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의 관계

        윤초희(Chohee Y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1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아이디어 생성 능력과 다양한 영역(일상, 학문, 예술)에서 나타나는 창의적 행동이 창의적 가정환경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과 충청지역의 대학생 20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기술통계치 분석 결과, 창의성의 하위 지표 중 학문 창의성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고 일상 창의성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창의적 가정환경 요소 중 물리적 환경이 모든 창의성 지표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지적 자극과 정서적 지지 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셋째, 창의적 가정환경을 하위 요소별로 상집단, 하집단으로 구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 물리적 환경 수준에 따라서 창의성의 모든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창의성에 대한 창의적 가정환경의 하위 요소의 상대적인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창의성의 모든 하위지표를 예측해주는 환경 변인은 물리적/문화적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창의적 가정환경에의 개입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how college students ability to generate ideas and creative behaviors in various areas (daily life, academics, and arts)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 total of 203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eong reg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the average score of academic creativity was the lowest among the sub-indicators of creativity and the average score of daily creativity was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 physic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creativity indicators, and the intellectual stimulus and emotional support factors showed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Third, the result of t-test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ndicators of creativ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Four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variable that predicts all sub-indicators of creativity was the physical/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in creative family environ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의미와 발명교육의 방향

        윤초희(Chohee Y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23 영재와 영재교육 Vol.22 No.1

        이 연구는 인간중심 존재론을 해체하고 다양한 유목적, 횡단적, 관계적 주체를 추구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발명의 의미를 재탐색하고 미래 발명교육을 위한 함의를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미래의 학생들이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 존재들과 상호작용하여 지식을 생성ㆍ공유하는 과정에서 발명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미래 발명교육의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신물질주의를 토대로, 확장된 주체들 간의 서로 연결된 세계의 작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존재론적 담론이다. 인본주의 관점에서 ‘발명’이 원자적 개인이 독립적으로 능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산물이나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과정이나 활동으로 개념화된다면, 탈인본주의에서는 단일 주체(인간), 선형적 발명 과정, 개인 역량 중심의 발명 개념 등이 해체되고 복수 주체(인간 및 비인간 존재 포함), 행위주체성, 물질과 관념의 뒤섞임, 창발, 네트워크상의 상호의존성 및 상호관련성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새롭게 재개념화된다. 이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 한 새로운 발명 개념을 토대로, 물질수행성에 대한 인식, 제한된 목표달성이 아닌 ‘되어가는’ 과정에의 참여 강조, 개인 역량에서 얽힌 관계로의 초점 전환, 학습에서 다중 양식 및 다양한 앎의 방식의 사용 독려, 그리고 지속가능성 요소의 포함을 향후 발명교육의 방향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invention and find implications for future invention education from a posthumanist perspective, which deconstructs human-centered ontology and pursues nomadic, transversal, and relational subjects.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invent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d sharing knowledge by interacting with various non-human beings, and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invention education. Posthumanism is an ontological discourse that seeks to understand the workings of the interconnected and interrelated world of humans and nonhuman subjects, based on neo-materialism. While ‘invention’ from a modernist perspective is conceptualized as a process or activity in which an atomic individual independently exerts his or her ability to invent new products or ideas, posthumanism recognizes multiple agencies,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ideas, emergence and creativity, and networked interdependence and interrelationships. Based on the new conceptualization of invention from a posthumanist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ed as the direction of future invention education, recognition of material performance, participation in the creative 'becoming' process rather than pursuing limited goals, shifting focus from individual competence to intertwined relationships, encouraging the use of multiple modes and various ways of knowing, and finally the inclusion of the sustainability element in invention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경험의 구조 분석

        윤초희(Chohee Yoon),나재훈(Jaehoon Na)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학습은 교육심리학의 주요한 연구주제이자 현장교사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실천문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학습은 학습자 당사자 보다는 주로 다른 집단(심리학자, 철학자, 교사 등)에 의해 개념화되고 연구되어 온 반면, 정작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을 개념화하고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학습현상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자들의 선-개념을 배제하고, 철저히 학습자의 관점(제2관점)에서 학습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습의 본질을 탐구하고자하며, 이러한 경험의 구조가 전공영역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반구조화된 면담과 기술범주 분석을 이용하는 현상기술학(phenomenography)을 적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서울에 소재한 종합사립대학교의 1학년 학생 1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총 9개의 기술범주(기계적 암기, 의미의 파지, 지식의 증가, 지식의 적용/활용, 미래 삶을 위한 준비, 경험과 활동, 자기 구성적 텍스트 이해, 현상의 이해, 개인의 성장/발전)가 도출되었으며, 이들 학습개념은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무엇에 초점을 두는가에 따라 다시 정보중심, 적용중심, 활동중심, 이해중심, 인간중심으로 재분류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하나의 학습개념만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드물게 있었지만, 대부분 2개 이상의 학습개념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학습맥락에 따라 학습경험의 본질이 달라짐을 시사한다. 학습개념에 대한 빈도분석에서 정보중심, 적용중심 학습개념에서는 인문사회와 이공계열 간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해중심, 인간중심 학습개념은 주로 사범계 학생들에게서 나타나 교육과정과 교육활동의 영향을 암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생의 학습개념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과 교육실천을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Learning is a major research topic in educational psychology and one of the most frequently tackled questions among teachers in the educational setting. While learning has been conceptualized and studied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logists, philosophers, teachers, etc., a few research investigated learning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To inquire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of learn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nalyze learning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the second-order perspective).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structure of the student``s experiences of learning in the higher educational setting and examining how it differs as to the student``s field of study. Nineteen freshmen from a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phenomenography as a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As a result of data analyses, a total of 9 categories of description were extracted: mechanical memorization, retention of meaning, accumulation of knowledge, application of knowledge, preparation for a future life, experience and activity, self-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the text, understanding of phenomena, and personal growth. These categories were restructured into five clusters of conceptions, based on the hierarchical relation of the categories of description, each focusing on information, application of knowledge, learning as an activity, understanding, and person, respectively. The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had multiple conceptions of learning rather than maintaining a single conception across contexts, suggesting that the nature of experiences of learning differs as to the context of learning. No promine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fields of study in the information- and application-centered conceptions of learning while understanding- and person-centered conceptions of learning were pronounced among pre-service teachers, implying the influences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actice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ortance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learning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간제교원제도 운영에 관한 기간제교원의 인식 분석: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윤초희(Yoon, Chohee),안홍선(Ahn, Hongseon),장환영(Jang, Hwa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기간제교원제도 운영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쟁점에 대해 기간제교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에 기초하여9가지 쟁점(법적 지위, 고용의 안정성, 채용과정의 적절성, 계약조건의 합리성, 처우·복지, 업무분장, 소속감 및 자존감 제고, 전문성 개발 및 연수 기회, 교육활동 성과 관리 및 평가)에 관한 분석 범주를 도출하였고, 전국의 기간제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기간제교원의 1/3에 해당하는 14,592명의 유효한 응답 샘플을 분석한 결과, 기간제교원들은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해 모든 요소에 대 해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반면에, 만족도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요도-만족도 간차이가 크게 나타난 항목은 고용안정성이었으며, 이어서 처우·복지, 합리적인 업무분장 순이었다. 이들쟁점사항의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개인특성 및 소속학교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기간제교원을 선택한 이유,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학교유형과 학교급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여성, 40대, 경제적 목적으로 기간제교원을 선택한 집단, 7~10년 경력자, 국공립학교 재직자, 중학교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반면, 여성, 40대, 경제적 목적 집단, 7~10년 경력자, 사립학교 재직자, 고등학교 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the fixed-term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fixed-term teacher system and investigates if these perceptions change depending on various person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 study subjects were fixed-term teachers that had been employed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July 2018. Data was collected using online surveys, and the amount of legitimate responses gathered comprised about 1/3 of the fixed-term teacher popul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fixed-term teachers pointed out ‘the lack of employment st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their successful job performances. Secondly,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as to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reasons for choosing career, females, teachers in their 40s, teachers who chose to be a fixed-term teacher for financial reasons, and teachers who had 7-10 years of work experience were more cognizant of the fixed-term teacher policy and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policy implementation than other corresponding groups. Thirdly,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as to the type and level of school, on some aspects teachers working in public schools and middle school teachers were more cognizant of the fixed term teacher policy while privat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policy implementation than other corresponding group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change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등학교 기간제교사의 교직 경험과 요구에 대한 질적 분석: 초점집단 면담을 중심으로

        윤초희(Chohee Yoon),안홍선(Hongseon Ahn),장환영(Hwanyoung J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4

        기간제교사는 제도가 도입된 1997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교육적 담론에서 배제되어 왔고, 이들이 현장에서 경험하는 교직생활에 대한 연구도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중등학교 중장기 경력 기간제교사가 경험하는 교직경험의 의미와 제도 개선에 대한 이들의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기간제교사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의 목소리는 심층면담과 주제분석 기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이들의 경험과 인식을 구성하는 12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는 다시 세 가지의 상위 범주-기간제교사의 교직경험, 기간제교사의 정체성, 기간제교사의 요구-로 통합되었다. 기간제교사들은 ‘개인적 필요’에 의해 교직을 ‘선택’하지만, ‘채용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역할모호성에 기인하는 ‘업무에서의 어려움’을 가지며, 생존과 실존의 ‘불안’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 그러나 교직에의 ‘헌신’을 통해 이러한 불안과 어려움에 대처해나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간제교사들은 스스로에 대해 임시교사/대체교사라는 ‘자의식’이 강하고, ‘주변인’과 ‘전문 교사’라는 혼합된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간제교사들은 ‘전문성 인정’, ‘고용의 안정화’, ‘공정한 채용’, ‘성장과 발달의 기회’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었다. 시사점으로, 제도 운영의 불합리한 측면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언되었고, 공정하고 배려 지향적인 학교문화의 조성을 위한 단위학교의 책임감 있는 운영과 구성원의 노력이 강조되었다. The fixed-term contract teacher has been excluded from the educational discourse although the number of fixed term teachers has been on the rise since the fixed-term teacher system was introduced in 1997. The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life of these contract teachers in the field has only started relatively recentl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eaching, experienced by middle- and long-term career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needs for improvement of the system. Twelve fixed-term teachers working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voices were analyz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twelve themes that make up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ere derived, which were then categorized into three higher themes: the professional experiences of fixed-term teachers, the identity of fixed-term teachers, and the needs of fixed-term teachers. Fixed-term contract teachers choose teaching by personal needs but experience barriers to employment, have difficulty at work due to role ambiguity, and live with anxiety of survival and existence. However, they deal with these anxieties and difficulties through the dedication and commitment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addition, fixed-term teachers are conscious of themselves as a temporary/substitute teacher, and have a mixed identity of "marginalized’ people and a professional teacher. Finally, fixed-term teachers have demands for professional recognition, stabilization of employment, fairness in the hiring process, and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development. As implications,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ir job conditions were suggested, and the responsible management of the school and the efforts of the members of the school to create a fair and considerate school culture were emphasized.

      • KCI등재

        미래 아동ᆞ청소년 발달 전망에 따른 학교지식의 방향성 탐색

        윤초희(Chohee Yoon),정영근(Young-Keun Jeong),민용성(Yong-Seong Min),이근호(Keun-ho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6

        이 연구는 향후 도래할 인공지능시대에 살아갈 미래의 아동ㆍ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메가트렌드를 통해 전망하고, 이에 따른 대응과제를 학교지식 측면에서 제언하고자 시도되었다. 미래연구는 특정 분야에서 미래에 나타날 큰 흐름을 메가트렌드로 정의하고 이러한 메가트렌드를 탐색하여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아동ㆍ청소년의 메가트렌드를 전망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데이터화된 아동ㆍ청소년 발달 및 특성 변화의 추세를 참조하였고 전문가협의회 과정을 거쳤다.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아동ㆍ청소년 발달의 다섯 가지 미래 메가트랜드(신체구조 및 기능의 변화, 신경생리 및 인지, 학습에서의 변화, 정신건강 문제 및 정서적 취약성 증가, 개성추구ㆍ개인화ㆍ다원화된 삶의 방식, 디지털 네트워크화)가 도출되었고 이에 따라 187개의 지식 항목이 개발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지식항목에 대해서는 2회의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수행하여 전문가들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지식 요소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아동ㆍ청소년 메가트렌드에 따른 미래 학교지식의 네 가지 지향점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첫째, 지식, 기술, 가치ㆍ태도ㆍ윤리 요소가 편중되지 않고 균형 있게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교과 간 융복합적/탈경계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점, 셋째, 특별히 정서와 관련된 지식 요소가 미래 학교교육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것이라는 점, 넷째, 탈-인간중심주의와 관련된 지식 항목들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고 자율성, 유능성, 창의성과 같은 인간중심적 특징이 여전히 강조되었다는 점이다. 각 특징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졌고, 결론적으로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지속적인 상호의존적 관계 속에서 각 주체의 수행력을 토대로 새로운 지식을 공동으로 생산하고 이를 통해 의미 있는 세계를 구성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으로의 변화가 제언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edict through mega-trends the futur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will live in the upcoming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to explore the school’s tasks in terms of school knowledge. Futures studies consist of defining large information flows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in a specific field as mega-trends. To predict the mega-trend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study examine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conducted two expert panel councils. Through the expert councils, five future mega- trends of child and youth development (changes in physical structure and function, changes in neurophysiology, cognition and learning, increase in mental health problems and emotional vulnerabilities, individualization, personalization, and diversified lifestyles, and digital networking) were derived, and 187 knowledge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knowledge items,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identify appropriate knowledge elements judged by experts. As a result of analysis, 4 characteristics of future school knowledge according to the child and adolescent mega-trends were identified: all knowledge elements (knowledge, skills, and value/attitude) were evenly emphasized, convergent/de-boundary characteristics between school subjects stood out, emotional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finally, scores on the items related to posthumanism were relatively low. In conclusion, changes are expected to be made to the curriculum so that human and non-human beings jointly create new knowledge based on their respective agencies and co-construct a meaningful world where they can participate in useful practices.

      • KCI등재

        Vygotsky의 기능체계 관점에서 본 아동발달의 ‘복잡성’ 이해

        김도휘 ( Kim Dohwi ),윤초희 ( Yoon Cho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이 연구는 아동발달의 ‘복잡성’에 대한 Vygotsky의 해석과 방법론적 접근을 최근 부각되고 있는 복잡성 사고와 연계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Vygotsky 이론의 주요 개념이 교육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Vygotsky의 발달 개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 세기 전 Vygotsky가 제기한 심리학의 위기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고, 오히려 전통 심리학이 전제하는 기계론적이고 선형적인 인과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방법론이 더욱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적 접근에서는 고등정신 기능의 발달 기원과 변화 과정, 구성 요소와 기능체계 간의 관계를 규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고, 이미 발달이 이루어진 후의 정신 기능의 완성된 형태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이유로 Vygotsky는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 간의 합성, 질적인 변형, 진화와 퇴화의 합류, 발달의 주기성 등 아동발달의 변증법적 과정을 탐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던 것이다. Vygotsky가 강조하는 발달의 이러한 복잡한 특성들은 복잡성 이론의 복잡성 사고와 공명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Vygotsky 이론에서의 복잡성 특성을 기능체계 관점, 일상적 개념과 학문적 개념의 관계에 대한 Vygotsky의 해석, 그리고 뇌의 역동적 구조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아동발달의 복잡성 본질을 인식하고, 고등정신 기능의 발달을 연구하기 위해 요소 접근이 아닌 기능체계 관점을 보다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reviews Vygotsky's interpretation of the “complexity” of child development and methodological approach, in conjunction with the complexity theory, which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in the educational context. Despite the main concepts of Vygotsky's theory being widely used in educational setting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is concept of development is lacking. The problem of crisis in psychology, which Vygotsky raised a century ago, remains unresolved, while the methodology for identifying mechanical and linear causality, which the traditional psychology presupposes, has been expanding. This methodological approach features a limitation, in that the origin and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functions and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elements and systems cannot be identified, and only the final form of behavior after development has been completed can be known. Consequently, Vygotsky emphasized studying the dialectical process of child development, including a synthesis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functions, qualitative transformation, a merging of the processes of evolution and involution, and the periodicity of development. These complex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emphasized by Vygotsky resonate with complexity thinking in the complexity theory. Specific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complexity characteristics in Vygotsky’s theory,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functional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conceptual systems, and the dynamic structure of the brain. It proposes the recognition of the complexity of child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a functional systems approach rather than an element-based approach to studying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functi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