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관점의 특허지능 시스템을 위한 특허의 대상제품 인지 방법

        윤장혁 ( Janghyeok Yoon ),고남욱 ( Namuk Ko ),김무진 ( Mujin Kim ),박영진 ( Youngjin Park ),최하영 ( Hayoung Choi ),이재민 ( Jae-min Lee ),송인석 ( Inseok Song ),전홍우 ( Hong-woo Chun ),고병열 ( Byoung-youl Coh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6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5 No.1

        특허는 일반적으로 적용대상 제품을 지니며, 따라서 특허가 적용대상으로 삼고 있는 제품들을 인지하는 것은 다양한 제품에 대한 발전분석 및 기업간 경쟁분석과 같은 제품관점의 특허지능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세계 최초의 제품 기반의 특허지능 시스템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기술기회발굴 시스템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 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특허문서 내에 존재하는 제품명들의 출현정보를 기반으로 제품의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분포 벡터와 특허의 IPC 분포 벡터를 추출한 후, 제품과 특허의 IPC 분포 벡터 간의 유사도 및 판별규칙을 활용하는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모형을 제시하고 표본특허들을 활용하여 제시된 모형들의 판별성능을 분석한다. 성능분석 결과, 제품명의 단순출현정보에 기반한 기존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모형에 비해, 제시된 절차를 통해 개발된 네 가지 모형들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높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특허의 대상제품을 인지하는 모형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니며, 향후 제품수준의 특허지능 시스템에 관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A patent has its intended target products, and thus, identifying target products of patents could become a basis for product-level patent intelligence systems that analyze firm’s competititive intelligence and developmental stages for multiple products. As part of developing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system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models for patent-product connection recognition. Based on the occurrences of product names in patent text, this study identifies product-IPC distribution vectors and patent-IPC distribution vectors. Then, we define patent-product connection recognition models, using similarities between pairs of patent and product IPC distributions and applying some recognition rules. As a result of performance tests, our proposed models showed a dramatic improvement in recognizing patents’ target products, compared to an existing recognition model. We expect that our approach, as the initial work to computationally recognize patents’ target products, will be a cornerstone for other later product-level patent intelligence systems and studies.

      • 상표데이터기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 활용사례 및 연구이슈

        윤장혁(Janghyeok Yoon),고남욱(Namuk Ko),정병기(Byeongki Jeong),최재웅(Jaewoong Choi) 대한산업공학회 2019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5 No.4

        A trademark is an intellectual property and recognizable sign, design, or expression that identifies goods and services of a particular business entity from those of others. Despite the application potential of trademark data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products and services firms are providing into the market, business intelligence that supports decision making with insight generated from trademark data remains an unexplored research area.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rademark data-based analytical studies, this study 1) introduces the trademark system and the trademark data structure, 2) presents simple but exemplary applications, such as competitive firm analysis and corporate business portfolio analysis, using the Korean trademark data, and 3) lastly discusses future research issues for trademark data-based business intelligence. We believe this study will contributes to follow-up research and researchers, by providing applications and research issues in the field of trademark data analytics.

      • 네트워크분석과 기술성장모형을 이용한 기술기획

        김정욱(Jungwook Kim),정병기(Byeongki Jeong),윤장혁(Janghyeok Yoon) 대한산업공학회 2016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2 No.5

        As technologies’ life-cycle shortens and their development directions are uncertain, firms’ technology planning capabilit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Prior patent-based studies using technology growth curves identify developmental stages of technologies, thereby formulating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s from an overall perspective. However, a technology generally consists of multiple sub-technologies and accordingly their development stages are likely various. In this regard, the prior studies failed to identify core sub-technologies and their specific development directions. Therefore, we suggest an approach consisting of 1) identifying core subtechnologies of a given technology using patent co-classification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2) identifying each sub-technology’s development stage and thereby determining its further development direction. We apply our approach to patents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It is expected that our approach will help identify evolving development stages for the core sub-technologies of a given technology, thereby effectively assisting technology experts in technology planning processes.

      • 특허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술 모니터링

        오승현(Seunghyun Oh),최하영(Hayoung Choi),윤장혁(Janghyeok Yoon) 대한산업공학회 2017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3 No.3

        Augmented reality (AR), which is a live direct or indirect view of a real-world environment combined with virtual objects, has grown rapidly owing to its wide application potential. Despite the growth of AR technology and its increased attraction,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identifying sub-technologies of this technology and their evolving trends based on the data encompassing industrial competition.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we collect AR-related patents granted until 2015 and then identify technology topics constituting AR technology by applying topic modeling to the patents’ textual data. Subsequently, this study determines dynamic evolving trends with respect to those identified technology topics using indicators and maps based on the technology topics’ patents and citation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wofold; it provides an overall understanding of AR technology’s evolving trends based on text mining of AR patents and will assist technology experts in academia and industry in determining further R&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특허의 토픽 진화분석을 통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발전 경로 추적

        김유성 ( Kim Yuseong ),최재웅 ( Choi Jaewoong ),윤장혁 ( Yoon Janghyeok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1 지식재산연구 Vol.16 No.1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주변에 소실되는 에너지를 사용 가능한 전력 형태로 변환하는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 방식으로, 환경적·기술적 필요성 아래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반면,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발전 흐름이나 동향에 대한 계량적 분석 연구는 적은 관심을 받고 있므며, 소수의 선행연구들은 특정 기술에너지원, 변환방식 관점에서의 제한적인 기술 동향을 다루었다. 본 연구는 전체적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 관련된 대량의 특허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반적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발전 동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특허 정보 기반의 토픽 진화분석을 통해, 시간에 따라 발전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계량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특허에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세부 기술요소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기술요소 간 연계성 및 부상 시점을 특허 정보를 기반으로 계량화하고, 기술 진화 맵을 생성한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기술진화 맵은 다양한 세부 기술요소들이 시간에 따라 등장하고 상호작용하며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를 통해,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초기에는 주변 에너지나 효율적인 변환방식에 관한 기술적 연구가 진행되었고, 최근에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다른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응용 연구가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에너지 하베스팅 연구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발전 동향을 이해하고, 최근 발전 양상까지 모니터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which converts ambient energy present in the environment into usable power forms, has received steady attention under environmental and technical necessity. Few existing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specific technical energy support or conversion methods, dealing with limited technical trends. This study analyzes the overall development trend based on a large amount of patent data. This study quantitatively addresses the development pathways over time through a patent information-based topic evolution analysis. This study defines detailed technical elements by applying topical modeling to the text of collected patents. Next, the connection between technology elements is quantified using inventor, citation,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emerging time points of each technology element are defined based on forward citation information, and a technology evolution map is generated. The technology evolution map shows that various detailed technical elements emerge, interact, and develop over tim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ies on ambient energy and efficient conversion method were active in the beginning,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in other areas were recently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in related academia understand the trends in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and monitor the latest development trends.

      • KCI등재

        산업분류별 연구개발의 특허성과 시차분석에 관한 연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제갈용승 ( Jegal Yongseung ),이지호 ( Lee Jiho ),윤장혁 ( Yoon Janghyeok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2 지식재산연구 Vol.17 No.3

        국가 R&D 투자와 성과 사이에는 시차가 존재한다. 이에 국가 R&D 과제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문헌조사에 기반하여 R&D 투자와 성과 사이의 시차를 정의하였다. 하지만 시차를 정성적인 방법으로 정의한 부분은 모든 선행연구에서 공통적 한계점으로 언급되었으며 시차분석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국가 R&D 특허 성과 데이터와 산업-특허 연계표에 기반한 산업별 R&D 시차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산업별로 성과발생 시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산업별 시차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추후 R&D 성과에 대한 평가 시 시차를 반영하는 방법론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산업별 R&D 성과 발생 시차를 제시하기 때문에 국가기관 및 부처별 정책 입안자가 국가 R&D 사업의 정책과 로드맵을 설정하는 데 유의미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t is obvious that there is a time lag between a national R&D project and its results(R&D time lag). Previous studies using national R&D data assumed the R&D time lag based on a survey or a literature study, while most of them mentioned the importance of quantifying R&D time lags. For this reason, this study quantifies R&D time lag identification, using Korean national R&D patents and the KSIC-IPC concordance. As a result, R&D time lags by industry were identified an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R&D time lag by industry classification. We expect that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in R&D policy-related studies that consider R&D time lags among different industries. In addition, policy makers in national institutions can refer to the identified R&D time lags when evaluating national R&D projects or establishing R&D roadma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