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lysis on the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Tangential Breas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윤미선,김용협,정재욱,남택근,안성자,정웅기,송주영,Yoon, Mee Sun,Kim, Yong-Hyeob,Jeong, Jae-Uk,Nam, Taek-Keun,Ahn, Sung-Ja,Chung, Wong-Ki,Song, Ju-Young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2 의학물리 Vol.23 No.4

        기존의 쐐기(wedge) 필터를 사용하는 접선조사(tangential irradiation) 방식의 일반적인 유방암 방사선치료와 동일한 접선 조사야(filed)를 사용하면서 쐐기 필터를 삽입하는 대신 다엽콜리메터의 움직임을 통해 치료부위의 선량분포를 균일하게 형성토록 하는 접선 세기조절 방사선치료(tangential breas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T-B IMRT)가 유방암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B IMRT치료계획에서 계산된 선량분포를 기존의 쐐기 필터를 사용한 일반적인 접선조사 방식의 치료계획과 비교하여 치료표적 및 중요장기에서의 선량분포 측면에서 T-B IMRT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실제 T-B IMRT치료 빔 조사 시 선량 측정 및 치료계획 결과와의 오차 분석을 통해 선량 분포의 정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쐐기필터를 이용한 접선조사 방식으로 치료한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T-B IMRT치료계획을 세운 후, 계산된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T-B IMRT치료계획에서 치료표적 부피 내 선량분포의 균일도가 기존의 쐐기를 사용한 접선조사 방식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주변의 정상조직과 중요장기의 선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 IMRT의 실제 치료조사 시 선량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적합한 팬텀을 사용하여 품질보증(QA)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원기둥 형태의 아크릴에 이온전리함을 삽입한 형태의 팬텀을 사용하여 치료계획과 실제 치료 빔 조사를 통해 측정된 절대선량 값을 비교하였으며, 평균 오차는 $0.7{\pm}1.4%$로 분석되었다. 이차원 다이오드 검출기 배열장치를 이용한 선량분포의 정확도 분석에서는 치료계획 시 계산된 선량분포와 실제 측정된 선량분포의 gamma evaluation (3%, 3 mm 기준)를 통해 평균 $97.3{\pm}2.9%$의 합격률(pass rate)로 타당성 있는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량분포 측면에서 기존 쐐기필터를 이용한 접선 조사방식의 방사선치료 대비 T-B IMRT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T-B IMRT에 적합하게 수립된 품질보증 과정을 통해 실제 조사되는 선량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tangential breas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T-B IMRT) technique, which uses the same tangential fields as conventional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plans with physical wedges,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calculated dose distribution feature and dosimetric accuracy of beam delivery during treatment. T-B IMRT plans were prepared for 15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were already treated with conventional 3D-CRT. The homogeneity of the dose distribution to the target volume was improved, and the dose delivered to the normal tissues and critical organs was reduced compared with that in 3D-CRT plans. Quality assurance (QA) plans with the appropriate phantoms were used to analyze the dosimetric accuracy of T-B IMRT. An ionization chamber placed at the hole of an acrylic cylindrical phantom was used for the point dose measurement, and the mean error from the calculated dose was $0.7{\pm}1.4%$. The accuracy of the dose distribution was verified with a 2D diode detector array, and the mean pass rate calculated from the gamma evaluation was $97.3{\pm}2.9%$. We confirmed the advantages of a T-B IMRT in the dose distribution and verified the dosimetric accuracy from the QA performance which should still be regarded as an important process even in the simple technique as T-B IMRT in order to maintain a good quality.

      • KCI등재

        Dosimetric Analysis of Respiratory-Gated RapidArc with Varying Gating Window Times

        윤미선,김용협,정재욱,남택근,안성자,정웅기,송주영,Yoon, Mee Sun,Kim, Yong-Hyeob,Jeong, Jae-Uk,Nam, Taek-Keun,Ahn, Sung-Ja,Chung, Woong-Ki,Song, Ju-Young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5 의학물리 Vol.26 No.2

        호흡연동 래피드아크 치료는 무건운 하중의 선형가속기 갠트리의 회전과 정지의 반복과정에서 갠트리 회전 재시작점의 오차와 다엽조리개의 정확한 움직임 및 갠트리 속도와 같은 래피드아크의 선량정확도를 결정하는 요소들의 오차 가능성으로 인한 선량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갠트리의 회전과 정지의 반복적인 동작이 호흡연동 래피드아크 치료의 정확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치료 시 총 회전과 정지 동작 수를 결정하는 빔조사 구간 길이의 변화를 통해 분석하였다. 총 10명의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을 수립하였고, RPM 호흡연동 장치와 정확한 빔조사 구간 길이를 설정하기 위해 동적 팬텀을 사용하였다. 각 래피드아크 치료계획 당 EPID를 사용한 portal dosimetry delivery quality assurance (DQA) 계획과 이차원 다이오드 검출기배열장치인 MapCHECK2를 사용한 DQA 계획을 수립하여 호흡연동 방사선 치료과정에서 누적된 선량분포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의 호흡주기는 4초로 설정하였고, 수립한 DQA 계획들을 호흡연동 없이 연속적으로 조사하는 것과, 1초의 빔조사 구간과 2초의 빔조사 구간, 총 3가지의 경우에 대해 실제 방사선량 측정과 감마평가를 통해 선량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Portal dosimetry DQA 경우 평균 감마평가의 합격률은 호흡연동 없이 연속적일 때 $98.72{\pm}0.82%$ 였고, 1초의 빔조사 구간의 경우 $94.91{\pm}1.64%$, 2초의 빔조사 구간의 경우 $98.23{\pm}0.97%$이었다. MapCHECK2 DQA경우 평균 감마평가의 합격률은 호흡연동 없이 연속적일 때 $97.80{\pm}0.91%$였고, 1초의 빔조사 구간의 경우 $95.38{\pm}1.31%$, 2초의 빔조사 구간의 경우 $97.50{\pm}0.96%$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빔조사 구간의 길이가 증가하여 갠트리 정지 동작 수가 감소할수록 호흡연동 래피드아크의 선량 정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을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대상 환자의 선정 및 호흡방식에 대한 교육과정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gated RapidArc may produce a dosimetric error due to the stop-and-go motion of heavy gantry which can misalign the gantry restart position and reduce the accuracy of important factors in RapidArc delivery such as MLC movement and gantry spe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top-and-go motion in gated RapidArc was analyzed with varying gating window time, which determines the total number of stop-and-go motions. Total 10 RapidArc plans for treatment of liver cancer were prepared. The RPM gating system and the moving phantom were used to set up the accurate gating window time. Two different delivery quality assurance (DQA) plans were created for each RapidArc plan. One is the portal dosimetry plan and the other is MapCHECK2 plan. The respiratory cycle was set to 4 sec and DQA plans were delivered with three different gating conditions: no gating, 1-sec gating window, and 2-sec gating window. The error between calculated dose and measured dose was evaluated based on the pass rate calculated using the gamma evaluation method with 3%/3 mm criteria. The average pass rates in the portal dosimetry plans were $98.72{\pm}0.82%$, $94.91{\pm}1.64%$, and $98.23{\pm}0.97%$ for no gating, 1-sec gating, and 2-sec gating, respectively. The average pass rates in MapCHECK2 plans were $97.80{\pm}0.91%$, $95.38{\pm}1.31%$, and $97.50{\pm}0.96%$ for no gating, 1-sec gating, and 2-sec gating, respectively. We verified that the dosimetric accuracy of gated RapidArc increases as gating window time increase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gating window time during the RapidArc treatment process.

      • KCI등재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의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 분석

        윤미선(Mee Sun Yoon),정웅기(Woong-Ki Chung),안성자(Sung-Ja Ahn),남택근(Taek-Keun Nam),송주영(Ju-Young Song),나병식(Byung-Sik Nah),임상철(Sang Cheol Lim),이준규(Joon Kyoo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3

        목 적: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치료 결과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0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 IV기로 근치적 치료를 받은 90명을 대상으 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 단독치료는 12명,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치료는 65명, 그리고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행은 13명이었다. 방사선 단독군의 경우 총 방사선 선량은 59.0∼88.2 Gy (중앙값 70 Gy)이었다. 항 암화학요법은 대부분 5-FU와 cisplatin을 병용하였고, 일부 환자에서는 cisplatin을 기본으로 pepleomycin 또는 vincristin 등을 병용 투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통계적 방법으로 생존율의 산출은 Kaplan-Meier 법을, 두군의 생존율간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그리고 다변량분석에는 Cox prportional hazard model을 각각 이용하였다. 결 과: 전체 90명 환자의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26%, 17%였다. 2년 국소종양제어율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 33%,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은 32%,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8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6).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T병기,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의 유무 및 국소 치료 후 완전 관해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의 3년 및 5년 후두 보존율은 각각 26%, 22%였다. 이중 동시적 항암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시행된 11명 환자의 5년 후두 보 존율은 52%로 선행화학요법이 시행된 54명의 1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2). 결 론: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용요법이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이나 항암화학요법 병용방법에 비하여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방사선치료와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은 후두를 보존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reatment results and to identify possible prognostic indicators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85 to December 2000, 90 patients who had locally advanced stage IV hypopharyngeal carcinoma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wel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65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13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neoadjuvant chemotherapy. Total radiation dose ranged from 59.0 to 88.2 Gy (median 70 Gy) for radiotherpay alone. Most patients had ciplatin and 5-fluorouracil, and others had cisplatin and pepleomycin or vincristin. Median follow-up period was 15 months. Kaplan-Meier method was used for survival rate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for multivariat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Results: Overall 3-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27% and 17%, respectively. The 2-year locoregional control rates were 33% for radiotherapy alone, 32% for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81% for combined surgery and radiotherapy (p=0.006).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were T stage, concurrent hemoradiation and treatment response. Overall 3- and 5-year laryngeal preservation rates in combined ehemotherapy and radiotherapy were 26% and 22%, respectively. Of these, the 5-year laryngeal preservation rates were 52% for concurrent chemoradiation group (n=11), and 16% fo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n=54, p=0.012). Conclusion: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showed better results than radiotherapy alone or with chemotherapy. Radiotherapy combin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is an effective modality to achieve organ preservation in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Further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will be required.

      • KCI등재

        직장암의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결과

        윤미선(Mee Sun Yoon),남택근(Taek-Keun Nam),김형록(Hyeong-Rok Kim),나병식(Byung-Sik Nah),정웅기(Woong-Ki Chung),김영진(Young-Jin Kim),안성자(Sung-Ja Ahn),송주영(Ju-Young Song),정재욱(Jae-Uk Je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al sphincter preservation rates, survival rate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treated with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ifty patients with pathologic confirmed rectal cancer and treated by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between January 1999 and June 2007. Of the 150 patients, the 82 who completed the scheduled chemoradiotherapy, received definitive surgery at our hospital, and did not have distant metastasis upon initial diagnosi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whole pelvis ranged from 41.4 to 46.0 Gy (median 44.0 Gy) using daily fractions of 1.8∼2.0 Gy at 5 days per week and a boost dose to the primary tumor and high risk area up to a total of 43.2∼54 Gy (median 50.4 Gy). Sixty patients (80.5%) received 5-fluorouracil, leucovorin, and cisplatin, while 16 patients (19.5%) were administered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every 4 weeks concurrently during radiotherapy. Surgery was performed for 3 to 45 weeks (median 7 weeks) after completion of chemoradiotherapy. Results: The sphincter preservation rates for all patients were 73.2% (60/82). Of the 48 patients whose tumor was located at less than 5 cm away from the anal verge, 31 (64.6%) underwent sphincter-saving surgery. Moreover, of the 34 patients whose tumor was located at greater than or equal to 5 cm away from the anal verge, 29 (85.3%) were able to preserve their anal sphincter. A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was achieved in 14.6% (12/82) of all patients. The downstaging rates were 42.7% (35/82) for the T stage, 75.5% (37/49) for the N stage, and 67.1% (55/82) for the overall stage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8 months (range 11 ∼107 months). The overall 5-year survival, disease-free survival, and locoregional control rates were 67.4%, 58.9% and 84.4%, respectively.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based on the pathologic stage were 100% for stage 0 (n=12), 59.1 % for stage I (n=16), 78.6% for stage II (n=30), 36.9% for stage III (n=23), and one patient with pathologic stage IV was alive for 43 months (p=0.02).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77.8% for stage 0, 63.6 % for stage I, 58.9% for stage II, 51.1% for stage III, and 0% for stage IV (p<0.001). The 5-year locoregional control rates were 88.9% for stage 0, 93.8% for stage I, 91.1% for stage II, 68.2% for stage III, and one patient with pathologic stage IV was alive without local recurrence (p=0.01). The results of a multivariate analysis with age (≤55 vs. >55), clinical stage (I+II vs. III), radiotherapy to surgery interval (≤6 weeks vs. >6 weeks), operation type (sphincter preservation vs. no preservation), pathologic T stage, pathologic N stage, pathologic overall stage (0 vs. I+II vs. III+IV), and pathologic response (complete vs. non-CR), only age and pathologic N stag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verall survival, pathologic overall stage for disease-free survival, and pathologic N stage for locoregional control rates, respectively. Recurrence was observed in 25 patients (local recurrence in 10 patients, distant metastasis in 13 patients, and both in 2 patients). Acute hematologic toxicity (≥grade 3) during chemoradiotherapy was observed in 2 patients, while skin toxicity was observed in 1 patient. Complications developing within 60 days after surgery and required admission or surgical intervention, were observed in 11 patients: anastomotic leakage in 5 patients, pelvic abscess in 2 patients, and others in 4 patients. Conclusion: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was an effective modality to achieve downstaging and sphincterpreservation in rectal cancer cases with a relatively low toxicity. Pathologic N stage was a 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and locoregional control and so, more intensified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n these patients. 목 적: 직장암에서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항문 괄약근 보존율, 생존율, 예 후인자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직장암 환자로 진단되어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모두 150명이었다. 이 중 진단시 원격전이가 없고 재발암이 아니며 본원에서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계획된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총 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8∼2 Gy씩, 주 5회 41.4∼46 Gy (중앙값 44 Gy)를 전 골반에 조사한 후 원발부위 및 고위험 부위에 총 방사선량이 43.2 Gy∼54 Gy(중앙값 50.4 Gy)까지 추가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66명(80.5%)에서 5-fluorouracil (5-FU), leucovorin, cisplatin을 정주하였고, 16명(19.5%)에서는 5-FU와 leucovorin만을 정주하여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4주 간격으로 2회 시행되었다. 수술은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종료 후 3∼45주(중앙값 7주)가 경과되어 시행되었다. 수술 후 유지 항암화학요법은 총 38명(47.6%)에서 시행되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항문 괄약근 보존율은 73.2%(60명)이었다. 이 중 종양의 최하 위치가 항문연으로부터 5 cm 미만인 환자 48명중 31명(64.6%)에서, 5 cm 이상인 환자 34명 중 29명(85.3%)에서 항문 괄약근을 보존할 수 있었다. 수술 후 병리적 완전관해율은 14.6% (12/82)였다. 전체 환자의 T병기 하강률은 42.7% (35/82)였고, N 병기 하강률은 75.5% (37/49)였으며, 전체 병기 감소율은 67.1% (55/82)였다. 전체 환자의 추적 관찰 기간은 11∼107개월로 중앙값은 38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 무병생존율 및 국소종양제어율은 각각 67.4%, 58.9%,84.4%였다. 수술 후 병기별 5년 생존율은 0 (n=12), I (n=16), II (n=30), III (n=23)기에서 각각 100%, 59.1%,78.6%, 36.9%이었고 IV 병기 1예는 43개월 현재 생존 중이다(p=0.02). 병기별 5년 무병생존율은 0, I, II, III, IV 기에서 각각 77.8%, 63.6%, 58.9%, 51.1%, 0%였다(p<0.001). 병기별 5년 국소종양제어율은 0, I, II, III기 에서 각각 88.9%, 93.8%, 91.1%, 68.2%였고 IV 병기 1예는 43개월 현재 국소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p=0.01).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령(≤55세 vs. >55세), 임상적 병기(I+II vs, III), 방사선치료 종료 후 수술까지의 경과기간(≤6주 vs. >6주), 수술방법 (항문괄약근보존술 vs. 비보존술), 병리학적 T병기, 병리학적 N 병기, 병리학적 전체병기(0 vs. I+II vs. III+IV),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 등 총 8개의 다변량 분석상, 연령과 병리 학적 N병기는 전체 생존율에, 병리학적 전체 병기는 무병생존율에, 병리학적 N병기는 국소종양제어율에 각각 유의하였다. 전체 환자 중 재발한 환자는 모두 25명으로 국소재발 10명, 원격전이 13명, 국소 및 원격전이가 동시에 있던 환자 2명이었다. 항암화학 방사선치료 중 등급 3 이상의 혈액학적 독성은 백혈구 감소가 2명이었고, 등급 3의 피부반응이 1명이었다. 수술 후 60일 이내의 입원을 요할 정도의 합병증으로는 총 11명으로 문합부 누출 5명, 골반부 농양이 2명, 그외 4명 등이었다. 결 론: 직장암에서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으로 병기 하강 및 항문 괄약근 보존에 유용한 결과를 얻었고,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요법으로 인한 독성은 미미하였다. 병리학적 N병기가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에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수술 후 보조적 요법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식도암에서 MDM2, p53, pRb 발현과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결과

        윤미선(Mee Sun Yoon),남택근(Taek Keun Nam),이재혁(Jae Hyuk Lee),조상희(Sang Hee Cho),송주영(Ju Young Song),안성자(Sung Ja Ahn),정익주(Ik Joo Chung),정웅기(Woong Ki Chung),나병식(Byung Sik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4

        목 적: 식도암에서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전 MDM2, p53, pRb 발현양상이 치료반응 및 생존율 등 치료결과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AJCC 병기 I~IVa로 근치적 목적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받은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8~2.0 Gy씩 원발병소에 중앙값 54 Gy를 시행하였고 항암화학요법은 CDDP/5-FU를 4주 간격으로 4회 시행하고 첫 2회는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시행하였다. MDM2, p53, pRb 발현의 검출은 치료 전 내시경하 조직생검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방법을 이용하였다. 단백발현 양성종양세포가 50% 이상인 경우를 고발현군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의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6개월이었다. MDM2, p53, pRb 고발현군은 각각 19.6%, 27.5%, 66.7% 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발현 정도와 치료반응, 종양특이 생존율, 전체 생존율 등 모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연령(65세 이하 vs. 초과), 종양의 위치(상부, 중앙부, 하부), 종양의 길이(5 cm 이하 vs. 초과), 병기(I∼II vs. III~IVa), MDM2 (저발현 vs. 고발현), p53 (저발현 vs. 고발현), pRb (저발현 vs. 고발현),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 임상적 완전관해여부 등 9개 요인들을 대상으로 종양특성 생존율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RR12.100, p<0.001)와 병기(RR 3.300, p=0.028) 만이 유의한 인자들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MDM2, p53, pRb의 치료 전 발현양상과 치료결과와 의미있는 연관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향후상기 발현인자들을 포함하여 잠재적인 예후인자로서 새로운 다른 발현인자들을 발굴하고 보다 많은 증례 수를 대상으로 추적기간을 보강하여 이들을 재평가하는 연구가 요망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pretreatment expression patterns of MDM2, p53, and pRb proteins to determine if the expression patterns could predict the outcome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id in the decisions for the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ies.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patients that were treated with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stage I∼IVa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Radiotherapy was administered with daily 1.8 ∼2 Gy fractions up to a median dose of 54 Gy for primary tumors, and with four cycles of cisplatin/5- fluorouracil chemotherapy that was administered every 4 weeks, the first two cycles of which were administered concurrently with radiotherapy. Expression of MDM2, p53, and pRb was investigated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using pretreatment biopsy specimens. Results: MDM2, p53, and pRb were detected with high immunoreactivity in 19.6%, 27.5%, and 66.7%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these factors and clinical outcome. By the use of multivariate analysis with nine covariates-age, tumor location, tumor length, stage, pathological response, clinical response, MDM2 expression, p53 expression, and pRb expression, only pathological response and 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cause-specific survival. Conclusion: Expression of MDM2, p53, and pRb was not found to be clinically significant for predicting outcomes after CCRT in this study.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patient population and longer follow-up periods are needed to re-evaluate the expression pattern and to identify new predictors for CCRT response.

      • KCI등재

        Reliable Sample Size for Mean Length of Utterance Analysis in Preschooler

        윤미선(Mi-Sun Yoon),김수진(Soo-Jin Kim),김정미(Jung-Mee Kim),장문수(Moon-Soo Chang),차재은(Jae-Eun C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학령전기 아동에서 자발화 분석을 통해 산출하는 평균발화길이(MLU)는 아동의 언어 발달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인정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MLU 측정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자발화 표본의 크기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4세 일반 발달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을 녹음한 자료를 전사하여 발화 표본을 만들었다. 발화 표본은 연속된 발화에서 200발화를 선정하여, 50발화 단위로 4개의 세트(50-100-150-200발화)로 구성하였다. 1차 200발화 표본 수집 후 2차로 200발화 표본을 수집하여, 총 240개(30명×4세트×2차)의 발화 표본에서 어절, 단어, 형태소 단위의 평균발화길이(MLU-e, MLU-w, MLU-m)를 산출했다. 결과: 첫째, 200발화를 선정하기 위한 총 발화 수는 차수와 연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1차와 2차 표본에서 산출한 MLU-e, MLU-w, MLU-m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발화 표본의 크기에 따른 평균발화길이의 상관분석 결과에서 MLU-e는 전연령이 50발화 표본에서 r값이 .90 이상이었다. 그러나 MLU-w와 MLU-m은 2세와 4세는 발화 표본의 크기가 100발화 이상일 때, 3세는 발화 표본의 크기가 50발화 이상일 때 .90 이상의 상관 계수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발화 분석 시 신뢰할 수 있는 발화 표본의 크기로 MLU-e 산출에는 50발화 표본이 적절하나, MLU-w나 MLU-m은 3세는 50발화, 2세와 4세는 100발화 표본이 적절할 것으로 추정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reliable minimum sample size for the mean length of utterances (MLU) analysi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f ages between 2-4 years. Conversations with their caregivers at home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by trained transcribers. Four sets of speech samples of different length, 50-100-150-200 utterances, were selected successively from original transcriptions. The same procedure was repeated 3 days later and a total of 240 sets of speech samples were prepared. t-tests for comparing the MLU between 1st and 2nd speech samples were done. Correlation analysis of MLU in speech samples of different length was performed. Results: The ML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1st and 2nd sampl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ores for MLU-eojeol of 50 utterances were over .90 in 3 different age groups. Meanwhile these of MLU-word and MLU-morpheme were over .90 respectively when sample size was 100 utterances in the groups of 2 and 4 years old. In 3 years old group, they were over .90 in sample of 50 utterance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eech sample of 50 utterances should be considered as a reliable sample size for the analysis of MLU-e, excluding the 100 utterances for the analysis of MLU-w and MLU-m. It does not mean that this sample size is adequate to analyze other quantitative parameters regarding semantic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this issue.

      • KCI등재

        자발화 문맥에서의 단어단위 음운 평가

        윤미선(Mi Sun Yoon),김정미(Jung Mee Kim),김수진(Soo Jin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3 言語治療硏究 Vol.22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PMLU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s), PWP (proportion of whole-word proximity), and PWC (proportion of whole-word correctness) of conversational speech in children two to four years of age and to compare the result of different sample sizes. Sixty typically developing Korean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t intervals of six months of chronological age. The children' spontaneous speech was recorded in everyday interactional contexts and transcribed phonetically. A total of 50 eojeols were selected from the speech samples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MLU, PWP, and PW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age groups. The R score of PMLU between sample sizes was over .90 in two-year old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perspectives of speech development and languag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폐종양 방사선수술 계획 시 선량 분석

        송주영,정재욱,윤미선,안성자,정웅기,나병식,남택근,Song, Ju-Young,Jung, Jae-Uk,Yoon, Mee-Sun,Ahn, Sung-Ja,Chung, Woong-Ki,Nah, Byung-Sik,Nam, Taek-Keun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폐종양의 방사선수술 치료계획을 수립한 후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비교, 분석하여 선량분포 측면에서 유효성 및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종양의 움직임이 5 mm 이하인 10명의 환자 CT 영상을 대상으로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수술에서와 동일한 처방선량과 동일한 조건의 중요장기 선량제한치로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을 수립한 후 선량분포를 비교하였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결과에서도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수술과 동일하게 중요장기의 선량제한치를 충족시키면서 GTV에 처방선량을 부여할 수있음을 확인하였다. 방사선조사로 인한 폐의 정상조직합병증확률과 종양 반대편 폐의 등가균일선량 측면에서는 토모테라피가 기존 선형가속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종양 내 치료선량 분포의 균일도에서는 기존 선형 가속기가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치료 빔 전달 시간측면에서는 토모테라피가 기존 선형가속기 경우보다 2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폐종양 부위의 움직임이 적은 경우, 환자의 상태와 선량분포의 적합성 등을 고려한 최적의 치료계획을 세운다면 토모테라피를 사용하는 방사선 수술이 유효성 및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pplicability and feasibility of TomoTherapy in the lung radiation surgery was analyzed by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dose distribution in TomoTherapy planning with the results of conventional IMRS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surgery) using LINAC (linear accelerator). The acquired CT (computed tomograph) images of total 10 patients whose tumors' motion were less than 5 mm were used in the radiation surgery planning and the same prescribed dose and the same dose constraints were used between TomoTherapy and LINAC. The results of TomoTherapy planning fulfilled the dose requirement in GTV (gross tumor volume) and OAR (organ at risk) in the same with the conventional IMRS using LINAC. TomoTherapy was superior in the view point of low dose in the normal lung tissue and conventional LINAC was superior in the dose homogeneity in GTV. The calculated time for treatment beam delivery was long more than two times in TomoTherap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INAC.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TomoTherapy can be evaluated as an effective way of lung radiation surgery for the patients whose tumor motion is little when the optimal planning is produced considering patient's condition and suitability of dose distribution.

      • KCI등재

        학령전기 일반아동의 발화유형과 발화 종결기능 어미 사용 특성

        김정미(Jung-Mee Kim),윤미선(Mi-Sun Yoon),김수진(Soo-Jin Kim),장문수(Moon-Soo Chang),차재은(Jaeeun C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3

        배경 및 연구목적: 구어는 문어와 달리 불완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언어병리학에서 구어에 기초한 연구들은 구어의 이러한 특성에 대한 고려가 다소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의자발화에 나타난 발화유형과 발화종결기능 어미들을 살펴봄으로써 아동구어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세~5세 아동 16명에게서 수집한 자발화를 바탕으로 김수진ㆍ차재은ㆍ오재혁(2011)의 발화유형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종결어미발화, 연결어미발화, 조각발화 및 미완결발화로 분류하고 다시 어순에 따라 정상발화와 도치발화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발화유형과 발화종결 기능 어미는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2세 아동들은 조각발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3, 4, 5세 아동은 종결어미 발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4세와 5세 아동들은 종결어미발화, 조각발화, 연결어미발화 및 미완결 발화의 순으로 나타나 성인의 발화유형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발화 종결에 사용한 어미들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유형의 종결어미와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아동들이 산출한 발화유형과 종결기능 어미분석을 통해 구어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발화유형의 비율에는 아동들의 문법능력이 반영되어 있었다. 아동 자발화에 나타나는 이러한 구어적 특성들은 언어평가와 중재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Spoken language has incomplete structures, and prior studies in communication disorders have been lacking in this area.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types of utterances and examined utterance final functioning endings of typically developing 2- to 5-year-old children. Methods: Sixt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utterances were recorded in everyday interactional contexts. A total of 3,200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utterance final intonation, final ending, completion for grammar and word order. Results: Results showed the fragment utterances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2-year-old children and utterance type with sentence final ending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other ages. In addition, the types of ending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e increase.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adults’ utterance types and discussed in a language developmental perspective.

      • KCI등재

        Evaluation of 3DVH Software for the Patient Dose Analysis in TomoTherapy

        송주영,김용협,정재욱,윤미선,안성자,정웅기,남택근,Song, Ju-Young,Kim, Yong-Hyeob,Jeong, Jae-Uk,Yoon, Mee Sun,Ahn, Sung-Ja,Chung, Woong-Ki,Nam, Taek-Keun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5 의학물리 Vol.26 No.4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선량정확도에 대한 품질보증 과정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치료 환자 신체 내의 치료 선량분포를 재계산하여 치료계획 시 계산된 선량분포와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크첵(ArcCHECK)을 사용하여 품질보증 과정에서 측정한 토모테라피 선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 내 치료선량 분포를 재구성할 수 있는 3DVH 프로그램의 새로운 기능 및 선량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가상의 환자로 이차원 다이오드 검출기 배열 장치인 MapCHECK 영상을 사용하여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아크첵으로 선량을 측정 후 다시 3DVH를 사용하여 MapCHECK 검출기 영역의 선량분포를 재계산한 후, 실제 MapCHECK에서 측정된 선량분포와 비교하여, 그 오차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값과 3DVH 계산값 비교를 위한 감마평가에서 평균 합격률은 $92.6{\pm}3.5%$로 측정값과 토모치료계획에서 계산된 선량과의 감마평가 평균 합격률 $99.0{\pm}1.2%$보다 오차가 큼을 보였다. 래피드아크에서 비교한 3DVH 계산값과 측정값의 감마평가 평균 합격률 $99.3{\pm}0.9%$와 비교하였을 경우에도 더 큰 오차를 보여, 토모테라피에서 3DVH 선량 계산 기능을 임상에서 신뢰하고 사용하기에는 더 많은 측정 결과들의 분석과 오차 원인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new function of 3DVH software for dose calculation inside the patient undergoing TomoTherapy treatment by applying the measured data obtained by ArcCHECK was recently released. In this study, the dosimetric accuracy of 3DVH for the TomoTherapy DQA process was evaluated by the comparison of measured dose distribution with the dose calculated using 3DVH. The 2D diode detector array MapCHECK phantom was used for the TomoTherapy planning of virtual patient and for the measurement of the compared dose. The average pass rate of gamma evaluation between the measured dose in the MapCHECK phantom and the recalculated dose in 3DVH was $92.6{\pm}3.5%$, and the error was greater than the average pass rate, $99.0{\pm}1.2%$, in the gamma evaluation results with the dose calculated in TomoTherapy planning system. The error was also greater than that in the gamma evaluation results in the RapidArc analysis, which showed the average pass rate of $99.3{\pm}0.9%$. The evaluated accuracy of 3DVH software for TomoTherapy DQA process in this study seemed to have some uncertainty for the clinical use.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a proper analysis before using the 3DVH software for dose recalculation of the patient in the TomoTherapy DQA process considering the initial application stage in clinical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