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상호작용 콘텐츠에서 체험적 공간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윤한경(Yun, Han-Kyung),송복희(Song, Bok-Hee)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2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5 No.4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술의 발달에 따라 TV와 컴퓨터는 융합되어 경계가 모호해지는 추세일 뿐 만 아니라 디지털 HD방송의 도래는 TV의 교체를 가속화하고 화면은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진화된 TV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기존의 컴퓨터로 가능하였던 모든 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과 쌍방향 통신을 위한 상호작용의 증가는 당연한 귀결이며, 그에 따라 대형화된 TV화면으로 인하여 가족 구성원이 모두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요구되는 등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가 예상된다. 또한 TV와 연결되어 사용하는 게임기들은 동작인식을 하는 등의 기술이 적용되어 컨트롤러 조작에 구애를 받지 않고 소통이 가능하여 졌다. 반면에 대형화된 영상에서는 제한적이긴 하지만 현실세계에서 사용자가 경험적으로 체득한 공간감의 구현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기초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실험의 목표는 사용자의 물리적 경험을 고려한 상호작용 콘텐츠에서 사용자들의 몰입과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콘텐츠에 대한 학습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영상에서 사용된 디멘션이 사용자의 경험하고 체험한 형태와 유사할 때 몰입과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성취도 측정 결과와 개발된 몰입척도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als with development of an evaluating tool for flow experience and presence to evaluate interactive digital contents. The tool is able to measure the grade of flow and presence by surveying with their factors which are known to affect flow experience and presence. One of reasons for reducing flow experience and presence in 3D digital contents is that the experience in the virtual world is different from user's prerequisite learning in the real life. The recent interactive contents using physical movement of users as an input is possible to provide unsafe situation to users due to the different experience. The suggested flow measurement tool is able to evaluate presence and flow experience of an interactive 3D contents as well as flow and presence factors are possible to use as a general guideline for all stages of producing interactive 3D digital contents.

      • KCI등재

        체험적 공간감이 상호작용 콘텐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윤한경(Yun, Han-Kyung),송복희(Song, Bok-Hee)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1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4 No.2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술의 발달에 따라 TV와 컴퓨터는 융합되어 경계가 모호해지는 추세일 뿐 만 아니라 디지털 HD방송의 도래는 TV의 교체를 가속화하고 화면은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진화된 TV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기존의 컴퓨터로 가능하였던 모든 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과 쌍방향 통신을 위한 상호작용의 증가는 당연한 귀결이며, 그에 따라 대형화된 TV화면으로 인하여 가족 구성원이 모두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요구되는 등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가 예상된다. 반면에 대형화된 영상에서는 제한적이긴 하지만 TV에 보이는 환경에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은 현장감이 클수록 증가된다. TV 콘텐츠에 있어서 현장감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기술 및 콘텐츠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TV는 다른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체와 수용자간의 거리가 긴 편으로 2.5m 정도 떨어져서 시청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따라서 TV를 시청할 때 주위 환경이 시청자의 시야에 들어올 여지가 크기 때문에 콘텐츠는 간결한 디자인과 선명한 색상 등을 통해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두어 몰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V용 디지털 콘텐츠에서 현장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실험의 목표는 사용자의 물리적 경험을 고려한 상호작용 콘텐츠에서 사용자들의 체험적으로 획득한 공간감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영상의 디멘션이 사용자의 체험한 형태와 유사할 때 현장감 증가하여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성취도 측정 결과로 확인하였다. It is not easy to define a boundary between TV and home computer in these day since developing H/W and S/W of computer technology induces that TV is conflated with computer. Coming digital HD broadcasting forces for replacement of TV at home and the trend of TV is became bigger. The evolved TV is able to replace the computer by connecting to the network and people want to do interactions with contents by using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hanging the human lifestyle. It is natural that contents for all members of family are needed, since screen of TV become bigger. It is required that the contents should guarantees the accessability of information to the all of family members and the easy interaction with contents. But, the related basic research is not enough to catch the user's eye to induce flow or presence. Our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ffects of experiential space perception on performing interactive digital contents. The result shows that users interacted with contents without any difficulty when they met a same dimension and shape of objects as dimension and shape objects in their experiences or learning.

      • KCI등재

        An Implementation of Smart E-Calipers for Mobile Phones

        Han-Kyung Yun(윤한경)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5

        스마트폰의 고성능 카메라를 사용하여 버니어 캘리퍼스를 대체할 앱의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앱은 제안된 템플릿이 부착된 측정 대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에서 템플릿을 참조하여 측정 대상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앱의 정밀도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버니어 캘리퍼스의 오차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시장에 보급된 스마트폰의 카메라는 12M 픽셀이며, 그 이미지 셀의 크기는 1.4μm이므로 이론적으로 버니어 캘리퍼스보다 더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기존에 제안한 알고리즘에서는 촬영된 소스 영상의 템플릿 형태로부터 기준 거리를 추출하였지만,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알고 있는 템플릿의 기하학적 속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한 후 거리를 구함으로써 향상된 정밀한 길이를 구할 수 있다. The study is underway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n app that will replace vernier calipers using a smartphone"s high-performance camera. The specifications of the camera mounted on recent smart phones have evolved so that usually has a 12 Mpixels of image sensor and its size of the pixel is 1.4㎛ and the size of the image sensor is 1 / 2.55 in. The proposed algorithm will apply to develop a precision measuring application that will compete with the Vernier calipers. Most existing applications cannot guarantee an accuracy in scale because the scale of the ruler displayed on the image is unclear or the size of the measurement object varies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measurement object. In addition, another accurate measuring tools using lasers are also available, but they are limited because they are expensive. Therefore, if easy-to-carry and precise applications are developed,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existing measurement tools. The proposed correction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automatically corrects the distorted source image using the shap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known template. The e-calipers are applications that display the distance when the area to be measured is specified in the corrected imag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발성 막성신병증의 임상경과

        설영 ( Yun Seol Yeong ),이은주 ( Lee Eun Ju ),허정훈 ( Heo Jeong Hun ),손영기 ( Son Yeong Gi ),한경근 ( Han Gyeong Geun ),안원석 ( An Won Seog ),김성은 ( Kim Seong Eun ),김기현 ( Kim Gi Hyeon )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2

        목적 : 특발성 막성신병증은 신증후군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으로 자연관해에서부터 만성신부전증으로 진행하는 다양한 임상상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질환의 다양한 임상경과에 관하여 분석함과 아울러 신증후군의 치료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steroid 단독요법과 chlo-rambucil 병합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0년 3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내과에서 진료 받고 신생검으로 진단된 특발성 막성신병증 환자 중 2년 Background :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IMN) causes variable clinical courses, such as from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nephrotic syndrome to end-stage renal failure. We evaluated clinical findings and effects of steroid and steroid with c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노인 사용자를 고려한 전자렌지의 유니버셜 디자인

        송복희,윤한경,정광태,Song, Bok-Hui,Yun, Han-Gyeong,Jeong, Gwang-Tae 대한인간공학회 200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19 No.1

        Universal design is an approach to create environments and products that recognizes the diversity of users, regardless of their ability or age. Recently, old person and disabled person rapidly go on increasing in number. So, universal design concept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n product and environment, etc. In this study, we dealt with the universal design problem of microwave oven considering old persons. New design model for microwave oven was developed and evaluated using human factors approach.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old persons, and then design alternativ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se principles.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first experiment was to select final design alternative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rapid prototypes. The second one was a usability testing for the real model of final alternative. In this experiment, the real model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al product. As the result, the new design model was a little more excellent than the existing model in usability.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