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김윤희 ( Yoon Hee Kim ),윤기순 ( Ki Soon Yoon ),권덕기 ( Duck Kee Kw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생물영역의 총괄 평가문항의 평가 목표를 블룸의 신 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 목표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구지역 중학교 25개교로부터 총 1,711개의 총괄 평가 문항을 수집하여 블룸의 신 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각 문항의 평가 목표를 분석하였다. 총괄 평가 문항을 지식과정 차원의 목표분류틀로 분석한 결과, 사실적 지식에 대한 평가를 목표로 하는 문항이 대부분(67.6%)을 차지하였다. 인지과정 차원에서 표본 문항의 평가 목표는 기억하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가장 우세하였다(76.1%). 문항의 주된 평가 목표들이 블룸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 중 특정 영역에 치우쳐 있었고, 동일한 분류체계로 수업 목표를 분류했던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수업목표와 평가 목표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다. 학년별 문항의 평가 목표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변하는 인지 수준을 고려하여, 평가 목표를 선정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문항의 평가 목표에서 학년별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objectives infered from questions of summative evaluation by analyzing those objectiv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1,711 questions of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s collected from 25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to classify objective of each ques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objectives in the knowledge dimension, the assessment of factual knowledge was most prevailing(67.6%) in the biology summative evaluation.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memory assessment was most dominant(76.1%). Thus, the main objectives of evaluation leaned toward particular classes in the Bloom`s revised taxonom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on the weights of evaluation areas. Second, the level of the objectives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of middle schoolers, as their cognitive level improves with grade. In fac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ree grades in characteristics of objective taxonomy.

      • KCI등재

        생물 2 교과서 광합성 단원의 오류 분석 및 생물 교사의 오류 인지 조사

        박혜경 ( Hae Kyung Park ),윤기순 ( Ki Soon Yoon ),권덕기 ( Duck Kee Kw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생물Ⅱ 교과서의 `광합성` 단원에 나타난 내용 오류를 분석하여 수정 예시를 제시함과 아울러 이 오류가 과목 담당 교사들에 의해 어느 정도 지적되고 수정되는지 조사함으로써 오류가 수정 지도될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 생물Ⅱ 8종 교과서 광합성 단원에서 오류를 분석하고, 오류가 담긴 교과서 내 지문으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교사들의 오류 인지 및 수정정도를 조사하였다. 8종의 교과서 광합성 단원의 13개 학습주제에서 발견된 오류의 수는 총 48개였으며, 1종의 교과서에서 1개의 학습주제에 대해 4가지 오류가 나타나거나 동일한 오류가 여러 교과서에서 각각 나타나기도 하였다. 35명의 생물Ⅱ과목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결과, 교과서에 나타난 그래프(문항 6번), 잘못된 용어(문항 4-3번), 잘못된 그림(문항 1-2번) 등과 같은 단순오류의 경우를 오류를 정확히 지적하고 수정한 예가 각각 43%, 40%, 32%로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광합성의 명반응 과정을 설명하는 삽화에서 에너지 준위의 개념이 접목되어야 하는 오류에 대한 지적을 한 사례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Ⅱ 광합성 단원에 나타나는 오류는 정확히 수정되어 지도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학생들이 광합성에 대한 오개념을 가질 가능성을 낮추려면 오류를 수정 사항에 대한 자료를 교사들에게 배부하거나 교사연수 또는 워크샵 등을 통해 이에 대한 정보를 나눌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or not any wrongful description or simple errors were in photosynthesis unit of Biology Ⅱ textbook under 7th national curriculum and if so, to know whether or not high school teachers recognized and corrected properly the mistakes. The mistakes in photosynthesis unit of text books were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with several reference books and through examination by three plant physiologists in 8 different Biology Ⅱ textbooks. After the mistakes were analysed, the survey using contents of textbook containing the mistakes was conducted on high school teachers teaching Biology Ⅱ. As a result, 48 mistakes were determined in 13 subjects. As many as four mistakes were found even in one subject in a certain textbook and a same mistake was found repeatedly in several textbooks.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who pointed exactly the mistakes out corrected properly, however, the percentage of these ones out of 35 teachers replied to survey was less than 50%. The ratios of correction out of total number of responses were high in question #6 (43%), #4-3 (40%), and #1-2 (32%) which were containing a simple mistake in graph, a wrong word and a wrong picture, respectively. But, no one pointed out and made correction in question #5-1 and #5-2 which were containing Z scheme of light reaction without the legend of vertical axis that should be explained as electron energy or standard reduction potential. The result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mistakes in photosynthesis unit of Biology Ⅱ textbook can be corrected and teached properly by teachers may be low. In order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students may have misconceptions about photosynthesis, the list of print`s errors should be provided to the teachers and/or the training program and/or workshop for in-service high school biology teachers was recommended.

      • KCI등재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한국 - 이스라엘 과학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효율성

        서혜애 ( Hae Ae Seo ),윤기순 ( Ki Soon Yoon ),권덕기 ( Duck Kee Kwon ),송방호 ( Bang Ho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Korea-Israel science teachers inservice program. Thirty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gram responded to pre- and post tests of the survey instrument on (a) their perceptions to creativity fostering sci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s of current education status and reform movement, (b) degrees of changes about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for fostering crea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c) their evaluative opinions on the program.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rogram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a pre-service workshop for the program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clearly realize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program through increase of participat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facing conditions of education, school policy, reform movement toward science education fostering creativity. Second, for the content of the program, creativity is more emphasized. Appropriate content and sufficient time arrangement for creativity will develop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 depth. Third, classroom observation of exemplary science teaching for fostering creativity should be sufficiently arranged. Fourth, amount of content and time allotment to Israel culture, religion, and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duc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과학 교육에서 STS 수업모형의 적용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정미진,윤기순,권덕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STS 과학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STS 수업모형의 적용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논문은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출판된 석사학위 논문 104편과 과학교육 저널에 출판된 논문 78편을 포함한 총 180편이었다. STS 수업 모형의 효과 평가에 총 56편이 선정되었다. STS 수업 모형 적용 효과의 평균효과크기는 0.40이었다. 이 결과는 STS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업 성취도, 탐구능력, 환경에 대한 태도 및 환경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전통적인 수업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STS 수업은 환경에 대한 태도의 증진에 가장 큰 평균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STS 수업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STS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STS 수업 모형의 효과와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계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the STS Education an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effects of STS teaching model by using Meta-analysis. The selected research articles were 180 articles including 104 of the master’s theses and 76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1 to 2006.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T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56 articles were selected finally. The mean effect size of the application effects of STS teaching and learning was 0.40. The result indicated that STS teaching had more positive effects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on enhancing student's attitude fo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inquiry ability, attitude for environment and knowledge for environment. Especially, it had shown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in the attitude for environment. Therefore, it might be better to reflect these results for the best effect of STS teaching. To assess STS education on the whole, it is necessary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ST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interrela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KCI등재

        Calculator - Based Laboratory system과 실험 Kit를 이용한 과학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화숙,송방호,권덕기,손종경,양홍준,박성호,서혜애,윤기순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2

        Calculator-Based Laboratory(CBL) system을 중·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 그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향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의 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을 현직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54명에게 소개하고, 직접 실습하게 한 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 및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교사의 성별, 학교, 지역, 최종학위 및 교사 경력 연수 따른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의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이 우수하며,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교사들의 성별, 학위소지, 근무학교 경력 등의 차이에 따라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에 대한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보다 세분화하고 교사들의 흥미, 관심 및 필요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사중심의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CBL system을 과학교육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단원별 현장 적용 및 효율성을 검정하여, 우리 나라 과학 교육 현장에 적합한 CBL system 과학 실험 모형의 개발이 촉구되며, 현행 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A Calculator-Based Laboratory (CBL) system was introduced to science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to its classroom application was assessed. A CBL survey instrument was responded by 54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who undertook a three-hour workshop of science experiments with CBL syste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to CBL system among gender,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teacher's degree, and years of teaching in terms of learning CBL system, applicability of CBL system for science classrooms, and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Male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p<.05) higher agreement to learning of CBL system and applicability for science classrooms than female teach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teachers, high school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p<.05) high interests in CBL applicability for science classrooms and perceptions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of science achievement. Teachers with 4-8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lso showed significantly (p<.05) higher interest toward learning CBL system and its applicability. It was concluded that science teachers perceived CBL system as a promising science teaching method i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a science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CBL syste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and years of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