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령자 TV 동반 시청(Co-viewing) 컴패니언봇에 대한 사용자 인식 조사 및 인터랙션 디자인 요인 탐구

        윤정미(Jungmi Yoon),박중신(Joongsin Park),황우호(Yuhao Huang),김보리(Bori R. Kim),김건하(Geon Ha Kim),홍세준(Se-Joon Hong),김진우(Jin Woo Kim)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사회적 연결망이 줄어들고, 건강상의 이유로 주로 혼자 TV 를 시청하는 고령자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 기반하여, 고령자들과 TV 를 함께 시청해 줄 수 있는, `TV 동반시청 컴패니언봇`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과 디자인 요소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Wizard of Oz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23 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제 가정환경 내에서 컴패니언봇 프로토타입과 함께 TV 를 동반 시청한 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고령자는 컴패니언봇을 손주, 친구, 비밀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물, 애완동물, 기계 등으로 인식하였다. 고령자들로 하여금 컴패니언십을 느끼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정서적 안정감과 사회적 존재감이 도출되었다.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주요 디자인 요소로는 맞장구가 있었다. 사회적 존재로 느끼게 하는 디자인 요소는 고령자의 봇에 대한 관계 인식을 바탕으로 한 대화 인터랙션에 기반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TV 동반 시청 컴패니언봇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결함의 범주특정적 특색

        윤정미(Jungmi Yoon),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 결함에 의미의 범주특정적 특색이 나타나는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사를 동작성과 비동작성의 두 범주로 분류하여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능력의 두 범주 간 차이를 비교하였고, 비동작성동사로 분류된 동사들을 인지, 감정, 지각 동사의 하위범주로 나누어 그 중 인지동사와 감정동사 간의 이해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오반응유형을 분류하여 오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20명(남자 16명, 여자 4명)으로 모두 K-WAB에 의해 브로카실어증 환자로 진단된 사람들이며, 실험에 사용된 동사의 이해과제는 어휘-그림 짝짓기로서 4개의 그림들 중 제시된 하나의 그림을 선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능력에서 동작성동사와 비동작성동사의 두 범주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동작성동사의 하위범주인 인지동사와 감정동사의 이해능력에는 범주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오반응 시 나타난 오류유형은 의미관련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음소관련어가 많이 나타났고, 가장 적게 나타난 오류유형은 무관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능력에서 동작성과 비동작성의 범주 간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것은 뇌손상에 의하여 어휘범주의 이해에 선택적 결함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Many of recent neuropsychological literatures have dealt with specific semantic word categories in aphasia. Moreover,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research works have demonstrated that words can be selectively impaired after a brain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Korean Broca’s aphasic patients are selectively impaired in verb comprehension. Twenty Broca’s aphasic patients(14 male, 6 femal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 test was devised to assess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single verb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oint to the picture depicting the spoken stimulus word. Three distractors were incorporated for each of the target words: semantically related distractor, phonologically related distractor, and the distractor which was unrelated to the target word. The verbs used in the comprehension task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action and non-action. All test verbs were selected from the list of words with high frequencies of occurrence in Korean. Action and non-action verbs were also matched in terms of frequencies of occurrence. The non-action verbs were classified into 3 subcategories, cognitive, perceptive, and emotional.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Some participants had more comprehension impairment in action verbs than non-action verbs and vice versa.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comprehension abiliti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verbs in the subcategory of non-action verbs. (3) The most frequent error type was the semantic errors which was followed by the phonological errors and the errors of unrelated words in that order.

      • 아동의 바람직한 유튜브 시청 경험을 위한 컴패니언 서비스 제안

        박도은(Park DoEun),윤정미(Yoon Jungmi),장미경(Jang Mikyung),이병관(Lee Byounggwan),김진우(Kim Jinwoo)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오늘날 아동에게 유튜브는 매우 영향력 있는 미디어 플랫폼이다. 동시에 아동의 유튜브 사용에 대한 ‘중독현상’, ‘유해 정보 접속’ 등의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유튜브를 건강하게 시청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아동에게는 컴패니언봇(CompanionBot)과 유튜브 영상을 함께 보며 생각과 감정을 나누는 사회적 시청(Social Viewing) 경험을, 둘째, 부모에게는 모바일 앱을 통해 아동의 유튜브 시청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경험을 제안한다. Wizard of Oz 방식을 활용하여 각각의 프로토타입을 7 쌍의 아동, 부모에게 경험하게 하였다. 수집한 인터뷰 데이터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아동의 컴패니언봇 사용 경험은 ‘사용자 관련 요인’, ‘기능디자인 요인’, ‘봇 디자인 요인’을 중심으로, 14 개 세부요인이 도출되었다. 실험에 참여한 부모는 앱을 통한 아동의 시청 정보 확인을 통하여 아동의 유튜브 시청에 대해 안심하는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터랙션 디자인과 도출한 경험 요인은, 향후 유튜브 시청 경험과 관련된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손주보 : 고령자 치매예방 인지강화 훈련을 위한 대화형 에이전트 개발

        박중신(Joongsin Park),윤정미(Jungmi Yoon),황우호(Yuhao Huang),강윤영(Younyoung Kang),고현정(Hyunjeong Ko),김보리(Bori R. Kim),홍세준(Se-Joon Hong),김건하(Geon Ha Kim),김진우(Jin Woo Kim)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는 급속도로 고령화 되고있는 국내 상황에서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 하고있는 치매에 대응하기 위한 IT 기반의 접근방법으로 인지강화훈련을 제공하는 대화형 에이전트 개발을 목표로 한다. 시스템 개발의 과정에서 고령자용 대화형 에이전트가 가져야할 대화적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WoZ 기반의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13 명의 고령자의 집을 방문하여 대화형 에이전트와 고령자가 1 시간 가량 대화할 때 나타나는 현상들을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들을 도출했다. 도출된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형태인 "손주보" 를 개발하였으며 ‘관계설정을 위한 어린 아이같은 대화’, ‘선제 발화를 통한 주도적 대화’, ‘충분한 onboarding 을 통한 기능제시’, ‘치매예방 훈련이라는 분명한 목표 제시’, ‘맞장구와 관심 표현’, ‘메시지 버튼 기반의 발화유도’의 6 가지 대화적 전략이 적용되었다.

      • KCI등재

        대화형 에이전트의 사투리 사용이 사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내집단 유대감과 지속사용의도를 중심으로

        정유인(Yuin Jeong),박도은(Do-Eun Park),윤정미(Jungmi Yoon),장미경(Mi-Kyung Jang)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7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Conversational Agents (e.g., Amazon Alexa, Google Assistant) have been speaking as more human-like. However, the use of Dialect by a Conversational Agent, despite its frequent use and positive effects in human conversations, are not fully explored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fiel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alect on user perception of Ingroup tie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toward the agent, we conducted a 2(with/without dialect) x 2(task/social oriented conversation) experiment with fifty-four participants.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Use of Dialect in Conversational Agents resulted in ingroup-tie with the users 2)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users had a tendency of feeling stronger ingroup tie with dialect-speaking agents during the social-oriented conver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