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대목간의 형태와 종류

        윤선태 한국역사연구회 2007 역사와 현실 Vol.- No.65

        Due to the presence of Four regional ruling bodies that had been dispatched from the Chinese Han dynasty to the Korean peninsula, the culture of creating and using the so-called ‘wooden tablets(목간)’ were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round B.C. 1st century. And during A.D. 3rd and 4th centuries, file-type, tablets-bound book materials(편철간형식전적류) and wooden tablets used as documents(문서목간) were used and circulated inside the Goguryeo and Baekjae societies, as a tool of enhancing the Koreans’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culture and reinforcing the governments’ ruling authoritie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tablet culture thrived in the ancient societies of Korea, is that multi-sided wooden tablets(多面木簡) seem to have been used much more frequently, than they were in ancient Japanese societies(as they are being excavated in much larger quantity in Korea than in Japan). While China is famous for its ‘file-type bound-tablets(편철간)’ of the Han dynasty period, and Japan shows its own ‘small size wooden tablets(短冊形木簡)’, Korea can be said to have had a unique culture of ‘multi-sided wooden tablets’. These multi-sided wooden tablets show us what kind of status the Korean culture would have occupied in the ancient East-Asian culture of wooden tablets. Once all the important elements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forms and usages of the wooden tablets are inventoried under a specific system, we can trace the entire life-span of a specific wooden tablet, from its creation to its abolishment. From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various types of wooden tablets including file-type bound-tablets, multi-sided tablets, cylinder-shaped tablets, square-shaped tablets, tag-like tablets, and tablet fragments have been found and recognized. These various types of tablets a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as books, documents, portable materials, inventory tags and also for miscellaneous purpo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尙州 伏龍洞 256번지 유적 출토 新羅 蠟石製 銘文遺物

        尹善泰 한국목간학회 2008 목간과 문자 Vol.2 No.-

        尙州 伏龍洞遺蹟은 상주지역에서 처음으로 조사된 대 규모 취락유적으로 統一新羅부터 朝鮮時代까지 이어지는 地方都市의 구조와 생활상을 잘 보여준다. 특히 통일 신라시기 상주의 고대도시적 면모를 복원 연구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큰 중요한 생활유적 이다. 출토된 遺物 중 銘文이 있는 것이 다수 확인되었는데 그 중 ‘沙伐州?’ 등이 기록된 蠟石製 유물은 신라 下代 상주지역 地方豪族의 의식세계와 신라 借字表記의 발달과정도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新羅 中代의 成典寺院과 國家儀禮 - 大ㆍ中ㆍ小祀의 祭場과 관련하여 -

        尹善泰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2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

        신라 중대에 성립한 成典寺院은 王室이나 國家의 安寧을 기원하는 祈福處로서 여러 國家儀禮의 거행장소였다. 이 성전사원들은 四天王寺(남), 奉聖寺(북), 靈廟寺(서), 皇福寺→奉德寺(동), 永興寺(중앙) 등으로, 왕경의 사방과 중앙에 의도적으로 배치되었다. 이곳은 왕경과 지방을 연결하는 접점으로서 신라 국토 전체를 상징한다. 중대왕권은 三山, 五岳 등 각 지방에서 베풀어진 大ㆍ中祀와 함께, 왕경의 성전사원에서도 의례를 거행하여 지방과 중앙을 연결하는 천하통합의 이미지를 구현하였다. 한편 三山에 대한 大祀에는 金姓始祖 味鄒王이 配位되었는데, 성전사원이 특정 왕을 위해 건립되었다는 표현은 大ㆍ中祀儀禮 시의 配位와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신라의 국가의례는, 唐禮의 체제를 수용하였지만, 내용 면에서는 중고기 이래 祭天儀禮적인 요소를 불교의례를 통해 의연히 保持하려 한 특색이 있다. The mid-Silla monarchy conducted major and secondary national ceremonies ar Royal Memorial Temples(成典寺院) in the capital, along with those at various localities, including the Three Mountains(三山) and the Five Peaks (五岳). It thereby promoted an image of national unity linking the local regions with the central government.

      • 木簡으로 본 新羅 王京人의 文字生活

        윤선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7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

        월성해자목간은 6~7세기에 작성된 목간으로서, 간단한 메모를 기록한 목간이나 부찰목간이 많이 출토된 8세기의 안압지목간과는 달리, 다면목간, 원주형목간을 이용해 작성한 문서목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종이보급도가 낮았던 6~7세기 당시에 다면ㆍ다행목간을 관청장부나 행정문서용으로 많이 사용하였던 신라의 서사환경(書寫環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목간은 신라의 한자수용과정과 이두의 발달과정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앞으로 월성해자목간, 안압지목간을 서로 비교하여 신라 문자생활의 지표로서 자리메김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Weolseong palace's moat(WSWM) seem to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6th and 7th centuries, and unlike the Anab-ji lake's wooden tablets, which should have been produced in the 8th century and featured only brief memos upon them, they show many samples that have a lot of pages('多面') or at least many lines('多行') upon them. Paper was still not considered an ordinary issue during the 6th and 7th centuries, so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offices would have had to use such wooden tablets equipped with many pages or lines to establish office registers or official documents. On the other hand, Wooden tablets is an item which lets us see the 'Idu' letters of the Silla dynast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official documents. In the future, the wooden tablets found from the Weolseong palace's moat and the Anab-ji lake should be put under comparative studies, and established as evidences of the Silla people's usage of letters and documents in their ordinary lives.

      • 『三國遺事』 紀異篇 ‘元聖大王’條의 가치 -신라 ‘下古’시기의 정치구조와 그 함의-

        윤선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7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

        신라사에서 ‘下代’라는 시기구분은 혜공왕대에 일어난 일련의 반역이 ‘中代’의 專制主義를 배격하고 ‘上代’의 귀족연합적 정치형태를 복구하려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는 故이기백 先生의 인식과 관련하여 특화된 역사상이다. 본고는 신라의 하대가 과연 중대의 정치체제에 대한 ‘안티(Anti)’로서 등장한 ‘凡奈勿系’의 傍系貴族들이 연합 내지 연립한 시대였는가, 그 여부를 타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대사회는 신문왕 이후 태종의 아들들과 사위들, 그리고 그들의 직계들이 ‘第一骨’이라는 신분의식을 표출하며 폐쇄적인 결혼관계를 통해 정치권력을 독점했던 ‘上宰相’ 중심의 새로운 정치체제가 구조화된 시기였다. 하대를 개창한 김양상(선덕왕), 김경신(원성왕), 그리고 김주원 역시 이러한 제1골의 아들들이며, 이들 세력의 연합체제 역시 중대가 만들어낸 권력적 지형을 벗어나지 않았다. 원성왕의 즉위에 ‘萬波息笛’의 설화가 부활한 것도 상징적이지만, 헌덕왕이 안홍, 원효, 의상 등 중대권력의 불교이데올로그들을 다시 복권하는 추승사업을 벌여나간 것, 또 5묘제의 神位에서 태종과 문무왕을 不毁之宗으로 설정한 점 등 하대 왕권은 태종무열왕의 적통자임을 내외에 과시하였다. 필자는 신라의 전개과정에 대해 적어도 정치체제의 면에서는 중고기의 불교 왕권에서 하고의 유교 왕권으로의 전이로 구분하는 『삼국유사』의 ‘三古’ 구분법에 주목해야한다고 보고 있다. 신라 멸망의 원인도 중고기의 진골연합체제보다 더욱 폐쇄적인 중대의 제1골 중심의 정치체제에서 이미 배태되었고, 하대에 들어서 서는 그러한 모습이 더욱 고착화되어 진골간의 파행적인 권력쟁투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하대를 연 원성왕계는 중대 정치체제의 충실한 계승자였다. 원성왕계는 중대의 제1골 중심의 권력구조가 갖고 있는 모순을 깨닫지 못하고 이를 더욱 확대 재생산하였다. The period division called the later period of Silla is based upon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related to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late historian Lee Gi-Baek who argued that the series of insurrections in the age of King Hyegong had had the tendency to reject autocracy and return to the age of aristocratic coal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later period of Silla was indeed the age when those collateral aristocrats in the pan-Naemul clique formed allied or coalition regime to rebel against the political system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The middle period of Silla was the age when the new political system led by Sangjaesang, where the sons and sons-in-law of King Sinmun and their lineal family members expressed the awareness of a social rank called Jeilgol and monopolized political authority through closed marriage relations, was structured. Kim Yang-Sang (King Seondeok), Kim Gyeong-Sin (King Wonseong) and Kim Ju-Won were also the sons of Jeilgol, and their allied regime was not quite different from the power structure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While it was symbolic that the Manpasikjeok tale reappeared when King Wonseong ascended the throne, the royal authorities in the later period of Silla boasted that they were indeed true descendants of King Taejong Muyeol: King Heondeok posthumously reinstated Buddhist ideologues including Anhong, Wonhyo and Uisang; King Taejong and King Munmu were designated as ancestral tablets for five memorial services (Bulhwejijong). It is thought that,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Silla,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three age classification method of Samguk Yusa where the Silla period was divided as the result of transition from Buddhist in the middle era of Silla to Confucian royal authority in the later era of Silla at least in the aspect of political system. The signs for fall of Silla started to appear under the more closed Jeilgol-centered political system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than the Jingol-centered coalition in the middle era of Silla and became more prevalent in the later period of Silla, which inevitably incited irregular power struggle among the Jingol cliques. The King Wonseong clique, which finally opened the later period of Silla, was a faithful successor to the political system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They didn't realize the contractions that Jeilgol-centered power structure had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and reproduced them on an enlarged scale.

      • KCI등재

        新羅의 初期 外位體系와 ‘及伐尺’

        윤선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동국사학 Vol.61 No.-

        『三國史記』직관지 外位條에는 干 아래에 一伐, 一尺, 波旦, 阿尺의 등급만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진흥왕대에 작성된 함안 성산산성 출 토 신라목간에서 ‘及伐尺(急伐尺)’이라는 새로운 외위 등급이 보고되었다. 또 ?봉 평리비?(524년)에서도 종래 ‘居□尺’으로 판독한 글자는 ‘居伐尺’으로 읽을 수 있는 데, 이 역시 ‘及伐尺’의 異表記라는 점에서 ‘급벌척’이라는 외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출토문자자료의 발굴과 기존 금석문의 재판독을 통해 ‘급 벌척’이 신라 외위 등급 중의 하나였음을 분명히 알 수 있게 되었다. 외위의 사례가 가장 풍부한 10개의 「남산신성비」(591년)에서 급벌척이 전혀 확인되지 않고 있고, 또 문무왕 13∼14년 외위제가 소멸될 무렵의 상황을 전하는 『삼국사기』에도 급벌척이라는 등급이 전혀 언급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급벌척 은 법흥왕∼진흥왕대에 기능했던 초기의 외위제 등급이었다고 생각된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를 비롯해 진흥왕대의 자료로 추론해볼 때, 초기의 외위체계는 干 아래에 一伐, 一尺, 波旦, 阿尺, 沙尺, 及伐尺, 一今智의 등급으로 서열화 되어 있었다. 이러한 등급구성은 ‘干支/一今智’라는 「냉수리비」(501년) 단 계까지 기능했던 지방인 위호체계가 사라지지 않고 퇴행적 잔재로 여전히 남아있 는 상태에서, 법흥왕대의 율령에서 확립된 一伐, 一尺, 波旦, 阿尺, 沙尺, 及伐尺의 새로운 외위체계가 병존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후 一今智는 곧 소멸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사척이나 급벌척 등 최하위의 외위 관등 역시 삼국의 항쟁 이 격화되고 지방인의 군사활동 등 정치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지방인에 대한 국가 적 포상이 폭증하는 외위 관등 사여의 인플레 현상 속에서 진평왕대 이전에 소멸 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KCI등재

        「新羅村落文書」의 작성연대에 관한 종합적 고찰

        윤선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2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on the record date of Silla Village Register (SVR 新羅村落文書) discovered in the Shoso-in(正倉院) at Nara in Japan. Centered on the circulation of the Buddhist-sutra, Hwaumkyeong-ron(華嚴經論) during the Nara to Heian in Japan and Calendar of the Zhou(周) Dynasty from A.D. 689 to A.D. 700 in China, the SVR was completed in the 4th year of King Hyoso(695 A.D.). I searched for the origin and extinction of calligraphy Chinese character ‘cheo(妻)’,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ern Wei(Northern Dynasties) and Tang(唐) calligraphy. I considered the SVR, focusing on its record date and use, was completed in the 4th year of King Hyoso(695 A.D.), and taking a census of the village subordinated to the royal household. 촌락문서는 폐기된 후 華嚴經論 의 ‘제7질’을 만드는데 재활용되어 일본 東大寺의 正倉院에 입고되었다. 이 경질의 쇼소인 입고과정을 소상히 담고 있는 正倉院文書 와 東大寺要錄 등을 분석하고, 고대 일본의 華嚴經論 유통상황을 아울러 고려해볼 때, 이 경질은 신라학승인 審詳(審祥)이 소장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촌락문서의 작성연대는 서원경이 설치된 685년과 심상의 몰년 하한인 751년 사이의 ‘을미년’인 695년이라고 할 수 있다. 신라에서는 唐의 勅令에 따라 744년부터 758년까지 ‘年’이라는 글자 대신에 ‘載’라는 글자를 엄격히 사용하였다. 그런데 촌락문서에는 ‘年’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755년은 문서의 작성연대가 될 수 없다. 한편 則天武后는 국호를 당에서 ‘周’로 고치고, 永昌元年(689) 11월을 載初元年 正月로 바꾸는 歲首 변경을 단행하였다. 이 조치로 기존의 正月은 ‘一月(壹月)’로 바뀌었고, 이는 700년까지 지속되었다. 三國史記 로 알 수 있듯이, 신라도 이 측천무후의 周曆을 채택하였다. 그런데 촌락문서의 D촌에는 ‘甲午年壹月’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壹月’ 표기는 촌락문서의 작성연대가 695년임을 무언으로 알려주고 있다. 한편 촌락문서에는 ‘妻’라는 글자가 <事 아래에 女>를 쓴 ‘’라는 독특한 異體字로 기록되어 있다. 촌락문서 전후의 고대동아시아 자료 속에서 이 처의 이체자가 출현하고 소멸해간 추이를 보면 촌락문서의 작성연대가 8세기로 내려갈 수 없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종래 촌락문서의 작성연대에 대해서는 695년설, 755년설, 815년설 등이 제기된 바 있지만, 처의 서체로 볼 때도 695년이 합당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