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립선암의 세기조절 방사선치료 시 불균질부에 의한 선량변화에 관한 고찰

        윤일규,박장필,이제희,박흥득,Yoon, Il-Kyu,Park, Jang-Pil,Lee, Jae-Hee,Park, Heung-Deuk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e pelvic phantom was fabricated in the following purposes: (1) Dose verification of IMRT plan using Eclipse planning computer, (2) to study the interface effect at the interface between rectal wall and air. The TLD can be inserted in the pelvic phantom to confirm the dose distribution as well as uncertainty at the interface. Materials and Methods: A pelvic phantom with the dimension of 30 cm diameter, 20 cm height and 20 cm thickness was fabricated to investigate the dose at the rectal wall. The phantom was filled with water and has many features like bladder, rectum, and prostate and seminal vesicle (SV). The rectum is made of 3 cm-dimater plastic pipe, and it cab be blocked by using a plug, and film can be inserted around the rectal wall. The phantom was scanned with Philips Brillance scanner and various organs such as prostate, SV, and rectal wall, and bladder wall were delineated. The treatment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are the same as those used in the protocols in the SNUH. TLD chips are inserted to the phantom to evaluate the dose distribution to the rectal wall (to simulate high dose gradient region), bladder wall and SV (to simulate the high dose region) and 2 spots in anterior surface (to simulate the low dose region). The TLD reading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lanning computer (ECLIPSE, Varian, USA). Results: The target TLD doses represented as the prostate and SV show excellent agreements with the doses from the RTP within +/-3%. The rectal wall doses measured at the rectal wall are different from the those of the RTP by -11%. This is in literatures called as an interface effect. The underdosages at the rectal wall is independent of 3 heterogeneity correction algorithm in the Eclipse RTP. Also the low dose regions s represented as surface in this study were within +/-1%. Conclusion: The RTP estimate the dosage very accurately withihn +/-3% in the high dose (SV, or prostate) and low dose region (surface). However, the dosage at the rectal wall differed by as much as 11% (In literatures, the underdosage of 9$\sim$15% were reported). This range of errors occurs at the interface, for example, at the interface between lung and chest wall, or vocal cord. This interface effect is very important in clinical situations, for example, to estimate the NTCP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and to estimat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TP system. Monte-carlo-based RTP will handle this issue correctly.

      • KCI등재

        초·중등 SW 교육 현황 및 추이 분석 : 교육정보화 실태조사(2014-2016)을 중심으로

        윤일규,김한성,Yoon, Ilkyu,Kim, Hansu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우리나라의 전체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조사되고 있는 '교육정보화 실태조사'의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국내 SW 교육 준비 현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화 실태조사 지표인 인적, 물적, 활용 지표 중 SW 교육과 관련된 지표를 추출하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개년 간의 국내 교육정보화 수준의 추이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교과를 담당하는 전체적인 교사 수는 3개년 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중학교의 정보 교과 담당교사 중 정보 컴퓨터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 비율은 2014년(71%)부터 2016년(54%)까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타교과로 이동하는 정보 컴퓨터 전공 교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예산 및 인프라와 관련한 추이 분석 결과, 2014년부터 초 중등 학교운영비 대비 교육정보화 예산의 총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의 정보(컴퓨터) 관련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비율은 2015년 87.7%, 2016년 84.6%로 낮아졌으며, 중학교의 정보(컴퓨터) 교과 교육 운영 학교 비율 또한 2014년 34.8%, 2015년 30.8%, 2016년 28.2%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 중등 공교육 현장에 SW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bjectively the current state of preparation of SW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of educational technolog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hich is investigated periodically every year.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indicators related to SW education from educational technology level indicators such as human, material, and utilization and analyzed the change in the level of domestic educational technology level from 2014 to 2016.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atio of teachers who have informatics teacher certificates among middle school informatics teacher is continuously decreasing from 2014(71%) to 2016(54%), and the number of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informatics teachers moving from informatics subject to other subjects is steadily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aradoxical situation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teachers in informatics subject is continuously increasing for three years. Secondly, the total amount of ICT related budget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since 2014. Thirdly, The ratio of informatics(computer) related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dropped to 87.7% in 2015 and 84.6% in 2016. Also, the ratio of informatics subject operating school in middle school is gradually decreasing from 34.8% in 2014, 30.8% in 2015, and 28.2% in 201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for stable settlement of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public education field.

      • Track 4 융합교육 : 루시드 차트를 활용한 추상화 수업 설계 및 적용

        윤일규 ( Il Kyu Yoon ),이시내 ( Ci Ne Lee ),이원규 ( Won 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2

        추상화는 컴퓨터 과학의 핵심적인 개념일 뿐만 아니라, 컴퓨터 과학 관련 내용일 이해하고 수준 높은 이해를 위해서는 반드시 학습자들이 갖추고 있어야 하는 능력이다. 수학 교과에서는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추상화 과정을 분석하고, 수학적 추상화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는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초중등 학습자들의 추상화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습자들이 추상화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루시드 차트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실시간 협업을 통한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들의 추상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컴퓨터활용교육 : ALTERA Development and Education Board를 이용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디지털 논리회로 교수-학습전략 제안

        윤일규 ( Il Kyu Yoon ),강세현 ( Se Hyun Kang ),김사무엘 ( Samuel Kim ),전승원 ( Seung Won Jeon ),주현준 ( Hyun Jun Ju ),홍광표 ( Gwang Pyo Hong ),서태원 ( Tae Won Seo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5 No.1

        디지털 논리회로는 정보 교육 분야에서 핵심적인 교과목 중 하나로써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논리회로 학습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효과 성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디지털 논리회로에 대한 연구가 학습에 활용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이나 시뮬레이터 개발에 집중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LTERA Development and Education Board를 활용하여 문제중심학습(PBL)기반 디지털 논리회로 교수-학습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PBL 기반의 디지털 논리회로 교수-학습 전략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핵심 역량 중심 평가 문항 개발 위한 “정보” 교육과정 탐색: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윤일규 ( Ilkyu Yoon ),이원규 ( Won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1

        전 세계적으로 핵심 역량 중심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습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의 개혁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보교과 학습을 통해서 기대할 수 있는 IT 역량은 학습자들의 창의·융합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지식정보화 사회를 주도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 역량 중심의 정보교과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ACM의 IT 역량에 기초하여 2015 개정 중학교 정보교과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분석하였다.

      • 인공지능(AI)교육 니즈 분석을 통한 정책 활성화 방안

        윤일규(Yoon IlKyu)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2014년부터 학교 현장의 SW·AI교육 확산 및 현장 안착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추진해 왔다. 2021년부터 새롭게 시작된 인공지능(이하, AI)교육 선도학교 사업은 학교 중심의 우수 AI교육 교수학습모델을 발굴·확산하고, 지역 중심의 AI교육 확산을 위한 거점 역할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AI교육 선도학교 소속 교사, 수혜학생, 학부모 대상 실태조사 및 효과성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현장 밀착형 AI교육 활성화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중등 학부모의 정보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한 정보교과 공교육 정착 방안 탐색

        윤일규 ( Ilkyu Yoon ),김현철 ( Hyeoncheol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핵심 주체인 초·중등 학부모의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정보’ 교과의 공교육 현장 적용으로 인해 발생가능 한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의점과 안정적인 공교육 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K대학교의 SW교육 가치확산을 목적으로 운영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습자 대상 SW 캠프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정보’ 교육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정부의 SW인재양성정책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나, 정부에서 추진 중인 SW인재양성 정책의 시의성과 교육 정책 수립 및 지원에 대해 불신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정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으며, 고등학교에서도 정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현행 ‘정보’ 교육 시수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 교육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선행 요인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전문 역량을 갖춘 교원확보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중등 공교육 현장에 ‘정보’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on ‘Informatics’ education to solve the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can occur due to the application of mandatory ‘Informatics’ subject and find the stable public education settlement plan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on ‘Informatics’ education for par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ho participating the SW education camp in K univers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show high interest in the SW edu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but they are showing distrust about the timeliness of the actual SW education policy and the suppor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econdly, both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showed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y recognized that ‘Informatics’ education should be done in high school. Thirdly, par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at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Informatics’ education and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to secure teachers with professional competence as a leading factor for stable settlement of ‘Informatics’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stable settlement plans in public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Track 6 정보윤리 및 정보보호 : 대학생의 개인정보보호교육을 위한 CEDA(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토론 모델 적용

        윤일규 ( Il Yu Yoon ),이원규 ( Won 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9 No.2

        개인정보보호교육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교육내용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유형의 개인정보 침해 사례에 노출되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개인정보보호교육이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해 대학생들이 깊이 있게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를 직접 탐구함으로써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지식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아카데믹 토론 모델인 CEDA 토론 모델을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개인정보보호 요소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총 다섯 개의 논제를 도출하였다. 이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한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스마트 기기 기반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이후 초등 영재들의 수준에 따른 IT 융합 학습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윤일규(Il-Kyu Yoon),장윤재(Yun-Jae Jang),정순영(Soon-Young Jeong),이원규(Won-Gyu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5

        본 논문에서는 초등 영재들의 IT 융합 학습을 위한 스마트 기기 기반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스마트 기기 기반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이후 초등 영재 수준에 따른 IT 융합 학습에 대한 만족도와 기대-가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초등 영재들의 IT 융합 학습을 위한 스마트 기기 기반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은 WTEC에서 제안한 인간 융합 과정을 기초로 설계하였으며, 초등 영재들이 실질적인 IT 융합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창의성 단계, 통합 단계, 혁신 단계, 산출 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스마트 기기 기반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 126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스마트 기기 기반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초등 심화 집단과 초등 기초 집단 모두 높은 수업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등 심화 집단의 수업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 심화 집단이 초등 기초 집단에 비해 IT 융합 학습에 대한 기대-가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IT 융합 학습과 로봇 활용 교육을 분석한 관련 연구를 제시하였으며, 3장에서는 실제 스마트기기 기반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연구 과정을 기술하였고, 4장에서는 실험 수업 결과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smart device based robot programming education program and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s such as satisfaction, Expectancy-Value of IT convergence learning after the robot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elementary gifted students’ level. Smart device based robot programming education program designed based on schematic of the convergence suggested by WTEC and consist of creative phase, integration/fusion phase, innovation phase, outcome phase for learning practical process of the IT convergence. We are conducting a smart device based robot programming education class to consist of 126 gifted students and analysing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result, core and advanced students’ perception on satisfaction score shows also high. However, advanced level students’ satisfaction score shows higher than core students’ satisfaction score. Also, advanced level students’ expectancy-value score on IT convergence learning shows higher than core students’ score.

      • 전국민 양질의 AI교육 기회 제공을 위한 AI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윤일규(Yoon, IlKyu),조향숙(Cho, HyangSook),이현숙(Lee, HyunSook),김종범(Kim, JongBum),나찬열(Na, ChanYeol)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B)

        2019년 12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된 「AI 국가전략」에서는‘모든 국민이 AI를 잘 활용하는 나라’를 추진전략으로,‘직군별 AI 기술감수성 함양, AI 평생교육체계화’를 추진과제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추진과제 달성을 위해서는 AI시대 모든 국민의 AI 활용 능력과 이해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 전략과 지원 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즉, AI에 따른 사회 혜택에서 배제되거나 불이익을 받는 국민이 없도록 사회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세대·직군 등을 망라하는 범국가적인 양질의 AI교육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코로나 19 이후 뉴노멀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든 국민의 AI 활용 능력과 이해력을 향상하기 위한 전국민 AI 교육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첫째, 전 국민이 갖추어야 할 AI 역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AI 전문가 및 AI 관련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Delphi) 조사과정과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AI 핵심역량은 적응력, 공익적 사고, 창의융합적 사고, 협업 능력, 컴퓨팅 사고, 인공지능 소양 등 6가지이다. 둘째, 전국민 양질의 AI교육 기회 제공을 위한 ‘전국민 AI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전국민 AI교육 가이드라인은 AI의 발전에 따른 급격한 사회 변화에 적응하고, AI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활, 직업 등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안하는 가이드라인은 AI시대를 영위하기 위한 AI 기술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윤리적 활용을 핵심 영역으로 다룬다. 전국민 AI교육 가이드라인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비이공계 전공자), 대학교(이공계 전공자), 일반인 수준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인공지능 이해, 인공지능 적용, 인공지능 윤리의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전국민 AI교육 가이드라인’은 AI 시대를 영위하기 위해서 모든 국민이 AI 기초 소양, AI 활용 능력, AI 윤리 의식을 함양하고 AI 기초 개념과 원리, 다양한 AI 모델 활용을 바탕으로 당면한 분야의 문제를 창의·융합적이며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