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중 ‘날씨’ 공기(co-occurrence) 요소 비교 분석

        윤유정 ( Yun Yujeong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0 중국언어연구 Vol.0 No.90

        Based on the t-scores derived using Text-mining based on Korean and Chinese corpus, this paper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 phenomena through general nouns, verbs, adjectives, and adverbs in Korean and Chinese.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Korean and Chinese share common ground with elements indicating “external” and “sea” for “Place”. However, while the Korean language is co-occurred with elements that indicate a particular space or range or direction, the Chinese language is co-occurred with elements that indicate a wide range of places or directions. Second, for “Time”, the Korean language is often co-occurred with elements indicating seasons or time zones, but the Chinese language is mainly co-occurred with elements indicating certain times, such as anniversaries, holidays, events and holidays. Third, for “Specification”,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the same co-occurred with specification elements related to rain, wind, snow, temperature, and air, but if you look specifically, the generic word for Korean appears mainly, but there is a difference that hyponym that represent more specific classifications often appear in Chinese.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often shows the amount of clouds, the amount of sun radiation, and the amount of evaporation, but the Chinese language often shows the amount of air quality. Fourth, for the verbs, the Korean language often has verbs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ut the Chinese language has differences in the appearance of verbs related to the weather forecast or viewing.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Chinese, which pays attention to the suitability of the weather for certain activities, although Korean pays attention to the dress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Fifth, for the adjectives,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often co-occur with adjectives that indicate weather conditions. Sixth, for the adverb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language, which Korean often co-occurs with “Degree Adverb” but Chinese often co-occurs with “Time Adverb”.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영 변환 모형 산포형태모수와 두 적합도 검정통계량 사이의 유사성 비교

        윤유정,김홍기,Yun, Yujeong,Kim, Honggie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3

        통계청 인구총조사의 출생아 수 자료는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산 자료이며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의 출산정책 결정 및 그 기대효과 분석의 기반이 되는 자료이다. 출생아 수 자료 분석에 있어서 포아송 모형 등 가산 모형이 우월하다는 선행 연구결과에 의하여 가산 모형을 통한 자료 분석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 때 가산 모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아송 모형은 균등상포라는 제한적인 가정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출생아 수 자료 분석에 이 포아송 모형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정보의 손실과 편향추정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hosh 와 Kim (2007)은 영 과잉과 부족으로 인한 과대산포와 과소산포를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영 변환 모형 (zero-altered model)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Ghosh 와 Kim (2007)의 영 변환 모형을 적용하여 실제 출생아수분포에서 영 변환 모형의 산포형태모수 ${\delta}$를 도출하고 그 역할에 대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관측분포에서의 산포형태모수 ${\delta}$와 이론적분포와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적합도 검정통계량과의 유사성을 확인한다. We often observe count data that exhibit over-dispersion, originating from too many zeros, and under-dispersion, originating from too few zeros. To handle this types of problems, the zero-altered distribution model is designed by Ghosh and Kim in 2007. Their model can control both over-dispersion and under-dispersion with a single parameter, which had been impossible ever. The dispersion type depends on the sign of the parameter ${\delta}$ in zero-altered distributio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e role of the dispersion type parameter ${\delta}$ through the data of the number of births in Korea. Employing both the chi-square statistic and the Kolmogorov statistic for goodness-of-fit, we also explained any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distribution and the observed one that exhibits either over-dispersion or under-dispersion. Finally this study shows whether the test statistics for goodness-of-fit show any similarity with the role of the dispersion type parameter ${\delta}$ or not.

      • 이러닝 환경에서 사용자 적응형 인터페이스 연구

        박민재(Minjae Park),강주희(Juhee Kang),윤유정(Yujeong Yun),최호양(Hoyang Choi),박성원(Seongwon Park),조광수(Kwangsu Ch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인터넷 동영상 강의는 이러닝의 대표적인 강의 방식으로 많은 학습자들이 이를 이용한다. 이러한 강의형태의 가장 큰 장점은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학습자는 동영상 미디어의 조작이 가능하고, 강의 속도, 진도등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학습자는 대체로 미디어에 일시정지 및 뒤로가기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러나 잦은 강의 속도 조작은 자기 주도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동영상 학습 시, 필기를 위해 고개를 내리면 강의 속도가 자동으로 느려지는 기능을 제안하여 학습 중 필기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나아가 기능에 대한 실험을 통해 최종적으로 디바이스까지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은 10명의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학습 환경과 고갯짓에 따라 강의 속도가 변화하는 학습 환경을 비교하여 행하였다. 실험 간에 사용자와의 면담, 뒤로가기 및 정지버튼의 누른 횟수, 필기의 양과 질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피험자는 고갯짓에 따른 재생속도 자동조절 환경에서 더 많은 필기를 할 수 있었으며, 재생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른 직접조작을 행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고갯짓에 따른 강의 재생속도 자동조절 기능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As the ‘E-learning’ has been spread across the world, a number of online learner has grown dramatically. Nowadays, it is common to have access to lectures via online in all of the schools. The biggest benefit of E-learning is for learners to do "self regulated learning" such as controling video contents, speed of lectures and learning progress. However, it can be the interruptions, as the learners often handle the video too much during study. In this paper, we suggest a function such that when the learner drops down his/her head while taking a note, the speed of video player slows down. In this way, learner is supported to write a note easily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such as pause, backward. We test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esented function, by comparing the normal learning condition in common with those with wearing head mounted devices which is controlling speed of media. In our experimental result, subjects, learning in environment with speed control function, was able to do note taking more effic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