발생원인을 분석하였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연약지반 상 성토공사에 따른 측방유동발생 범위를 확인하고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지반보강 범위 및 심도를 제안하고자 기존의 유사사례 및 문헌조사를 통해 측방유동으로 인한 안정성 저해 요인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결과를 이용하여 국내의 대표적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연약층 두께, 전단강도(내부마찰각, 점착력))을 선정하고 수치모델링을 위한 대표단면을 설정하였다. 수치모델링은 측방유동으로 인장균열이 발생한 성토부의 위치와 측방유동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 파괴심도 등을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성토체의 영향범위는 지반의 비배수점착력보다는 층 두께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층 두께의 평균 1.35배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례지구와 같은 대칭단면의 도로에 적용했을 때 상부 성토 영향폭이 감소하고 상부폭이 작아질수록 원호활동파괴에 대한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측방유동의 발생으로 인한 전단파괴를 예방하기 위한 지반개량 범위와 심도를 결정, 수치모델링을 통해 안정성 확보여부와 적용성을 검증, 측방유동의 영향인자에 대한 수치모델링 결과를 활용한 성토단면의 안정성 확보 및 유지관리 방안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