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초청제도의 사회통합 기여 가능성 탐색 : 결혼이민자 지원 관련 실무자 인터뷰 사례를 중심으로

        육수현 ( Youk Suhyun ),장주영 ( Jang Juyoung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2

        2012년부터 결혼이민자의 부모, 자매 등 본국가족은 결혼이민자의 초기정착 지원, 자녀 출산·양육, 인도적 지원 등을 사유로 장기간 방문동거가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를 지원하는 9명의 실무자들을 면담하여 결혼이민자 본국가족 초청제도의 활용 상황과 실효성에 대해 파악하고, 제도가 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와 사회통합에 어느 정도 기여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실무자들은 결혼이민자들이 제도에 대해 잘 알고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보았고, 초청받아 온 본국가족이 건강보험제도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불편함을 표현하였다. 실무자들 대다수는 초청된 본국가족이 결혼이민자의 자녀 양육이나 정서적 지원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노동시장 구조로 인해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참여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반면 초청된 본국가족이 허가되지 않은 임금노동에 참여하는 경우는 많다고 인지하였으나 노동시장의 문제를 초래하는 상황까지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사례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민자 본국 가족 초청 제도의 사회통합 기여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Since 2012, marriage migrants could sponsor their parents and certain family members for long-term visits. It is permitted only if marriage migrants have young children, are in the early stage of immigration, or require support due to vulnerable family circumstanc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family invitation for marriage migrants could contribute to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Nine interviewees who were civil servants or working at institutions for immigrants provided their insights about the family invitation. The interviewees thought that marriage migrants had enough information about how to sponsor their families, but they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excessive use of the Korean health care systems in some cases. They evaluated that invited family member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supporting child-rearing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Still, it could not lead to increasing marriage migrants’ labor market participation due to existing barriers in the job market. Although most of them acknowledged the unlawful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invited family members, they considered its influence minimal. Implications of the family invitation and how to maximize its contribution to marriage migrants' social integr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구논문 : 반(半)주변부국가 언어의 경계 넘기: 베트남 내 한국어 구사자의 수용과 활용을 중심으로

        육수현 ( Su-hyun Youk ) 한국동남아학회 2015 동남아시아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베트남 내 한국어 구사자의 사례를 통해 한국어 학습열풍이 일어난 배경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과 활용과정에서 한국어가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반(半)주변국 언어라는 한국어의 언어적 위계(hierarchy)가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요인속에서 베트남 학습자에게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를 주요하게 탐구하였다. 연구자가 파악하고자 했던 주된 궁금증은 베트남인 한국어 구사자들이 ‘한국어가 인기가 있고’, ‘한국어와 특별한 인연’이라고 말하면서, 한국어에 대해 냉담하고 객관적 시선을 갖는 것인가 였다. 한국과 베트남의 재수교가 있었던 1992년이 지나고 1990년 후반부터 불었던 드라마 한류와 한국 기업 진출, 2000년 중반 이후부터 거세진 K-pop을 중심으로 한 신(新)한류와 다양한 분야의 한국 기업진출 확대가 베트남에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한국어 구사자가 생겨났다. 베트남에서 한국어는 ‘K-pop 아이돌 오빠의 언어’로 소녀들의 마음에 불을 지르며, 있는 집 자녀의 문화적 취향이 되기도 하고, 성공이라는 목표를 가진 누군가에게 ‘기회’로 인식되어 경제성을 담보한 언어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국어가 “여성의 언어”라는 이미지, 한국어 활용에서 오는 불이익, 한국 회사와 상사가 주는 실망감, 한국어의 국제적 위치에 따른 활용 범위의 한계, 커져가는 영어 습득 압박은 한국어 구사자에게 회의감을 불러일으킨다. 한국어 습득은 지금보다 더 나은 정치경제적·사회문화적 상황을 만들 수 있는 자본으로서 역할 할 수 있지만, 그 현실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계의 요인은 한국이 가지고 있는 국가적 위상과 관련이 있으며, 반(半)주변부 국가인 한국의 위치와도 과계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strate the background of that learning Korean is getting popular among Vietnamese by looking into some case studies about individuals who learn Korean in Vietnam, and to investigate how Koreans can be absorbed by them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and utilizing it. Especially,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how the hierarchy of Korean, which is considered as the language of Semi periphery country, could influence Korean speakers in Vietnam in the context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key question is that the reason why Korean speakers in Vietnam might objectively assess, or even consider it negatively, even though they want to say that “Learning Korean is popul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ietnam and Korea is very special.” In Vietnam Korean can be considered as cultural tastes being enjoyed by children from a rich family, and can be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ward people who aim to be successful. In the meantime many teenage girls admire Korean as ‘language of K-pop idols.’ However, on the other hand, some Korean speakers seem to feel skepticism about ‘learning Korean’ because of a certain image occurred by learning Korean, like a gay, any disadvantages from using Korean, being disappointed due to bad treatment from a Korean senior or Korean company it-self, the limitation of using korean in the international arenas, and being suffered from pressure to learning English instead of Korean. Learning Korean could play a role as a capital which can make it better in terms of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Vietnam, but still it might be limited in the end. The main reason of this limitation might be related to ‘national image of South Korea.’

      • KCI등재

        기업출연 공익법인의 사회공헌활동과 현지 전문 NGO의 상호작용: 베트남 중부지역 친환경 놀이터 건립 사례 연구

        육수현 ( Youk Suhyun ) 한국동남아학회 2021 동남아시아연구 Vol.31 No.4

        이 연구는 기업출연 공익법인이 사회공헌활동을 하는데 현지에서 오랫동안 활동해온 사회단체가 함께 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상호작용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베트남 중부지역은 한국 정부뿐만 아니라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위협요인인 ‘베트남전쟁’과 관련이 깊은 지역으로, 언제든 베트남 정부조직(중앙, 성), NGO 등이 문제제기 할 수 있는 주요한 지역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은 정부와 민간차원에서 베트남 중부지역에 ODA 사업을 지원하는 등 오랫동안 공을 들이고 있다. 정치적 이슈가 존재하는 중부지역에 베트남전쟁과 관련해 활동을 해오던 NGO인 C단체는 꾸준한 활동과 다른 기관에서는 하기 어려운 사회공헌활동 콘텐츠를 개발하여 A 공익법인의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을 수행하였다. 유명 기업출연 A 공익법인의 지원으로 중부지역에 친환경 놀이터를 건립하게 되면서 C 단체는 새로운 재원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층위와 연결되어 활동의 폭과 지속가능성을 얻고, 기업은 단순 사회공헌이 아닌 지역사회와 상호교류하면서 이슈관리까지 가능한 새로운 파트너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비단 기업의 이미지와 직접적인 이익 상승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기업과 사회공헌 활동 지원 조직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조직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laborates the extent to which degree of interaction that could occur when enterprise-funded public corporations work with locally-specialized social organizations with a specific case study. As Central Vietnam is a region closely related to the 'Vietnam War', which might be a potential threat to not only the Korean government but also Korean companies that have entered Vietnam, it is considered as an major area that such organizations like Vietnam government, NGO and so on could call into a question. In the context of this situation, Korea government has been putting lots of efforts to support them in various ways; carrying out ODA projects in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ways. In the area of Central Vietnam with political issues, Group C-NGO-, which has contributed for issues and activities related with Vietnam War, has been continuously working hard. Especially, it conducted CSR projects by developing some different CSR contents, which other organizations could not be able to make it. From an eco-friendly playground suggested and developed by Group C with A Enterprise-funded public corporation’s financial supports, the Group C might eventually obtain new financial resources and some opportunities to expand their business in more sustainable ways by being connected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communities and business areas. Moreover, they were able to approach and build a relationship with new partners, that can help them to manage issues by interacting with local communities, not jut CSR activities. Thus, the CSR activities of corporations can not only boost their profits directly, and not only generate better corporation perceptions, but also can effect on the activities of social organization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the corporation and organizations that encourage CSR initiatives.

      • KCI등재
      • 『임원경제지』에 기록된 자원식물의 현대적 활용

        홍인경(Inkyoung Hong),채 영(Young Chae Han),장윤아(Yoonah Jang),이상미(Sang-mi Lee),서정남(Jung nam Su),한경숙( Kyungsook Han),육수현(Suhyun Youk) 인간식물환경학회 2018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추계

        최근 도시농업은 텃밭의 면적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이용자의 수준 향상과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식재로 한정되어 식량자원으로서 재배되는 역할에만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도시 내 농업은 지속가능한 도시의 주요한 구성요소로 간주되어 전 세계적 으로 도시의 생태적 재생과 안전한 먹을거리 확보, 도시민의 여가활용 등으로서 그 역할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가정백과에 해당하는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 기록된 893종의 생물자원 중 관휴지와 만학지에 서술된 채소류, 풀열매류, 산과들 채소류, 약류, 꽃류 등을 중심으로, 현대적 맥락과 지역적 맥락, 현실적 맥락, 대상적 맥락에 따라 식재를 구성하되, 현실적으로 구입하기 어려운 식물은 목록에서 제외하고 현대에 활용 가능한 식물 위주로 재구성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 민생을 먼저 생각했던 실학적 사상이 녹아있는 식물의 목록으로, 각 식물별 파종, 정식, 수확관련 재배일정 및 재식 간격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여 도시인들이 좀 더 쉽게,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여 텃밭을 가꿀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인문자원의 하나인 역사문화자원의 새로운 테마로 제안된‘실학텃밭’의 다섯가지 유형에 맞춤형 식재자원으로 제공될 것이다. 이를 통해 1차적 생산과 2차적 소비 활동이 주를 이루는 도시텃밭에서 교육, 전통적 가치 습득과 함께 4차 산업으로 확대되는 새로운 자원으로서 도시농업이 그 역할을 할 것이며 역사문화자원으로서 전통지식(조선의 산과 들에서 나고 자라는 채소류, 약류 등)을 적용해 모델을 만들어 보급함으로써 도시인들의 지적·참여적 만족감을 높이고, 도시텃밭의 다양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