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천막상부 악성 신경교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 - 생존율과 예후인자 분석 -

        남택근,정웅기,안성자,나병식,Nam Taek Keun,Chung Woong Ki,Ahn Sung Ja,Nah Byung Si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적 : 천막상부 약성 신경교종의 치료로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생존율을 중심으로 평가하며 그 예후 인자를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69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나이의 범위는 7세에서 66세이며 중앙값은 47세였다. 42례(61$\%$)는 다형성 교모세포종 이었고 27례(39$\%$)는 악성 성상세포종이었다. 20례(29$\%$)는 Karnofsky 역할수행능력 점수가 80점 이상이었다. 43례(62$\%$)는 수술 전 3개월 이내에 증상을 호소하였다. 24례 (35$\%$)는 육안 상 완전 절제를, 40례(58$\%$)는 부분 절제를, 나머지 5례(7$\%$)에서는 뇌정위 조직검사만 시행하였다. 총 방사선 조사량은 50.4-61.2Gy(중앙값, 55.8; 최빈값, 59.4)로 하루 1.8-2.0 Gy 씩 33-83일 동안(중앙값, 48) 치료하였다. 단 3례는 수술 후 전신 상태의 불량으로 하루 3.0Gy 씩 각각 33, 36, 39Gy 까지 치료하였다. 추적 관찰율은 93$\%$였고 중앙간은 14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의 2년 및 3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각각 38$\%$, 20$\%$, 16개월이었다. 악성 성상세포종과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34, 14개월이었다(p=0.0001). 완전절제, 부분절제, 뇌정위 조직검사군에서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8$\%$, 11$\%$, 0$\%$였다(p=0.02). 연령이 40세 미만, 40-59, 60세 이상 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2$\%$, 8$\%$, 0$\%$였다(p=0.0007). 역할수행 능력점수 80점 이상과 80점 미만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3$\%$, 9$\%$였파(p=0.008). 상기와 같이 절제 정도에 따른 3개의 수술 군과 3개의 연령 군을 포함한 다요인 분석에서 병리학적등급, 수술 정도, 연령이 유의한 인자였다. 그러나 2개의 수술 군(완전절제와 비완전 절제)과 2개의 연령 군(50세 미만과 50세 이상)을 공변량으로한 다요인 분석에서 연령대신 병리학적 등급, 수술 정도, 역할수행 능력이 유의한 인자였고, 이들 세 가지 요인을 갖춘 5례는 치료와 관련한 심각한 부작용 없이 3년 누적생존율이 100$\%$로 생존하고 있다. 결론 : 악성 신경교종의 치료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수술 단독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성 성상세포종 환자 중, 특히 양호한 역할수행 능력과 완전 절제를 받은 환자군의 생존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다형성 교모세포종 환자에서는 특히 젊은 나이인 경우 적절한 신경학적 기능보존과 함께 최대한의 종양 절제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양호한 예후 인자를 갖지 못한 대부분의 다형성 교모세포종 환자군의 생존율은 여전히 좋지 않아 이 환자 군에서는 수술 후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보다는 다른 적극적인 치료가 추가 또는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conventional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and to determine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 From Sep. 1985 to Mar. 1997, the number of eligible patients who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completely was 69. They ranged in age from 7 to 66 years (median, 47). Forty-two (61$\%$) patients were glioblastoma multiforme and the other 27 (39$\%$) were anaplastic astrocytoma. Twenty patients (29$\%$) had Karnofsky score equal or more than 80 preoperatively. Forty-three patients (62$\%$) had symptom duration equal or less than 3 months. Twenty-four patients (35$\%$) had gross total resection and forty patients(58$\%$) had partial resection, the remaining five patients (7$\%$) had biopsy only. Radiotherapy dose ranged from 50.4 Gy to 61.2 Gy (median, 55.8; mode, 59.4) with fraction size of 1 8 Gy-2.0 Gy for 33-83 days(median, 48) except three patients delivered 33, 36, 39 Gr, respectively with fraction size of 3.0 Gy due to poor postoperative performance status. Follow-up rate was 93$\%$ and median follow-up period was 14 months. Results : Overall survival rate at 2 and 3 years and median survival were 38$\%$, 20$\%$, and 16 months for entire patients; 67$\%$, 44$\%$, and 34 months for anaplastic astrocytoma; 18$\%$, 4$\%$, and 14 months for glioblastoma multiforme, respectively (p=0.0001). According to the extent of surgery, 3-year overall survival for gross total resection, partial resection, and biopsy only was 38$\%$, 11$\%$, and 0$\%$, respectively (p=0.02) The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for patients age 40>, 40-59, and 60< were 52$\%$, 8$\%$, and 0$\%$, respectively (p=0.0007). For the variate of performance score 80< vs 80>, the 3-year survival rates were 53$\%$ and 9$\%$, respectively (p=0.008). On multivariate analysis including covariates of three surgical and age subgroups as above, pathology, extent of surgery and ag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On another multivariate analysis with covariates of two surgical (total resection vs others) and two a9e (50> vs 50<) subgroups, then, pathology, extent of surgery and performance 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instead of age and 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for the five patients with these three favorable factors was 100$\%$ without serious sequela. Conclusion : We confirmed the role of postoperative conventional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by improving survival as compared with historical data of surgery only. Patients with anaplastic astrocytoma, good performance score, gross total resection and/or young age survived longest. Maximum surgical resection with acceptable preservation of neurologic function should be attempted in glioblastoma patients, especially in younger patients. But the survival of most globlastoma patients without favorable factors is still poor, so other active adjuvant treatment modalities should be tried or added rather than conventional radiation treatment alone in this subgroup.

      • KCI등재후보

        성문상부암의 방사선치료

        남택근(Taek-Keun Nam),정웅기(Woong-Ki Chung),조재식(Jae-Shik Cho),안성자(Sung-Ja Ahn),나병식,(Byung-Sik Nah) 오윤경(Yoon-Kyeong 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Purpose :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role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surgery for treating a supraglottic carcinoma in terms of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 1986 to Oct. 1996, a total of 134 patients were treated for a supraglottic carcinoma by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surgery. Of them, 117 patients who had completed the radiotherapy formed the base of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redistributed according to the revised AJCC staging system (1997). The number of patients of stage Ⅰ, Ⅱ, Ⅲ, ⅣA, ⅣB were 6 (5%), 16 (14%), 53 (45 %), 32 (27%), 10 (9%), respectively. Eighty patients were treated by radical radiotherapy in the range of 61.2∼79.2 Gy (mean : 69.2 Gy) to the primary tumor and 45.0∼93.6 Gy (mean : 54.0 Gy) to regional lymphatics. All patients with stage Ⅰ and ⅣB were treated by radiotherapy alone. Thirty-sev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plus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range of 45.0∼68.4 Gy (mean : 56.1 Gy) to the primary tumor bed and 45.0∼59.4 Gy (mean : 47.2 Gy) to the regional lymphatics. Of them, 33 patients received a total laryngectomy (±lymph node dissection), three had a supraglottic horizontal laryngectomy (±lymph node dissection), and one had a primary excision alone. Results : The 5-year survival rate (5YSR) of all patients was 43%. The 5YSRs of the patients with stage Ⅰ+Ⅱ, Ⅲ+Ⅳ were 49.9%, 41.2%, respectively (p=0.27). However, the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stage I (n=6) was 100%. The 5YSR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plus radiotherapy (S+RT) vs radiotherapy alone (RT) in stage Ⅱ, Ⅲ, ⅣA were 100% vs 43% (p=0.17), 62% vs 52% (p=0.32), 58% vs 6% (p<0.001), respectively. The 5-year actuarial locoregional control rate (5YLCR) of all the patients was 57%.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stage Ⅰ, Ⅱ, Ⅲ, ⅣA, ⅣB was 100%, 74%, 60%, 44%, 30%, respectively (p=0.008).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S+RT vs RT in stage Ⅱ, Ⅲ, ⅣA was 100% vs 68% (p=0.29), 67% vs 55% (p=0.23), 81% vs 20% (p<0.001), respectively.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a complete, partial, and minimal response were 76%, 20%, 0%, respectively (p<0.001). In all patient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N-stage, surgery or not, and 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and that the N-stage, surgery or not, and the ECOG performance index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ocoregional control.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radiation response and N-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urvival rate as well as locoregional control. Conclusion : In early stage supraglottic carcinoma,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is an equally effective modality compared to surgery plus radiotherapy and could preserve the laryngeal function. However, in the advanced stages, radiotherapy combin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for laryngeal preservation or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In bulky neck disease, all the possible planned neck dissections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or before radiotherapy should be attempted. 목 적 : 성문상부암에서 방사선 단독치료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국소종양제어율과 생존율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134명이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단독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고 이 중 계획된 방사선량을 조사 받은 1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97년의 AJCC 병기분류체계에 의하여 재분류하였고 병기 Ⅰ, Ⅱ, Ⅲ,ⅣA, ⅣB의 환자 수는 각각 6 (5%), 16 (14%), 53 (45%), 32 (27%), 10 (9%)이었다. 전체 환자 중 80명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로 원발병소에 61.2∼79.2 Gy (평균 : 69.2 Gy), 경부림프절에 45.0∼93.6 Gy (평균 : 54.0 Gy)를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 중 병기 Ⅰ과 ⅣB 환자는 모두 방사선 단독치료를 시행하였다. 37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원발병소 절제부위에 45.0∼68.4 Gy (평균 : 56.1 Gy), 경부 림프절에 45.0∼59.4 Gy (평균 : 47.2 Gy)를 조사하였다. 수술방법으로서 33명은 전후두적출술(±경부림프절 청소술), 3명은 부분후두적출술(±경부림프절 청소술), 나머지 1명은 원발병소만의 절제술이었다. 결 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43%이었다. 병기 Ⅰ+Ⅱ와 Ⅲ+Ⅳ의 5년 생존율은 49.9%, 41.2%이었으나(p=0.27), 병기 I (n=6) 환자의 종양특성생존율은 100%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S+RT)과 방사선단독 치료군(RT)의 5년 생존율은 병기 Ⅱ에서 100% 대 43%, 병기 Ⅲ에서 62% 대 52%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17, p=0.32), 병기 ⅣA에서 58% 대 6%로 S+RT군의 생존율이 유의한 차이로 양호하였다(p<0.001). 전체 환자의 국소종양 제어율은 57%이었다. 병기별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Ⅰ, Ⅱ, Ⅲ, ⅣA, ⅣB에서 각각 100, 74, 60, 44, 30%이었다(p=0.008). S+RT군과 RT군의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Ⅱ에서 100% 대 68%, 병기 Ⅲ에서 67% 대 5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29, p=0.23), 병기 ⅣA에서는 81% 대 2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80명의 환자 중 방사선치료반응에 따른 국소종양제어율은 완전관해, 부분관해, 부분관해미만 군에서 각각 76, 20, 0%이었다(p<0.001). 전체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N 병기, 수술 여부, 나이였고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N 병기, 수술 여부, ECOG 활동도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 다변량 분석결과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 모두에 유의한 인자는 방사선치료 후 종양반응과 N 병기였다. 결 론 : 조기 병기의 성문상부암에서는 통상적인 방사선단독치료로 후두기능을 보존하면서 수술군과 대등한 종양제어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는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또는 후두기능의 보존적 측면에서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진행된 림프절 병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방사선치료 전 또는 유도화학요법 후 계획된 경부림프절 청소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하인두암의 방사선 치료 성적

        남택근(Taek Keun Nam),박승진(Seung Jin Park),안성자(Sung Ja Ahn),정웅기(Woong Ki Chung),나병식(Byung Sig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2

        Purpose : We tried to evaluate the role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or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in the hypopharyngeal cancer by retrospectiv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Jul. 1985 and Sep. 1992. 42 patients of hypopharyngeal cancer were treated by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or combin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0:1 with a median age of 58 years. Twelve patients were treated by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and 30 patients were treated by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Results : Seven patients were stage Ⅰ, Ⅱ and the patients with stage Ⅲ and Ⅳ were 10 and 25. respectively at the time of presentation. The overall survival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s at 24 months were 12.9% and 15.5% respectively. Two-year survival rates of stage Ⅰ+Ⅱ and Ⅲ+Ⅳ patients CR and 26 patients(62%) revealed less than CR at the end of radiotherapy and their 2-year survival rates were 31.3% and 0%, respectively(p<0.05). On univariate analysis, stage, T-stage, N-stage and treatment response were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ut only stage and treatment response were significant o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 This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or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does not seem to be sufficient in the treatment of most advanced hypopharyngeal cacner. Therefore other treatment modalities such as hyperfractionation o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should be considered.

      • SCOPUSKCI등재

        직장암에서 수술단독 또는 수술후 방사치료

        남택근(Taek Keun Nam),안성자(Sung Ja Ahn),나병식(Byung sik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4

        목적: 직장암에 대한 수술 단독 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골반종양제어율과 생존율, 합병증 발생률, 예후인자 등을 후향적으로 배교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평가한다. 대상 및 방법: 1983년 2월부터 1996년 12dnjfRK지 총 212명의 환자가 modified Astler0Coller 병기 B2~C3 직장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목적의 수술단독 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는데, 이중 39.6Gy 미만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18명을 제외한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04명은 수술후 방서선 치료를 받았고 90명은 수술 단독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ㅇ리 조사량 1.8~2.0Gy로 주 5회씩 전골반강에 39.6~55.8 Gy(평균:49.9Gy)를 조사하였고 필요시 원발 종양 절제부ㅟ에 5.4~10Gy를 추가 조사하였다. 생존율과 골반종양제어율의 산출은 Kaplan-Meier방법으로, 이들의 통계적 유의성검증은 Log-rank test로 하였다. 다요인 분석은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은 각각 53%, 49%이었다. 수술단독군과 방사선치료 추가군의 5년생존율은 각각 63%와 4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방사선치료 추가군에서 진행된 병기의 환자가 더 많이 분포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p<0.05 by x²-test). 수술단독군과 방사선치료 추가군의 5년생존율은 병기 B2+3, C1, C2+3 군에서 각각 68% 대 55%(p=0.09), 100% 대 100%, 40% 대 33% (p=0.71)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의 병기별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5% 대 49% (p=0.14), 100% 대 100%, 33%대 31% (p=0.46)로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환자의 5년 골반종양제어율은 72.5%이었다. 수술단독군과 방사선치료 추가군의 골반종양제어율은 각각 79% 대 75% (p=0.88), 100%, 44% 대 68% (p=0.01)이었다. 전체환자를 대상으로 다요인 분석을 시행한 결과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병기만이 유의하였고 두 치료 군에서도 역시 병기가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 전체환자에서 골반종양제어율에 유의한 예후인자로 다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병기와 수술방법이 유의하였다. 수술단독군에서는 병기만이 유의하였고 방사선치료 추가군에서는 수술방법만이 유의하여 복부회음절제술군의 골반종양재발률이 높았다. Purpose: To find out the rol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rectal cancer by comparing survival, pelvic control, complication rate, and any prognostic factor between surgery alone and postoperatice radiotherapy group.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 1982 to Dec. 1996 total 212 patients were treated by radical surgery with or without postoperative radiotherapy due to rectal carcinoma of modified Astler-Coller stage B2~C3. Of them, 18 patients had incomplete radiotherapy and so the remaining 194 patients were the database analyzed in this study. One hundred four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the other 90 patients had surgery only. Radiotherapy was performed in the range of 39.6~55.8 Gy (mean: 49.9 Gy) to the whole pelvis and if necessary, tumor bed was boosted by 5.4~10 Gy. Both survival and pelvic control rates were calculated by Kaplan-Meier method an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Log-rank test.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5-year actuarial survival rate (5YSR) and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5YDFSR) of entire patients were 53% and 49%, respectively. 5YSRs of surgery alone group and adjuvant radiotherapy group were 63% vs 45%, respectively (p=0.03). This difference is thought to reflect uneven distribution of stages between two treatment group (p<0.05 by x²-test) with more advanced disease patients in adjuvant radiotherapy group. 5YSRs of surgery alone vs adjuvant radiotherapy group in MAX B2+3, C1 C2+3 were 68% vs 55% (p=0.09), 100% vs 100%, 40% vs 33% (p=0.71), respectively. 5YDFSRs of surgery alone vs adjuvant radiotherapy group in above three stages were 65% vs 49%(p=0.14), 100% vs 100%, 33% vs 31%(p=0.46), respectively. 5-year pelvic control rate (5YPCR) of entire patients was 72.5%. 5YPCRs of surgery alone and adjuvant radiotherapy group were 71% vs 74%, respectively (p=0.41). 5YPCRs of surgery alone vs adjuvant radiotherapy group in B2+3, C1, C2+3 were 79% vs 75% (p=0.88), 100% vs 100%, 44% vs 68%(p=0.01),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nly stage was significant factor affectign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in entire patients and also in both treatment groups. Inview of pelvic control, stage and operation type were significant in entire patients and only stage in surgery alone group but in adjuvant radiotherapy group, operation type instead of stage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 multivariate analysis as a negative prognostic factor in abdominoperineal resection cases. Conclusion: Our retrospective study showed that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could improve the pelvic control in MAC C2+3 group. To improve both pelvic control and survival in all patients with MAC B2 or more, other treatment modality such as concurrent continuous infusion of 5-FU, which is the most standard agent, along with radiotherapy should be considered.

      • SCOPUSKCI등재

        구인두암의 방사선 치료 성적

        남택근(Taek Keun Nam),안성자(Sung Ja Ahn),정웅기(Woong Ki Chung),나병식(Byung Sik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4 No.1

        목 적 :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 또는 유도 화학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구인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율과 예후 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치료방법의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 1985년 11월부터 1993년 4월까지 구인두암으로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47명의 환자들 중, 26명은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치료만을, 나머지 21명은 유도 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화학요법의 약제는 대부분 Cisplatin과 Pepleomycin으로 2회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간의 환자 특성은 대체로 유사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MV-LINAC으로 1일 선량 1.8-2.0 Gy씩 원발병소에는 54.0-79.2 Gy까지, 경부 임파절 병소에는 병소의 크기에 따라 55.8-90.0 Gy까지 조사하였다. 추적 기간은 3개월에서 102개월로 중앙값은 20개월이었고, 연령 분포는 33세에서 79세로 중앙값은 58세였다.결 과 : 전체 환자의 3년 생존율은 39%였고, AJCC에 의한 병기별 3년 생존율은 I기 (n=5), II기 (n=11), III기 (n=12), IV기 (n=19)에서 각각 60,55,33,32%이었다. 원발병소와 경부 임파절 병소의 병기별 3년 생존율은 T1+2, T3+4와 No, N+에서 각각 55,18% (p=0.005)와 43, 36% (p>0.1)이었다.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8,43%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 원발병소 부위별 3년 생존율은 편도암(n=32), 설근암(n=8), 연구개 및 구개수암(n=6), 인두벽암(n=1)에서 각각 36, 38, 67, 0%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 편도암 환자 32명 중, 22명은 주위 조직으로 침습이 있었고 그렇지 않은 군(10명)과의 3년 생존율은 24대 60%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8). 전체 환자에 대하여 원발병소 부위, 원발병소의 병기, 경부 임파절 병소의 병기, 방사선 치료 기간, 나이, 유도 화학요법 사용 유무 등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원발병소의 병기만이 유의한 예후 인자였다.결 론 :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간의 3년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이와 같은 치료방법으로 구인두암의 조기 병변, 특히 연구개암과 구개수암, 또는 주위 조직으로 침습이 없는 편도암에서 근치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진행된 병기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나 유도 화학요법 대신 다분할 조사 또는 가능한 수술적 방법의 추가나 동시적 화학 방사선 병용요법 등 보다 적극적이고 다면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e tried to evaluate the role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or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in oropharyngeal cancerin terms of survival rates an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by retrospective analysis.Methods and Materials : Forty seven patients of oropharyngeal cancer were treated by conventional radiotherapy in our hospital from Nov. 1985 to Apr.1993. Of these. twenty six patients were treated by conventional radio therapy alone. and 21 patients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of mostly two or more cycles of cisplatin and pepleomycin. The patient characteristics of radiotherapy alone group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were not different generally. Radiotherapy was performed by 6MV-LINAC and the total radiation doses of primary tumors were 54.0-79.2 Gy and cervical lymph nodes were 55.8-90.0 Gy with a fraction size of 1.8 or 2.0 Gy per day. The rangeof follow-up periods was 3-102 months and median was 20 months. The range of age was 33-79 years old and median was 58 years old.Results : Overall 3-year actuarial survival rate (3YSR) of all patients was 39%. The 3YSRs of stage I (n=5), II (n=11), III (n=12) and IV (n=19) were 60, 55,33 and 32% respectively. The 3YSRs of T1+2, T3+4 and No, N+ were 55, 18% (p=0.005) and 43,36% (p>0.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3YSRs between radiotherapy alone group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38 vs 43%, p>0.1). According to the original site of primary tumor, the 3YSRs of tonsil (n=32), base of tongue (n=8), soft palate or uvula(n=6) and pharyngeal wall (n=1) were 36,38,67 and 0%, respectively. The patients of soft palateor uvular cancer had longer survival than other primarie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p>0.1). Of 32 patients of tonsillar cancer, 22 patients who had primary extension to adjacent tissue showed inferior survival rate to the ones who had not primary extension, but the difference was marginally significant (24 vs 60%, p=0.08). On Cox multivariate analysis in entire patients with variables of age. T stage. N stage. total duration of radiotherapy, the site of primary tumor and the us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only T stag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ffecting 3YSR.Conclusion : The difference of 3YASRs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group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se treatments could be effective in oropharyngeal cancer of early stage, especially such as soft palate, uvular or tonsillar cancer which did not extend to adjacent tissue. But in order to improve the survival of patients of most advanced oropharyngeal caner, other altered fractionated radiotherapy such as hyperfractionation rather than conventional fractionation or multimodel approach combining radiotherapy and accessible surgery or concurrent chemotherapy might be beneficial.Key Words : Oropharyngeal cancer, Radiotherapy, Neoadjuvant chemotherapy

      • SCOPUSKCI등재

        Role of Postoperative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남택근(Taek Keun Nam),정웅기(Woong Ki Chung),안성자(Sung Ja Ahn),나병식(Byung Sik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 적:천막상부 악성 신경교종의 치료로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생존율을 중심으로 평가하며 그 예후 인자를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1985년 9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69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나이의 범위는 7세에서 66세이며 중앙값은 47세였다. 42례(61%)는 다형성 교모세포종 이었고 27례(39%)는 악성 성상세포종이었다. 20례(29%)는 Karnofsky 역할수행능력 점수가 80점 이상이었다. 43례(62%)는 수술 전 3개월 이내에 증상을 호소하였다. 24례(35%)는 육안 상 완전 절제를, 40례(58%)는 부분 절제를, 나머지 5례(7%)에서는 뇌정위 조직검사만 시행하였다. 총 방사선 조사량은 50.4-61.2Gy(중앙값, 55.8; 최빈값, 59.4)로 하루 1.8-2.0 Gy 씩 33-83일 동안(중앙값, 48) 치료하였다. 단 3례는 수술 후 전신 상태의 불량으로 하루 3.0Gy 씩 각각 33, 36, 39Gy 까지 치료하였다. 추적 관찰율은 93%였고 중앙값은 14개월이었다. 결 과:전체 환자의 2년 및 3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각각 38%, 20%, 16개월이었다. 악성 성상세포종과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34, 14개월이었다(p=0.0001).완전 절제, 부분절제, 뇌정위 조직검사군에서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8%, 11%, 0%였다(p=0.02). 연령이 40세 미만, 40-59, 60세 이상 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2%, 8%, 0%였다(p=0.0007). 역할수행 능력점수 80점 이상과 80점 미만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3%, 9%였다(p=0.008). 상기와 같이 절제 정도에 따른 3개의 수술 군과 3개의 연령 군을 포함한 다요인 분석에서 병리학적 등급, 수술 정도, 연령이 유의한 인자였다. 그러나 2개의 수술 군(완전 절제와 비완전 절제)과 2개의 연령 군(50세 미만과 50세 이상)을 공변량으로한 다요인 분석에서 연령대신 병리학적 등급, 수술 정도, 역할수행 능력이 유의한 인자였고, 이들 세 가지 요인을 갖춘 5례는 치료와 관련한 심각한 부작용 없이 3년 누적생존율이 100%로 생존하고 있다. 결 론:악성 신경교종의 치료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수술 단독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성 성상세포종 환자 중, 특히 양호한 역할수행 능력과 완전 절제를 받은 환자군의 생존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다형성 교모세포종 환자에서는 특히 젊은 나이인 경우 적절한 신경학적 기능보존과 함께 최대한의 종양 절제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양호한 예후 인자를 갖지 못한 대부분의 다형성 교모세포종 환자군의 생존율은 여전히 좋지 않아 이 환자 군에서는 수술 후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보다는 다른 적극적인 치료가 추가 또는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To evaluate the role of conventional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and to determine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Material and Methods:From Sep. 1985 to Mar. 1997, the number of eligible patients who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completely was 69. They ranged in age from 7 to 66 years (median, 47). Forty-two (61%) patients were glioblastoma multiforme and the other 27 (39%) were anaplastic astrocytoma. Twenty patients (29%) had Karnofsky score equal or more than 80 preoperatively. Forty-three patients (62%) had symptom duration equal or less than 3 months. Twenty-four patients (35%) had gross total resection and forty patients(58%) had partial resection, the remaining five patients (7%) had biopsy only. Radiotherapy dose ranged from 50.4 Gy to 61.2 Gy (median, 55.8; mode, 59.4) with fraction size of 1.8 Gy-2.0 Gy for 33-83 days(median, 48) except three patients delivered 33, 36, 39 Gy, respectively with fraction size of 3.0 Gy due to poor postoperative performance status. Follow-up rate was 93% and median follow-up period was 14 months. Results:Overall survival rate at 2 and 3 years and median survival were 38%, 20%, and 16 months for entire patients; 67%, 44%, and 34 months for anaplastic astrocytoma; 18%, 4%, and 14 months for glioblastoma multiforme, respectively (p=0.0001). According to the extent of surgery, 3-year overall survival for gross total resection, partial resection, and biopsy only was 38%, 11%, and 0%, respectively (p=0.02). The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for patients age 40>, 40-59, and 60≤ were 52%, 8%, and 0%, respectively (p=0.0007). For the variate of performance score 80≤ vs 80>, the 3 -year survival rates were 53% and 9%, respectively (p=0.008). On multivariate analysis including covariates of three surgical and age subgroups as above, pathology, extent of surgery and ag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On another multivariate analysis with covariates of two surgical (total resection vs others) and two age (50> vs 50≤) subgroups, then, pathology, extent of surgery and performance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instead of age and 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for the five patients with these three favorable factors was 100% without serious sequela. Conclusion:We confirmed the role of postoperative conventional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by improving survival as compared with historical data of surgery only. Patients with anaplastic astrocytoma, good performance score, gross total resection and/or young age survived longest. Maximum surgical resection with acceptable preservation of neurologic function should be attempted in glioblastoma patients, especially in younger patients. But the survival of most glioblastoma patients without favorable factors is still poor, so other active adjuvant treatment modalities should be tried or added rather than conventional radiation treatment alone in this subgroup.

      • KCI등재후보

        도적행위의 법적증거확보를 위한 양식장 보안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임정빈,남택근,Yim, Jeong-Bin,Nam, Taek-Ke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3 No.4

        집단감시 디지털 시스템(Group Digital Surveillance System for Fishery Safety and Security, GDSS-F2S)은 대단위 양식장에 침입하는 도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물체 식별정보와 물체 추적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GDSS-F2S에서 제공하는 이러한 두 가지 정보는 도적행위를 입증할 수 있는 법적 증거 자료로 미흡하다. 그래서 양식장의 지형을 고려한 도적행위의 유효한 대응책을 검토한 후, 하나의 해결방안으로 물체의 영상정보를 고려하였다. 앙식장을 침입하는 물체의 실시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0.0001 룩스(Lux)의 초저조도 CCD 카메라와 부가장치를 이용한 영상 획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영상 획득 시스템을 부가한 GDSS-F2S의 현장실험 결과, 차량의 번호판과 외관, 사람의 행동과 특징 등을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선명하게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영상획득 시스템을 부가하여 개선한 GDSS-F2S는 도적행위에 대한 충분한 법적 증거 제공이 가능하였다. The Group Digital Surveillance System for Fishery Safety and Security (GDSS-F2S) is to provide the target tracking information and the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secure an huge aquaculture farm-field from a thief. The two information, however, is not enough to indict the thief due to the lack of lawful evidences for the crime action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consider the target image information as one of solutions after discussion with the effective countermeasure tools for the crime actions with scenario-based analysis according to the geological feature of aquaculture farm-field. To capture the real-time image for the trespassing targets in the aquaculture farm-field area, we developed the image capture system which is consists of ultra sensitive CCD(Charge-Coupled Device) camera with 0.0001 Lux and supplementary devices. As results from the field tests for GDSS-F2S with image capture system, the high definite images of the vehicle number plate and shape, person's actions and features are obtainable not only day time but also very dark night without moon light. Thus it is cleary known that the improved GDSS-F2S with image capture system can provide much enough lawful evidences for the crime actions of targets.

      • SCOPUSKCI등재

        Results of Postoperative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Carcinoma of Uterine Cervix Stage IB and IIA

        안성자,남택근,정웅기,나병식,최호선,변지수,Ahn Sung Ja,Nam Taek Keun,Chung Woong Ki,Nah Byung Sik,Choi Ho Sun,Byun Ji Soo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1

        목적 :조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요법은 근치적수술을 시행하고 재발의 위험이 높은 불량한 예후를 갖는 환자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생존과 치료실패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5년 8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자궁경부암 병기 IB와 IIA환자 106명중 기록이 충분한 9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적율은 $88\%$(78/90)였고 추적기간의 중간간은 64개월이었다. 결과 : 90명에 대한 5년 생존율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80.0\%$, $80.2\%$였다. 다변량생존분석에서 65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병기, 조직학적 분류, 수술전 혈중 CIA 농도, 출산력, 경부침윤정도, 종양의 육안적 크기, 종양의 궤양성 유무, 임파선 전이 유무, 수술절단면의 소견, 항암제치료 유무를 변수로 분석결과 수술절단면의 조직학적인 소견(p=0.005), 임파선전이유무(p=0.005)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추적기간중 13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부위별로 보면 골반내 국소재발이 5명, 원격전이가 8명 이었으며 수술후 3개월에서 39개월사이에 발견되었으며 중간값은 19개월이었다. 골반내 전이는 선암(p=0.034)과 경부침윤 10mm 이상(p=0.02) 그리고 항암제치료(p=0.023)를 시행하였던 환자군에서, 원격 전이에 있어서는 임파선전이와 수술절단면에서 암세포가 양성을 보였던 환자군에서 각각 더 높은 전이율을 보였다. 치료에 의한 합병증을 호소하였던 환자는 15명이었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혈변이나 혈뇨였고 중증의 합병증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 이에 저자는 조기자궁경부암 IB와 IIA환자에서 수술병리학적소견중 임파선전이와 불충분한 수술적절제가 예후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소견을 보인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보조치료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adjuva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has been usually applied to the patients with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s after radical operation in early cervical cancer. W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survival status and failure patterns of the patients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ninety patients with FIGO stage IB and IIA cervix cancer who received postoperative pelvic irradiation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1985 and December 1988, Seventy-eight patients had adequate follow-up information for survival analysis. Median follow-up time of these patients was 64 months. Results : The 5 year overal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of ninety patients was $80.0\%$ and $80.2\%$, respectively. The prognostic significance to the survival was determined by multivariate analysis. Adequacy of resection margin(p=0.005) and lymph node status(p=0.005) appeared to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currence occurred in 13 patients, 5 in the pelvis and 8 at distant sites. The median time to recurrence was 19 months(range:3-39 months). The pelvic recurrence was more prevalent in the group of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depth of stromal invasion more than 10mm and use of chemotherapy. The distant failure was more prevalent in the group of positive resection margin or positive lymph nod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Patients with pelvic lymph node or surgical margin involvement clearly constitute a high risk group in this analysi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candidates for some form of adjuvant therapy.

      • KCI등재후보

        무인 어장 도적 감시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임정빈,남택근,Yim, Jeong-Bin,Nam, Taek-Ke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어장에 침입하는 도적을 감시하기위한 어장보호 시스템의 구현절차와 구현결과를 기술하였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가부터 고가 및 단순 기능부터 복합 기능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육상으로부터 0.5 마일 이내에 총 50개(가로 10열, 세로 5열)의 케이지가 밀집된 전라남도 진도군 소재 전복 양식장에서 구축한 시스템을 현장 실험하였다. 그 결과, 구축한 시스템이 양식장 전체는 물론 단위 케이지까지 세밀하게 감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results of Fishery Safety and Security System to secure an aquaculture area from a thief. The system designed with various functional modules to implement selectively available system providing low cost to high cost and simple function to high function according to user's requirement in a practical fishing fields. In the abalone farm field located in Jin island, Jeonranam province and having condensed aquaculture facilities with 50 cages (10 row by 5 column) within 0.5 miles from coast, practical field tests are carried out. As results from that tests, it is found that the system can guard not only the whole area of cultivating farm field but also each cages with detail.

      • SCOPUSKCI등재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on Local Recurrence of Rectal Cancer

        정웅기,안성자,남택근,나병식,김영진,Chung, Woong-Ki,Ahn, Sung-Ja,Nam, Taek-Keun,Nah, Byung-Sik,Kim, Young-Ji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2

        1982년 1월 부터 1990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95명의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종양제어에 대한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95명의 환자중 72명은 수술만 받았으며 나머지 23명은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았다. 환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가 45명 여자가 50명으로 비슷하였으며 연령의 중앙치는 53세 였다. 최소 추적기간은 19개월(범위 : $19\~125$)이었으며 중앙치는 47개월이었다. 종양의 국소재발율과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계산하였으며 두 군간의 비교는 Log-rank test에 의하였다. 전체 95명의 환자중 27명 ($28.4\%$)에서 국소 종양의 재발이 관찰되었으며 13명($17.3\%$)에서는 원격 전이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국소 종양 재발이 관찰된 27명중 24명 ($89\%$)이 수술 후 24개월이내에 재발되었으며 부위는 원발 병소 주위의 골반강내 조직에 가장 흔하였다. 수술만 받은 72명의 환자중 24명에서 국소 재발이 관찰되었다. 병기 A와 B1의 17명중 6명에서, B2와 B3 33 명중 7명 ($29.9\%$)에서, C2와 C3 19명중 11 명 ($54.7\%$)에서 각각 재발되었으며 병기에 따른 재발율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p<0.05).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23명의 환자중 병기 B2와 B3 10명중 1명 ($10\%$)에서, 병기 C2와 C3 10명중 2명($22.2\%$)에서 재발이 관찰되었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p<0.05). 한편 병기 B2와 B3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지 않은 군 보다 시행한 군에서 국소 종양 재발율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를 갖지 못하였으며 ($29.9\%$ vs $10.0\%$, p<0.05), 병기 C2와 C3의 경우는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종양의 재발이 낮았으며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34.7\%$ vs $22.2\%$, p<0.05). Ninety five patients of rectal cancer treated with surgery with or without adjuvant radiation therapy since January 1982 to December 1990 at th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egarding local failure. Of these 95 patients 72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ery alone and remaining 23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to pelvis. There were 45 men and 50 women with 53 years of median ag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9 months and median was47 months (range, 19-125 months).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actuarial risk of local recurrence and survival rat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was evaluated by Log rank test. Of total 95 patients twenty seven patients ($28.4\%$) developed local recurrence and 13 patients ($17.3\%$) developed local and distant metastasis concomitantly. Eighty nine percent (24/27) of patients developed local recurrence within 24 months. Pelvic organ adjacent to the primary tumor area was the most common site of initial local recurrence. Of 72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lone local recurrence developed in 24 patients. Of 17 patients with stage A and 81 (Gunderson-Sosin modification of Dukes' staging system) 6 patients experienced local recurrence ($31.2\%$). The local recurrence rate of B2 and B3 group was $29.9\%$ (7/33) and that of C2 and C3 was $54.7\%$ (11/19), respective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Of 23 patients treated with definitive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10\%$ (1/10) recurred in B2 and B3 patients. This was slightly lower than C2 and C3 patients ($22.2\%$, 2/10) of similar policy, but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patients of B2+3 local failure rate decreased when radiation therapy was added ($29.9\%$ vs $10\%$, p>0.05) and also similar results in C2+3 group ($34.7\%$ vs $22.2\%$, p<0.05). The local failure rate in relation to distance from the anal verg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