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과 홍콩 지하철역의 벽면 내장색 비교 연구

        유희선(Ryu, Heeseon),박혜경(Park, Heykyung)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근래 대도시 주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는 지하철은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하철역의 실내환경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하철역내 일반 보행자의 시야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벽면에 색이 가지는 상징 기능과 전달 기능을 고려하여 적절한 내장색을 도입하면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승하차시 역에 대한 인지를 도울 뿐 아니라 지하철이라는 공공 환경의 장소 특성 및 지역 문화를 표현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서울과 홍콩의 28개 지하철환승역의 벽면 내장색을 측색하여 색채 적용 특성을 분석하고 서울과 홍콩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현재 아시아의 주요 도시로서 서울과 홍콩 지하철역 색채사용 현황과 향후 계획될 지하철역을 포함한 공공공간의 색채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경부와 액와부에 동시에 발생한 소아의 국소형 Castleman 질환

        노혜원(Hye Won Ro),유희선(Hee Sun Ryu),조진성(Jin Seong Cho),박민호(Min Ho Park),윤정한(Jung Han Yoon),제갈영종(Young Jong Jegal),이지신(Ji Shin Lee),임효순(Hyo Sun Lim) 대한외과학회 2010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8 No.5

        Castleman’s disease (CD) is an unusual benign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of unknown etiology and pathogenesis. It most commonly occurs in the mediastinum, but rarely in the axilla or neck. CD has been rarely reported at pediatric age in Korea. Here we report a 17-month-old male patient with histopathologically proven cervical & axillary CD of the hyline vascular type who presented with a painless axillary palpable mass and was treated with a complete excision of the neck & axilla mass without complication.

      • KCI등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BI 색채적용 특성에 대한 연구

        박혜경(Park, Heykyung),유희선(Ryu, Heeseo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아름다운 금수강촌실현과 농어촌 주거환경 이미지 형성을 위해, 09‘ 년도에 작성된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 적용 모델 제작Ⅰ’상의 농어촌 마을의 유형분석 및 환경색채 적용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제 마을에 적용시켜보는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현장적용프로세스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시범마을 선정을 위해 농어촌 지역에 대한 개발사업 전반을 분석한 결과, 기 조성된 지역을 대상으로 개량정비사업으로 이뤄지고 있는 마을과 신규조성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어지고 있는 마을로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선정된 기존마을은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사업이 진행 중인 ‘청양군 칠갑산권역의 천장리’와, 신규조성계획마을은 농어촌뉴타운조성사업의 대상지인 ‘충북 단양군 단성면 중방리’로 기 형성되어진 마을의 환경색채 재정비 방안 및 새로 계획되어지는 마을의 환경색채계획 방안으로 구분하여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각각 해당마을의 경관권역분석 및 환경색채조사를 실시하였고, 기 작성된 가이드라인 상의 색채를 적용하였다. 다음은 적용된 건축물 및 시설물의 유형을 파악하여 유형별 계획안을 작성하고,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해 최종 적용색채를 선정, 실제 적용 및 보완작업을 통해 현장적용 모델을 검토하였다.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 적용 모델 제작Ⅰ’상의 유형별 색채가이드라인의 건축물 용도별, 시설물 종류별 색채를 실제 마을에 적용하여,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실질적인 현장적용모델로 재정립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Recently, attempt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 by using space communication in forms of ‘user-benefit space’ is rising rather than advertisement, sales promotion or PR article and introducing BI color into the space is recommended in constructing an integrated brand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nder premise of idea that in order to convey its brand identity more effectively, communication function of color in space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we proceed field research on how Brand Identity colors are applied into environmental colors in major User-Benefit spaces in Korea. This study can be a fundamental study of interior space color plan for strengthening brand identity and brand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7 major company that operates ‘User-Benefit space’ were chosen and field research were carried out from July, 2010 to September, 2010. To measure environmental colors, spectrophotometer was used and measuring were proceed in rest spaces which most of the communications and conveniences are provided. As a result, the tendency applying BI colors as accent colors such as furniture or facilities are dominant, and difference between BI environmental color and its surrounding colors are rather outstanding for easy cognition. Based on Identity and communication function of BI colors, it is expected to increase marketing effect in operating User-benefit space if colors are introduced into customer communication space in various method.

      • KCI등재

        환경정보로서의 지하철역 내장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혜경(Park, Heykyung),오지영(Oh, Jiyoung),유희선(Ryu, Heeseon)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4

        근래, 지하철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주요 교통수단이자 생활환경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하철 노선과 역의 수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목적지를 향하는 사용자들이 위치, 방향 파악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가능성도 증가하게 된다. 장소를 지시하는 시각적 단서로서 노선색이나 이를 활용한 지하철역의 내장색들이 효과적인 지원 도구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 속 대중들의 주요 교통수단으로서 노선과 위치에 대한 환경인지의 수요가 높은 지하철 환승역의 내장색채를 추출하여 노선색 적용 현황을 조사하고 이들의 배색 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공환경에서 길찾기를 지원하는 환경정보로서의 환경색채 계획의 기초데이터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와 오사카의 총 26개 지하철환승역을 대상으로 현장 측색조사를 실시하여 총 374개 내장색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색상, 명도, 채도측면에서 노선색과의 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전달성, 명시성, 주목성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서울, 오사카 지하철 노선색 활용에 대한 조사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사용 중인 노선색이 다양한 반면, 서울, 오사카 모두 노선색을 내장색에 반영하는 방법으로 강조색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선색을 주조색 등으로 도입하여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두 도시의 일반적 내장색의 사용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나 오사카가 서울보다 저채도의 강조색을 사용하여 전반적으로 차분하고 편안한 마감색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노선색과의 색상관계 분석의 결과, 서울의 강조색에서는 노선색과 유사한 색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주조색의 경우, 서울과 오사카 대부분이 노선색과 무관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노선색과의 명도관계 분석에서는 서울과 오사카 모두 명시성과 주목성에 대한 고려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도관계 분석에서는 서울보다 오사카가 대비배색 관계가 우세하게 나타나 주목성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과 같이 내부공간구조가 복잡한 공공환경의 경우, 색의 전달성, 명시성, 주목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색채 계획을 통하여 효과적인 장소지시를 할 수 있는 환경정보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colors are becoming important par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public spaces suen as stations, campuses, or parking lots. As the numbers of subway lines and stations increase and their spatial struetures become more complicated, interior colors as wrea as line colors can be expected as effective informations indicating places me musers head, intoward their destin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munderstand the current color applications of subway stations in terms of offering informations about the place. The investigation has been proceed on 26 transfe cstations of Seoul and Osaka from Apriase2009 tomFebruaryse2010, and total 3at colors we e drawn bymusing measurement facilitymwhich is Minolta spectrophotometer CM-2600d.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the use of "hues" of interior colors in both Seoul and Osaka appeared as being limited to group "Y", compared to those of line colors are introduced variously. More efforts to apply line colors to interior elements as secondary environmental information will be required for users. Second, in terms of "hue", the relation between interior colors and line colors appeared as unrelated except the "accent" color of Seoul. Third, in terms of "brightness", "contrast" relation between interior colors and line colors appeared in most frequency in both cities, which means that interior color schemes producing high level of legibility are used. Fourth, in terms of "saturation", "contrast" relation between interior colors and line colors appeared more frequently in Osaka, which means that better color schemes are used in the aspect of visibility.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