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NC선반 절삭에서 이송속도 및 절삭속도의 변화에 따른 재질별 표면조도에 관한 연구

        윤경욱(Kyeong-Uk Yun)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2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7 No.4

        This study has performed cutting tests by material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surface roughness of the workpiece given the change in the correlation between cutting speed and feed rate during CNC lathe cutting. In the test, SUM21, Al alloy 2024, and 6:4 brass was processed based on the cutting conditions of a regular work standard and then the changes in surface roughness based on Center Line Average (Ra) after increasing or decreasing cutting condition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SUM21 generated the best Ra in 180m/min, 0.07mm/rev; Al alloy 2024 generated the best Ra in 400m/min, 0.07mm/rev; and 6:4 brass generated the best Ra in 220m/min, 0.07mm/rev. Furthermore, precise Ra was generated in general when feed rate was reduced while cutting speed was fixed; and all 3 materials generated poor Ra values when cutting speed and feed rate were raised simultaneously. When both cutting speed and feed rate were raised by 30%, there was no significant 6:4 brass Ra, 6.1% reduction only.

      • KCI등재

        한 보육교사의 입사에서부터 퇴사까지의 내러티브 탐구

        윤경욱(Yun, Kyoung Wook),이대균(Lee, Dae K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보육교사의 입사에서부터 결혼과 출산, 육아휴직 후 복직, 그리고 퇴사까지의 경험을 내러티브 방법으로 탐색해 보고,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어린 영아를 둔 보육교사의 심리적 고충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연구참여자가 2016년 3월에 입사하여 15개월간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끝내고 난 후, 복직하여 3개월간 일과 양육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결국 2019년 2월에 퇴사를 결정하기까지의 경험 이야기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참여자를 중심으로 연구참여자가 근무하던 어린이집의 동료 교사와 학부모와의 면담과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저널 그리고 기타자료를 통해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다섯 단계로 열정의 시기-“쌤통령이 되고 싶어요”, 관리의 시기-“좋은 교사의 이미지를 유지하고 싶어요”, 힘겨움의 시기-“엄마 되기 정말 힘들어요”, 두려움의 시기-“오뚝이처럼 일어서고 싶어요”, 이별의 시기-“퇴사가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등의 심리적 변화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기대하는 보육교사의 역할 측면과 육아휴직 후 복직한 보육교사의 기관적응 측면, 육아휴직 후 복직한 보육교사의 지원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child care teacher’s process of employment, marriage, childbirth, parental leave, reinstatement, and resignation by narrative inquiry and underst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as a working mom with a young chil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search journal and interviews with the colleagues and parents in the nursery where the research participant used to work focusing on the research participa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experience from being hired in March, 2016 through 15 month maternity leave, 3 months reinstatement period, and resignation in February 2019.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processes are summarized in five stages: the enthusiasm stage, “I want to be a Ssam-Tong-Ryung(Teacher Hero).”, the management stage, “I want to maintain a good teacher’s image.”, the difficult stage, “It is difficult to be a mom.”; the fearful stage, “I want to stand up like a roly poly.”; and the farewell stage, “I think leaving is the best wa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expected role of a child care teacher, adaptation of returning child care teachers from parental leaves and supports for those returning teachers.

      • KCI등재

        열린어린이집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보람 그리고 바람

        윤경욱(Yun, Kyoung-Wook),이대균(Lee, Dae-Kyu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본 연구는 열린어린이집의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보람 그리고 바람을 질적 연구로 분석하여 열린어린이집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열린어린이집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4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6개월간 2차에 걸친 개별면담과 연구 참여자 및 연구자의 저널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열린어린이집을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으로는 업무증가, 피곤상승: “피해갈 수 없는 것들” / 열린어린이집, 닫힌 교사 맘: “긴장으로 하루를 보내요” / 사랑 고백보다 어려운 참여독려: “우리 아이 함께 키워요” / 피드백 없는 메아리: “모범답안이 필요해요”로 나타났으며, 열린어린이집을 경험하는 교사들이 느끼는 보람으로는 성장하는 교사: “나는 열린 교사입니다” / 성숙해진 아이들: “아이들의 성장은 나의 보람” / 열림은 소통의 장: “역지사지” / 투명한 열림, 신뢰받는 교사: “백문이 불여일견”으로 나타났고, 열린어린이집을 경험하는 교사들의 바람으로는 열린어린이집 교사들에게 칭찬스티커 주기: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대요” / 열린어린이집 평가기준개선: “규제 완화가 필요해요” / 부모참여를 위한 국가 제도마련: “워킹맘, 당당하게 맘 역할 수행”으로 나타났다. Ten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ing experience of an open child-care center.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a researcher"s journal for 6 months from April 1st to September 20th, 2018. The results of the analysis, namely the difficult things, with quotes,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in open child-care center were as follows: Increased work, increased tiredness - "things that cannot be avoided”; Closed mindedness of child-care teachers - "Spend one day in tension”; Encouraging participation more difficult than confession of love - "We raise children together”; and Echoes without feedback - "I need a model answer”. The rewarding things were: Growing Teachers - "I am an open teacher”; Mature children - "Children"s growth is my reward”; Opening up is the way of communication - "Walk in someone"s shoes”; and Transparent open, Trusted teacher - "One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 The teachers" hopes were: A praise sticker would be given to open child-care teachers - "Praise makes dancing whales”; Improved evaluation criteria for open child-care center - "Deregulation is needed”; and Establishing a national system for parental participation - "Working Mom, acting as a Mom in a confident manner”.

      • KCI등재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딜레마 탐색

        윤경욱(Yun, Kyoung-Wook),이대균(Lee, Dae-K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딜레마와 딜레마 해결과정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2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약 7개월간 유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4명의 보육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총 16회의 개별면담과 12회의 교사협의회 그리고 저널 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하게 된 딜레마로는 놀이 지원의 기준과 한계, 학습에 대한 갈증을 보이는 학부모, 교사역할의 자율성에 대한 무게감과 책임감 등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놀이를 통한 배움의 경험, 교사협의회와의 협력 등을 통해서 딜레마를 해결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보육교사가 딜레마를 겪게 되는 경험은 유아와의 관계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므로 보육교사가 관계를 맺고 있는 유아, 학부모, 어린이집 그리고 교사 자신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첫째, 유아와의 관계 둘째, 학부모와의 관계 셋째, 나 그리고 어린이집과의 관계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lemma and the solution process of childcare teachers who support children"s play with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selected four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nursery classes for about 7 months from February to August 2020, and collected data through 16 individual interviews, 12 parent-teacher meetings, and journal writing. As a result, the dilemmas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children"s play are the standards and limitations of play support, the increase of private education due to parental desire for more education, and a sense of weight and responsibility for the autonomy of the teacher"s role. It was found that the dilemmas were being solved by the children’s learning experience through play, the curriculum created with children, and cooperation with the Parent-Teacher Association(PTA).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irst, relationship with children; second,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ird, relationship with oneself and the childcare center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