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미지텔링을 활용한 게임 속 이미지 분석

        유제상(Jae sang YU)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9 No.-

        기존 게임 분석의 주요한 역할을 맡았던 분과는 스토리텔링 연구이다. 게임 관련 스토리텔링 연구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는데, 이는 캐릭터와 이들이 벌이는 사건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구체적인 스토리가 제시되지 않는 게임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게임이라는 연구대상을 한층 더 입체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스토리 중심의 담론 아래 가려진 영역, 즉 이미지(image)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임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이미지(image)를 전달하는(-telling) 방식'에 관한 연구인 이미지텔링(imagetelling)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는 송종인ㆍ박치완의 이미지텔링에 대한 관점을 취하고자 하는데, 이들은 이미지텔링에 관한 시론을 제시하며 '이미지가 지닌 이중성과 복합성'을 세 가지로 언급한 바 있다. 이를 각각 '분석대상성', '이중성', '주체성'으로 명명하여 게임 이미지 분석의 주안점으로 제시한다. 아울러 본고는 게임 이미지의 대표적인 특징을 '중층성'과 '생략'으로 보고 이들의 의미를 밝혔으며, 게임 이미지의 두 특징을 감안하여 오픈월드(open world) 게임의 최근 사례 중 하나인 <폴아웃3(Fallout 3)>를 분석대상성과 이중성, 주체성의 세 관점 하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게임 이미지 분석은 스토리텔링 연구가 밝혀주지 못했던 이미지의 심연을 열어, 게임이 콘텐츠로서 지닌 여러 의미들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In the past, Storytelling led the analysis of the game. Game storytelling study dealt mainly mmorpg. However, this focused on the story, so it could not be analyzed that has no narrative. To a detailed analysis of the game, the story and the images should be handled together. This study presents imagetelling, a methodology to analyze the image of the game. Imagetelling is a study on how to pass the image. This study takes the point of view of imagetelling presented by Song&Park. Those people presented three perspectives of deal with imagetelling. In this study, these are called 'subjectivity', 'duality', 'identity'. And this paper 'multi-layer nature' and 'elision' were identified as the image of the game features; Multi-layer nature is characterized by the image of the configuration space of the game. And elision assumes that each images have the same source and it is deliberately missing some information. Based on the foregoing, this paper analysis the image of <Fallout 3>, which is the most famous 'open world' game. Specific case studies will help us find a new meaning. It tells us how important image is hidden by the story. After this study, many researchers should do that various subsequent studies in progress.

      • 질베르 뒤랑과 글로컬문화콘텐츠

        유제상(Jae-sang YU)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글로컬(glocal)은 용어의 해석과 용례에 있어서 다양한 의견을 내포한 용어이다.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로 구성된 이 합성어는 문자 그대로 ‘세계적인 동시에 지역적이며, 세계성은 지역성에 의해 수정되고 변경된다’는 정반대의 방향성을 함축하고 있다. 글로컬 개념의 성립에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글로벌에 대한 재해석’으로 발현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때의 재해석은 글로벌에 대한 회의감이 반영된 것도 있으며, 글로벌을 수정·보완하는 입장이 투영된 것도 있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는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에서도 계속된다. 문화콘텐츠는 그 특성상 문화를 배경으로 삼고 있기에, 국가간 거래에 있어서 공산품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에서 문화콘텐츠를 문화상품의 대체어로 가정한다면, 글로컬에 대한 논의는 경영·마케팅에서 공산품 교역의 문제를 벗어나 문화콘텐츠의 국가 간 거래라는 새로운 분석 대상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경제의 세계화, 정치의 세계화에 이어‘문화의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글로컬 개념은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를 통해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우선 웰맨(B. Wellman)과 리처(G. Ritzer)의 견해를 분석하여 경영·마케팅 전략 위주의 기존 글로컬 논의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아울러 글로컬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기 위하여 뒤랑(G. Durand)의 ‘의미의 물줄기(bassin sémantique)’ 개념을 활용하고자 한다. 글로컬 개념에 대한 활발한 논쟁이 벌어지는 오늘날을 20세기 이후 현대사회를 지배해온 글로벌이라는 거대담론에 맞서 합류하는 시기(confluences)로 본다면, 이러한 분석은 순환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글로컬문화콘텐츠의 ‘동시대적(Contemporain)인 성격’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진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Glocal is a compound word of 'global and local'. And it has a variety of means inside the term. Glocal is implying 'global and local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lying 'globality is modified and developed by locality'. Many of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glocal is reinterpretation of globality. Some of them skeptical about global, and some contained is intended to supplement and modify the global. Such glocal features can also be found in 'glocal culture contents'. Usually, culture contents is created in the background of culture. Therefore, culture contents of trade differ from those of manufactured goods.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e discussion about non-cultural products(manufactured goods) should be changed to cultural products. In other words, glocal and glocal culture contents concepts needs to be changed. For the transition of these perception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views of B. Wellman and G. Ritzer. These two men are presented for critical comments on existing posts to former glocal contestation. B. Wellman suggested that 'global' is the ideal communication in his theory, and 'glocal' is a transitional way. G. Ritzer pointed to the articl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lobal and local. In addition, in order to cleanup the study, I propose the concept of G. Durand's 'bassin sémantique'. Bassin sémantique is the concept of creation, prosperity, and depicts the destruction of natural phenomena insinuating. According to it, the current glocal study beginning to enter 'confluences'. It needs confrontation between the various theories.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theories is necessary. If we precise definition of research about the situation of glocal and glocal culture contents, we will be able to diagnose our cultural direction.

      • KCI등재

        Outcomes after Reirradiation for Brain Metastases

        유제상,최지훈,마선영,정태식,Yu, Jesang,Choi, Ji Hoon,Ma, Sun Young,Jeung, Taesig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5 의학물리 Vol.26 No.3

        방사선 재치료를 받은 뇌전이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결과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완화목적의 뇌 방사선치료를 받은후 방사선 재치료를 받은 23명의 환자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전뇌 방사선치료 선량의 중앙값은 30 Gy (23.4~30 Gy) 이었다. 삼차원입체치료의 선량은 하루에 3 Gy로 총 30 Gy를 분할조사하였다. 정위적 방사선수술의 선량은 16 Gy를 1회 조사하였다. 방사선 재치료에서 전뇌 방사선치료, 삼차원 입체조형 치료의 중앙값은 각각 27.5 Gy와 30 Gy 이었다. 정위적 방사선수술의 재치료 선량은 16 Gy를 1회 조사하였다. 완화목적의 뇌 방사선치료 이후 뇌전이로 인한 증상 악화를 동반하고 영상학적으로 병변 진행이 확인되는 환자에서 방사선 재치료를 시행하였다. 경과 관찰기간의 중앙값은 25개월 이었다. 증상 관해율은 47.8%였고, 증상 완화의 효과 비율은 증상 유지 환자를 포함하여 82.6% 이었다. 재치료후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2개월이었다. 방사선 재치료 이후의 중앙값은 60으로 재치료 이전의 KPS 중앙값 30에 비해 향상되었다. 뇌전이 환자에서 방사선 재치료의 증상 완화 효과는 치료이전 KPS값이 60이상(: ECOG 0~2)의 전신수행상태가 좋은 환자에서 적합한 것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outcomes in patients who underwent reirradiation for brain metastasis. Twenty-three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who were initially treated with palliative brain radiotherapy and were retreated with a second course of brain RT between June 2008 and December 2012. WBRT, 3DCRT and SRS were used for brain metastasis. The median dose of the first course of WBRT was 30 Gy (range, 23.4~30 Gy). The dose of the first course 3DCRT for lesion was 30 Gy in 3 Gy per fraction. The median dose of the first course of SRS was 16 Gy in 1 fraction (range, 12~24 Gy). The median dose of the second course of WBRT was 27.5 (range, 12~30 Gy). The median dose of the second course of 3DCRT for lesion was 30 Gy (range, 25~30 Gy). The dose of the second course of SRS was 16 Gy in 1 fraction. The second course of WBRT was administered on radiographic disease progression with symptom in all patients. With median follow-up of 25 months, overall symptom resolution rates were 47.8%. Rate of palliative efficacy was 82.6% including stable disease. The median survival time after initiation of reirradiation was 3.2 months. Median value of KPS prior to reirradiation was 30. Median value of KPS after reirradiation was 60. Reirradiation of brain metastasis maybe feasible and effective in select patients with a good performance status $KPS{\geq}60$ (: ECOG 0~2) prior to reirradiation.

      • KCI등재

        한국 전자출판 플랫폼 정립에 관한 연구

        구모니카(Gu, monika),유제상(Yu, Jae-Sang)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2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 현재 전자출판 시장은 전자책이 디지털 콘텐츠 산업분야의 핵심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예측에서 출발했다. 출판 업계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려 노력하였으나 출판 패러다임의 혁명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전자출판과 관련한 기기, 포맷, 솔루션, 플랫폼(platform) 등이 자리 잡지 못한 관계로 실제 전자책 시장에서는 아직까지 다양성이 발현된 균형 잡힌 전자책 시장이 형성되지 못하고 장르문학과 실용서, 학습물, 일부 베스트셀러로의 장르 편중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장르편중 현상이 오늘날 전자출판 업계를 형성하는 일련의 주체들이 새로운 디지털 기술 현상(플랫폼)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고 또한 전자출판 활성화를 위한 깊이 있는 성찰이 부족 했던 결과라는 문제에 주목했다. 이에 이용통계에 기반하여 전자책 중 특정 장르에 대한편중 현상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장르 편중 현상의 원인과 문제점을 ‘유통 환경 변화에 따른 플랫폼 서비스의 부각’, ‘전자출판 콘텐츠 기획의 부재’, ‘전자출판 산업에 대한 콘텐츠 생산자 즉, 작가와 출판사의 인식 부족과 그로 인한 소극적 태도’ 등의 세 가지로 진단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문제해결방안으로써 ‘전자출판의 올바른 플랫폼 구축’을 가능케 하는 네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플랫폼 운영에 관한 문제는 ‘출판사와 플랫폼 기업의 역할 구분’ 그리고 ‘올바른 플랫폼을 통한 전자책 유통질서 회복’을 통해서 해결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콘텐츠 생산자의 인식 부족, 전자책 기획과 관련된 문제점은 ‘플랫폼 내에서의 출판사 역할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새로운 관점을 지니고 전자책 기획을 함’으로써 풀 수 있다고 보았다. 이 네 가지 해결책은 전자출판 플랫폼 정립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Today, the e-publishing market has made a rapid quantitative growth. This prediction was based on e-books would become the core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Therefore, the publishing industry tried to adapt to these changes. As a result,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processes of the publishing industry value chain has changed, 'Reader' turned to the 'user'. However, despite these changes, e-books have been selling limited in e-publishing market. Especially pulp fiction and children's books are mainly sold. Korean e-publishing market was not settled the e-publishing platform. This is difficult to see a balanced market. Genre bias is the evidence for this phenomenon. This study is based on 'Genre bias problems'. First of all, to analyze the best-selling e-book genre, we were selected for the e-book platform (based on 'Repertoires Statistics'), confirmed that each of the platform genre, number of books. And we analyzed what genre is numerically dominant. So we confirmed that genre bias exists. And we propose four solutions to solve this problem.

      • 한국고전문학콘텐츠의 세계화담론에 관한 메타분석

        박치완(Tchi-wan Park),유제상(Jae-sang Yu)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6 철학과 문화 Vol.34 No.-

        비주얼 컬쳐 시대를 맞이하면서 비록 원전(原典)에 대한 관심은 과거에 비해 줄었지만 다양한 문화콘텐츠 장르에 등장하는 인물과 스토리에 모티브를 제공하는 고전문학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전문학은 문화콘텐츠의 원천서사로 자주 활용되는데, 이는 멀티미디어의 콘텐츠 수요가 급증한 것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고전문학은 콘텐츠화 과정에서 품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하고 있다. 즉, 이 과정을 통해 고전문학이 지니고 있었던 지위는 계승·발전되고 응용성은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고전문학의 세계화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국고전문학은 기본적으로 외국어로의 번역과 더불어 문화콘텐츠로의 전환 과정을 거쳐야 세계인에게 널리 알려질 수 있다. 이는 한국고전문학의 외연을 넓히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전문학콘텐츠의 세계화담론에 관한 메타분석을 시도해보았다. 하지만 결코 희망적인 전망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여전히 우리는 한국문학의 세계화가 가능한가라는 물음 앞에 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At the beginning of the era of visual culture, though there is less interested in classical literatur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motifs of characters and stories in various cultural-contents area is still recognized. Especially, the classical literature is often used for the original narration of cultural-content, its reason can be found from the sudden increase content demand from multimedia. Like this, the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restoring its originality of literature in the process to contents. In other words, through this process the status of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succeeded, developed and enlarged its applicability. The growing interest in globalization of Korean classic literature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Korean classic literature should be translated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cultural-contents so as to be known in abroad. And it is necessary conditions to expand the scop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attempted the meta-analysis about the discussion of globalization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ontents. However, it is pretty hard to expect any prospective view. Still we were called in front of the question whethe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ontents is feasible.

      • KCI등재

        문화콘텐츠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필독서 선정 방안

        박치완(Park, Tchi-Wan),유제상(Yu, Jae-Sang)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9

        문화콘텐츠학은 학문간 융복합을 특징으로 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융복합학문으로서 문화콘텐츠학은 그 외형과 세력을 아주 짧은 기간 동안 구비한 것에 비하면 아직 그 내부의 알맹이가 튼실하게 자리 잡은 상태라고 장담하기는 어렵다. 이는 문화콘텐츠학의 이론적 토대가 성긴 탓에 학문으로서의 정체성 또한 허박(虛薄)하다는 말이기도 하다. 역설적으로 말하면 학문적 체계화 및 전문화에 관한 학계의 노력이 시급하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본고에서 필독서 선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논해보았다. 주요 분석 자료는 그동안 문화콘텐츠학의 지식 생산 및 보급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학회지(『인문콘텐츠』, 『글로벌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입문 관련 도서의 참고문헌에 한정되며, 인용빈도가 높은 도서 순으로 표를 정리해 향후 최종적으로 필독서가 선정되는 과정에서 기여하게 될 ‘후보도서군’을 제안하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문화콘텐츠학이 현재처럼 ‘누구나의 학문’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특히 이를 전공하는 학부 및 대학원생을 위해 필독서의 선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독서 선정은 학습자뿐만 아니라 교수자에게도 학문의 정체성을 강화시켜주고 이론적인 공론의 장을 활성화시켜 준다는 점에서 더 이상 미뤄둘 수 없는 현안 중 현안이라 할 수 있다. Culture contents studies is characterized as convergence. Although it was in excellent shape for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still necessary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The reason is that this does not clear its root. Systematization and specialization in culture contents studies have not taken their place. Because culture contents students, researchers, government agencies and industrial workers have not made their consensus. For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culture contents stud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s identit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is study looks at the two journals(Humanities Contents, Global Culture Contents) which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ulture contents knowledge production. We analyze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and organize their references in alphabetical order. We will clean up the checking information and make a list of the required reading references. We will also see significant references for introduction of culture contents. This study makes sure that each is appropriate for teaching basic references. Finally, we will introduce the required reading references of Global Culture Contents Department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HUFS). The list is divided into specified majors. And this is in conjunction with the final exam. This study focu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rious journals. Therefore, the result will help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equired reading references and refine the target.

      • KCI등재

        방사선 치료 중인 암환자의 극복력과 삶의 질 예측모형

        전소연(Jun, So Yeun),주현정(Ju, Hyeon Jeong),유제상(Yu, Je Sang),이지현(Lee, Ji Hyun) 대한종양간호학회 2015 Asian Oncology Nursing Vol.15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with radiotheraphy. Methods: Collecting data was condu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205 cancer patients with radiation therapy in one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ted from 15th to 31st May 2015. The data analyzed by SPSS v18 and AMOS v18. Result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side-effect of treatments, social support, self esteem, depression, uncertainty and resilience are verified to be the variables having not only direct but indirec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hy. The side-effect of treatments was found to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receiving was,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indirect influence on resilience through uncertainty and self esteem, and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Conclusion: It’s necessary to come up with the approaches to develop the realistic practice guideline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hy, and to lower social support, self esteem, uncertainty in order to have higher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