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빗 모형을 활용한 도심권 승용차 운전자 행태변화 요인 분석

        윤규근,유경상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6 No.-

        도로공간재편은 차로 축소 등으로 확보된 여유 공간을 보도, 자전거도로, 대중교통전용차로 등으로 전환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기존의 차량 중심 도로 운영을 사람 중심으로 변화시키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로 공간 재편으로 인한 도심 통행시간 증가로, 승용차 운전자들의 행태가 변화할 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파악하고, 변수간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도심권에 도착하는 승용차 운전자들의 개인 및 통행특성을 수집하였으며, 통행시간 증가율 시나리오와 선택 가능한 5개 대안을 제공하는 SP조사가 병행되었다. 토빗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개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대중교통에 대비한 승용차의 편의성과 도심권의 주차 편의성 변수의 영향력이 강함과 동시에 정책 시행을 통한 조정의 여지가 있는 변수로 분류되어, 향후 서울시 도심권 교통정책 수립 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A Simulation Sandbox to Compare Fixed-Route, Semi-flexible Transit, and On-demand Microtransit System Designs

        윤규근,Joseph Y. J. Chow,Srushti Rath 대한토목학회 2022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6 No.7

        With advances in emerging technologies, options for operating public transit services have broadened from conventional fixed-route service through semi-flexible service to on-demand microtransit. Nevertheless, guidelines for deciding between these services remain limited in the real implementation. An open-source simulation sandbox is developed that can compare state-of-the-practice methods for evaluating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public transit operations. For the case of the semi-flexible service, the Mobility Allowance Shuttle Transit (MAST) system is extended to include passenger deviations. A case study demonstrates the sandbox to evaluate and existing B63 bus route in Brooklyn, NY and compares its performance with the four other system designs spanning across the three service types for three different demand scenarios.

      • KCI우수등재

        생존분석을 활용한 과속방지턱 영향구간 분석

        윤규근,장유림,고승영,이청원,YOON, Gyugeun,JANG, Youlim,KHO, Seung-Young,LEE, Chungwon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과속방지턱으로 인해 통과차량이 제한속도 이하로 주행하게 되는 구간을 영향구간이라 정의하였다. 이를 과속방지턱 통과 전 구간 사이 구간 통과 후 구간으로 구분한 뒤, 단독 및 연속 설치 여부 차종 시간대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이 구간에서는 구간 내에서 제한속도 이하로 주행한 거리의 비율을 유효영향구간비율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스피드건으로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속도궤적을 수집하여 영향구간의 길이를 산출하였고, 생존분석을 이용하여 추정한 영향구간의 생존함수를 비교하였다. 설치 형태에 따른 변화 분석 결과, 50m 간격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통과 전 평균 영향구간 길이는 단일형보다 75.3% 길었으며, 통과 후 평균 영향구간은 18.9%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유효영향구간비율은 30m와 50m 간격에서 각각 81.0%와 76.0%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제한속도 이하로 주행한 절대적 길이는 각각 24.3m와 38.0m로 50m 간격에서 더 길었다. 차종별로 추정된 영향구간의 생존함수에 대해 로그순위검정을 수행한 결과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영향구간이 단일형 과속방지턱보다 길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차종은 단일형 과속방지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주야 시간대는 유효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속방지턱의 적정 설치 위치 또는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적정 간격 산정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efines influencing sections as the part of the road section where passing vehicles are traveling with the lower speed compared to speed limit due to speed humps. The influencing section was divided into 3 parts; influencing section before the speed hump, interval section, and influencing section after the speed hump. This analysis focused on the changes of each part depending on installation types, vehicle types, and daytime or nighttime. For the interval section, especially, the ratio of distance traveled with lower speed than speed limit to interval section is defined as effective influencing section ratio to be analyzed. Vehicle speed profiles were collected with a speed gun to extract influencing section lengths. The survival analysis was applied and estimated survival function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several statistical tests. As a consequence, the average length of influencing section on the 50m sequential speed humps was 75.3% longer during the deceleration than that of isolated speed hump, and 18.9% during the acceleration. The effective influencing section ratio for the 30m and 50m sequential speed humps had a small difference of 81.0% and 76.0% while the absolute values of the section that passing speed were less than the speed limit were longer on 50m sequential speed humps, each being 24.3m and 38.0m. Using the log rank test, it was evident that sequential speed humps were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length of influencing sections compared to the isolated speed hump. Vehicle type was the strong factor for influencing section length on the isolated speed hump, but daytime or nighttime was not the effective one. This research result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selecting the installation point of speed humps for road safety and estimating the standard of the distance between sequential speed hump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