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건 남자들 놀이야”: 만 5세 여자유아들의 대립적 젠더구성에 관한 사례연구

        윤재희(Yoon Jaehu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사례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여자유아들이 이분법적 젠더체제 내에서 구성한 (남자유아와) 대립적인 젠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서울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의 한 학급에서 참여관찰, 음성녹음, 면담과 연구자저널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는 여자유아들이 두 개의 젠더범주 한 쪽에 자리매김하면서 이분법적 젠더체제가 규정하는 협소한 방식으로 젠더를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여자유아들은 젠더 경계선을 중심으로 분리된 공간을 사용하고 놀이주제 혹은 놀잇감에 대한 젠더화된 선호를 보이며 남자유아와는 대립적 젠더를 구성했다. 또한 이들은 두 범주 사이의 모호한 젠더를 구성하는 또래를 대상으로 범주유지 작업(Davies 2003)을 벌여 교실에서 이분법적 젠더체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양성평등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By conceptualizing gender as a social construc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girls' constructions of oppositional gender in a kindergarten class for 5-year-olds, located in Seoul. For doing this,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four sets of qualitative data (fieldnotes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audiotapes, interviews and research journals). The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girls constructed themselves as oppositional beings against boys by correctly positioning themselves within the gender binary. The girls occupied separate space from boys, made gendered choices in indoor free-choice activity, and categorized play themes and/or materials according to gender. Ambiguous or vague positions between the binary categories provoked category maintenance work in the research setting. By participating in category maintenance work, the girls normalized and legitimized themselves as separate, distinct, and even oppositional beings from boys.

      • KCI등재

        유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교사의 지원방법

        정서연 ( Jeong Seoyeon ),윤재희 ( Yoon Jaehu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유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교사의 지원방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A유치원 누리반 교실을 관찰하고 연구 참여자들과 면담을 실시했으며 문서 및 시청각 자료, 현장일지 등 수집된 자료의 범주화 과정을 거쳐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연구결과 첫째, 누리반 교사는 유아들에게 일정과 결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일정에 대한 정보에는 유치원 행사, 견학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누리반 교사는 정해진 일정이 바뀔 경우 유아들에게 바뀐 일정에 대한 정보를 알리기도 했다. 결정을 위한 정보에는 유아가 자신과 관련된 사안에 스스로 선택하거나 결정하는데 필요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둘째, 누리반 교사는 교실의 주도권을 유아와 함께 공유했다. 이 교사는 교육과정 운영방법 및 공간 구성에 관한 주도권을 유아들과 공유했다. 이는 누리반 교사가 교사의 고유한 역할로 여겨지던 것을 유아들과 공유함으로써 유아 참여권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치원에서 유아 참여권의 실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s method of support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rights to participation. A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documents, audiovisual materials, and field journals of children and their teacher in a 5-year-olds’ clas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below. The teacher supported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hildren through methods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sharing of initiative. First, the teacher provided the children with information about course schedule and their options for decision making. The information on schedule included kindergarten events and field experience learning. The information for the decision making contained necessary material for the children to choose or decide issues on their own. Second, the teacher shared the initiative in leadership and organizing activities with children. The initiative involve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composition of space. These efforts can be seen as a teacher’s method to support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hildren by sharing those function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as exclusively reserved for teachers.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경선(Kyung-Sun Lee),구태미(Tae-Mi Gu),윤재희(Jaehui Yo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에 참여하여 실습생을 지도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상반기에 교육실습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5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했다. 총 9회 실시된 개인 면담에서 수집된 자료는 실습지도 경험의 다양한 측면에 근거하여 주제별로 부호화했고 유목화하는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최종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 지도는 교사에게 자신을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경험이었다. 실습생을 지도하면서 교사들은 바람직한 교사의 모습에 비추어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려 노력했고 실습생에게 비춰진 자신의 모습을 객관화하며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했다. 둘째, 교육실습 지도는 교사에게 다양한 구성원과 소통하며 협력하는 경험이었다. 교사들은 실습생과의 개방적인 소통을 통해 함께 가르치고 배웠으며 여러 동료들과의 협력하며 생산적인 공동체를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교육실습은 교사들에게 보람과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경험이었다. 교사들은 실습생과 정서적 교류를 나누고 이들의 성장을 지켜보면서 보람을 얻었다. 그리고 기관 내 여러 구성원과 학부모로부터 전문가로 인정받으며 자부심을 느꼈다. This study explored experiences of cooperating teachers who guided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ir practicum. The set of data was collected from nine individual interviews with five kindergarten teacher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operating teachers reflexively examined themselves and made a new leap forward. Second, the cooperating teachers communicated with pre-service teachers and many colleagues for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the practicum. Finally, the cooperating teachers took pride in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and in being regarded as a profession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diences of a cooperating teacher contributed to her/hi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n early childhood educator.

      • KCI등재

        200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영유아 교육 분야 실행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김예영(Kim Ye Yeong),곽영주(Kwag Young Ju),윤재희(Yoon Jaeh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영유아 교육 분야에서 출간된 실행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각 대학의 석·박사 학위 논문 23편과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학술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97편으로 총 120편의 영유아 교육 분야 실행연구 논문들이다. 분석기준은 시기, 목적, 주제, 방법으로 했으며, 방법 측면에서 구성원의 형태, 연구 방법의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시기별 분석으로서 지난 16년 동안 실행연구의 출간이 지속해서 증가해왔으며,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가장 많은 실행연구가 출간되었다. 둘째, 연구목적에 대한 분석으로 전문성 발달을 위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으로 개별교실 차원이 가장 많았고, 그중에서 교수·학습방법 탐색이 가장 높았다. 넷째,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으로 구성원의 형태는 공동연구가 단독연구보다 높았으며,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으로는 질적연구가 120편 중 113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영유아 교육 분야에서 실행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 및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in Korea from 2004 to 2019. 120 action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which were theses, 23 master s and doctorate papers at each university, and 97 research papers included in academic journals that registered and were going to register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analysis criteria were based on the study time, purpose, theme, method and in terms of method the members were classified by their form and research methods. First, as a result of the time when the studies were conducted, the publication of action research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over the past 16 years, with the largest number of action research published from 2016 to 2019. Second, as for the purposes of the studies,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ies aimed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Third, regarding research themes, the most dominant individual classroom dimension, Specifically, exploring the method of professors and learning was the highest. Fourth, in an analysis of research methods, form of the members were the joint studies outnumbered the studies conducted by single researchers, qual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113 of the 120.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 and right development plan for that in the future of domestic action researches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언어교육 관련 활동 분석

        구태미(Gu, Tae-Mi),유순이(Yoo, Soon-Yi),윤재희(Yoon, Jaehu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언어교육 관련 활동을 분석하여 현장에서 실제 진행되고 있는 언어교육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2,175개 활동에서 활동 목표가 언어교육과 관련된 562개 활동이다. 이 활동들을 내용범주별, 활동유형별, 통합영역별, 교수매체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서에 수록된 언어교육 관련 활동은 말하기 내용 범주에 속하는 활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듣기 내용 범주, 읽기내용 범주, 쓰기 내용 범주에 속한 활동의 순으로 많았다. 둘째, 언어교육 관련 활동의 유형은 모든 연령에서 동화?동시?동극, 이야기 나누기, 자유선택 활동의 언어 영역 순으로 많았다. 셋째, 언어교육 활동은 주로 사회관계 영역과 자연탐구 영역과 통합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언어교육 활동에 사용된 교수매체는 시각적인 매체가 가장 많았고 시청각과 청각 매체가 뒤를 이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e of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analyzing activities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contained in the Teacher’s Guidebook of the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three to five. Among 2,175 activities of Teacher’s Guidebook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hree to five, 562 activities with objectives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are the subject of analysis. The language activities were classified for each content category, activity type, integrated category and teaching media.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activities within the speaking category were the most for language activities, followed by listening comprehension,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Second, type of language activities listed on the instruction was shown for all ages in the sequence of story tale, children’s poetry, drama, story-telling, and language territory. Third, the language activities were mainly integrated with social relationship territory and nature search territory. Lastly, visual media was the frequently used teaching media used in the language activities, followed by visual &audio and audio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