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과 중국의 영화 교류 연구(1956~1966)

        유우 ( Liu¸ Yu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59 No.-

        본 논문은 1956년 북한에서 발발한 ‘8월 종파사건’을 기점으로 1966년 중국에서 문화대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이르는, 약 10년 동안 북한과 중국사이에 펼쳐진 영화 교류에 관한 역사를 다루고 있다. 북한이나 중국에서 영화는 모두 당보의 사설과 같이 호소성이 높은 예술형식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북한과 중국 간의 영화교류는 양국 정치ㆍ외교 관계의 상호 의존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는데, 예술성을 탐구하거나 상업성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정치적 소통의 의미가 컸다. 즉 영화는 국가 간 친선과 연대를 강화하는 동시에 공통적인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선전하고 선동하는 보조적 수단으로서 뚜렷한 존재감을 나타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해방부터 지속해 온 북한과 중국의 영화교류 활동은 이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1956년 북한 ‘8월 종파사건’의 발발로 인해 과거 전쟁을 거쳐 이른바 ‘피로 맺어진 혈맹’으로 접어들었던 북ㆍ중 관계가 일시적으로 냉각되면서, 정치색이 짙은 영화교류에서 이례적 중단이 찾아왔다. 이때부터 양국은 협력과 밀착은 물론, 냉각과 굴절도 함께 경험해왔다. 특히 1950년대 말부터 북한 주둔 중국인민지원군의 완전 철수, 중ㆍ소 분쟁의 시작 등 역사적 사건으로 북한과 중국은 균열과 봉합을 겪으면서 양국 간 영화교류의 전개에 있어서도 색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영화교류의 특징, 즉 수용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반제’와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두 가지 주제의 영화가 주류로 부상한다. 모든 것이 이데올로기와 체제를 뛰어넘기가 힘든 이 시기에 사회주의 리얼리즘 수법을 통한 역사의 재조명, 그리고 현실의 포착과 결부하여 당과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제고하게 만드는 것은 시종일관 중요시되어 온 영화의 대중교양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history of the movie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for approximately 10 years from the “August Incident” that debuted in North Korea in 1956 to the just before the cultural revolution began in China in 1966. In North Korea and China, all films are regarded as highly appealing art forms, such as editorials in the newspaper operated by the Communist Party. The movie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occurred in a 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the meaning of political communication was greater than exploring artistry or commercialism in both countries. The films strengthened friendship and solidarity between the nations, and at the same time, showed its influence as an auxiliary means to promote and incite common political ideology. Although the Korean War erupted in 1950, the movie exchange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continued, which had been practiced since independence. However, as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emporarily cooled which had been cold since the ‘Blood Alliance’ through the war in the past due to the outbreak of the “August Incident” in North Korea in 1956, the movie exchanges met with an unusual suspension because of the intense political differences. Since then, the two countries have experienced cooperation and close contact, as well as cooling and refraction. In particular, North Korea and China experienced cracks and sutures regarding historical events since the late 1950s such as the complete withdrawal of Chinese troops stationed in North Korea and conflicts between China and the USSR. Different aspects in the development of movi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shown.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lm exchange, that is, in terms of acceptance, movies on two themes such as “Anti-imperialism” and “Construction of the Socialist Country”, are emerging as mainstream thought. In this period when ideology and system could not be overcome, enhancing the loyalty to the Communist Party and the country, which had always been important, shows the mass culture aspect of the movie in connection with the re-illumination of history through socialist realism techniques and the capture of reality.

      • KCI등재

        특집논문 : 해방기 한중영화 교류 연구

        유우 ( Yu Liu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3

        이 논문은 해방기의 문헌자료들을 통하여 당시(제2차세계대전 이후부터 6.25전쟁 이전까지) 한국과 중국의 영화 교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해방기 한중 영화의 교류는 남한과 중국국민당 사이의 교류와 북한과 중국공산당 사이의 두 가지 축에서 이루어졌다. 남한에서 수입한 중국국민당 영화는 총 열 편이 넘었으나, 중국으로 수출한 영화는 <자유만세> 한 편밖에 없었다. 한편, 북한에서 수입한 중국공산당 영화는 <다리>를 비롯한 총 3편이었으며, 반대로 북한에서 중국으로 수출한 영화는 <내 고향> 한 편이 전부였다. 이 시기에 등장한 영화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중 사이에 교류한 영화들은 주제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갖고 있는 시대적 특징까지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중국에 수출된 <자유만세>는 중국국민당 입장에서 바라본 항일전쟁과 맥을 같이하고 있고, <내 고향>의 경우 중국공산당의 입장에서 서술한 항일전쟁과 반제국주의적 시각을 공유하고 있다. 중국에서 남한에 수출한 영화나 북한에 수출된 영화도 같은 맥락에서 살필 수 있다. 이렇듯 해방기 한중 영화 교류는 예술의 교류뿐만 아니라 정치적이거나 경제적인 요소를 공유하고, 이를 국가수립과정에서 중요한 선전물로 사용했음을 이 논문을 통해 알 수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to reveal the historical facts on exchanging movies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before the 6.25 Korean War)’ and summarize the characteristic by researching the newspapers at that time. Movies in Korea and China were exchanged in two routes during Liberation Period. Some movies were exchanged between South Korea and Nationalist Party of China, and other movies were exchanged between North Korea and Communist Party of Chin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Nationalist Party of China imported only one film from South Korea, but the South Korea imported more than ten films from the Nationalist Party of China. From my research,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lso imported only one film from North Korea, and at that time, North Korea imported three films from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By investigating movies exchanged between Korea and China, we could figure out common theme and periodic characteristics. After researching the newspapers at that time, we could find that movies exchanged between two powers shared not only artistry, but also economic purpose or political purposes. Moreover, this cultural exchange was used as proganda for establishment of nation. In this article, I will make a deep elaboration.

      • KCI등재

        영화 〈노동자의 사랑(勞工之愛情)〉 연구

        유우(Liu, Yu) 한국영화학회 2016 영화연구 Vol.0 No.69

        이 논문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중국영화인 〈노동자의 사랑(勞工之愛情)〉을 중심으로 1920년대 초반 상해영화계와 명성영화사, 그리고 〈노동자의 사랑〉의 제작 및 상영에 관한 사실들과 영화 속 자막이 보여주는 초기 명성영화사와 신문화운동과의 관련성을 살피고 있다. 중국의 유명한 영화평론가인 가령(柯靈)은 1920년대 중국영화가 1910년대 후반부터 일어난 신문화 운동과 아무 상관이 없고 장기적으로 구문화와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 본 연구자는 명성영화사에서 제작한 영화 〈노동자의 사랑〉의 자막에 보이는 문체적 측면과 영화의 내용을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가령의 주장을 비판하고 그 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신문화운동과 중국 초기 무성영화의 교섭을 살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문학혁명 발발 전후 문학계에서 일기 시작한 진실에 대한 추구와 인도주의에 대한 선양과 같은 내용이 〈노동자의 사랑〉에서도 발견됨을 알 수 있었고, 문체(자막)적으로 보았을 때 백화문혁명의 영향이 중국 초기 영화계에서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기 중국영화와 신문화운동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movie circles in Shanghai and Mingxing Film Company in the early 1920s, the facts of film product and screening, especially subtitles, based on the Chinese movie 〈Laborers’ Love〉, the oldest one which can be watched. For criticizing Ling Ke’s opinions about Chinese early movies were not associated with new cultural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910s, but i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old cultural in a long time. The author revealed the negotiation that behind the scenes between New Cultural Movement and Chinese early silent movies after by researching the content and literary form from the subtitles.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ursuit of truth and the praise of humanitarianism appeared in the Literary Revolution were be founded in the contents of the movie 〈Laborers’ Love〉. In terms of the literary form’s side, the authors revealed that in some degree Chinese early movies fell was under the influence of revolution in Vernacular Chinese. Thus it can be seen that Chinese early movie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terary Revolution.

      • KCI등재

        한국전쟁기 중국에서의 북한영화에 관한 연구

        유우 ( Liu Yu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3

        이 논문은 중국에서의 북한영화 제작과 상영에 대한 역사적 상황과 당시 등장한 북한영화들이 중국에서 불러 온 사회적 반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해방 직후 북한 영화산업은 북조선영화촬영소의 설립을 거쳐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전쟁이 발발 직후 미군의 폭격으로 평양지역은 파괴되어 예술영화제작은 더 이상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북한에서는 한국전쟁기 북한영화제작이 김일성의 지도하에 북한영화인들이 큰 어려움을 극복하고 북한지역에서 혼자의 힘으로 이루어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본 연구자는 관련 자료를 통해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고 중국동북영화제작소에서 1951년 중반부터 1953년 말까지 약 3년간 북조선영화촬영소 영화인들을 수용하여 그들에게 물질적 도움과 인적 지원으로 북한영화가 제작될 수 있게 협조했다는 숨겨진 사실을 복원하는데 주력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한국전쟁기 제작된 <소년 빨치산>을 비롯한 5편의 북한예술영화들이 중국에서 상영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한국전쟁 기간 중 중국정부는 북한의 전쟁선전영화를 상영함으로서 중국인민들에게 민족주의 강화, 국제주의 선양, 공산주의에 대한 신뢰를 강조했다. 이는 신중국 설립 직후 중국정부가 중국인의 광범위한 지지를 얻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n analysis about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film screening in North Korea and social reactions for the debut of the North Korean films which were aroused in the same period. After the liberation, the North Korean film industry was growing rapidly. However, Pyongyang was collapsed because of the airstrike of the U.S. Army right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North Korean film producing could not be continued ordinarily. Filmmakers in North Korea insist that they had achieved their filmmaking circumstances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by themselves with overcoming a lot of difficulties under the instruction of Kim Il Sung. But the author of this article devoted himself to investigate and reveal some hidden facts that the Northeast Film Studio in China accepted many filmmakers in North Korea and helped them a lot in terms of both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to make them produce their films from mid 1951 to late 1953. And this article also cover the fact that five North Korean art films which were produced in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got huge responses after screening in China. The author analyzes those social reactions for the debut of the North Korean films aroused in China and the purpose of the active screening by Chinese government in detail. In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Chinese government reinforced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communism. And they tried to inculcate it in Chinese people`s mind with screening of those North Korean films, and we can interpret it as a strategy to get extensive support from Chinese people as the government intended right after they established the New China.

      • KCI등재

        한·홍 합작영화 <이국정원(異國情鴛)>의 수용 연구

        유우 ( Liu Yu ),한상언 ( Han Sang E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8 No.-

        1950년대 한국과 홍콩의 합작 영화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최근 대표작이라 할수 있는 <이국정원(異國情鴛)>이 2011년 발굴되어 비로소 본격적인 연구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이 논문은 해방 후 처음으로 외국 영화사와 합작하여 만든 <이국정원>을 중심으로 1950년대 합작영화의 제작 배경, <이국정원>의 제작 및 상영에 관한 사실, 한국과 홍콩에서 이 영화가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폈다. 특히 한국연예주식회사와 홍콩의 소씨부자유한공사가 합작한 이 영화가 한국과 홍콩에서 어떠한 평가를 받았는지를 상호 수용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 영화는 홍콩에서 개봉 당시 한국 로케이션과 이스트먼 컬러의 활용 등이 관심을 끌었다. 반면 영화 스토리와 배우의 연기력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받았다. 또한 한국에서는 컬러멜로드라마라는 장르의 선호, 홍콩과 마카오 로케이션에 대한 호기심이 흥행의 주된 요인이었다. 그러나 영화내용상 소씨부자유한공사와 과도한 타협을 하였기에 한국영화인들은 불만을 가졌고 합작이란 해외 진출 방식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The research of the Korea-Hong Kong Collaboration movie in 1950s was insignificant. Especially, the research of the part is still in the early stage because of the film of major work < Love with an Alien > has recently been discovered.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foreign movie company collaboration movie < Love with an Alien >. It is an analysis about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collaboration movie in 1950s, the facts on the production and screening of < Love with an Alien > and the movie was how to be admitted in Korea and Hong Kong. Especially, the author will check whether peoples just focus on the box office or not and the Evaluation of this collaboration movie in Korea and Hong Kong by movie critics thought the related materials. The fact is that this movie not only drew lots of attention with Korean location and application of Eastman color, but also be criticized for the story and the acting of actors from the Hong Kong movie critics. The preference of the Korean melodrama and the curiosity of the Hong Kong and Macao location are the main cause of the box office. But Korean movie makers still had dissatisfaction with excessive compromises of film contents to Shaw Brothers and afraid of the way of overseas expansion of movie.

      • KCI등재

        중일전쟁시기 일본점령지로서 남경(南京)의 극장 연구(1937-1945)

        유우 ( Liu Yu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현대영화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일본점령지로서 중국 남경 지역의 극장을 대상으로 전쟁 시기 극장의 명칭과 소유권, 기능의 전변, 그리고 영화 상영활동의 양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남경(南京)은 근현대의 중국에서 매우 중요한 정치적 도시였다. 1916년 원세개(袁世凱) 사후 10년이 넘는 군벌 전란으로 인해 남경의 시국은 지속적으로 요동쳤으며 경제적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영화 상영활동도 거의 미개한 상황이었다. 1927년 4월에 이르러 장개석(蔣介石)을 중심으로 조직된 중화민국 국민정부(國民政府)가 남경에 성립됨에 따라, 남경은 수도로서 비로소 곤경에서 벗어나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남경에서 영화의 상영활동은 극장의 발흥과 유성영화, 특히 외화의 유입으로 새로운 모습을 찾게 되었다.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남경의 영화산업은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하지만 중일전쟁의 발발로 인해 1937년 12월 일본에 함락된 남경에서 극장들은 크게 파손되었고 영화 상영활동은 모두 일시 중단되었다. 1938년 하반기부터 남경의 극장들이 잇따라 복구됨에 따라 영화 상영활동은 점차 재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제의 전시 통재로 일본점령지 남경에서 극장과 영화문화는 전쟁과 완전히 다른 모습을 계속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바로 이 시기 이데올로기와 흥행 사이에서 영화문화가 어떻게 재편되어 갔는지 고찰하는데 주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name, ownership, function, and screening of theaters in Nanjing region of China as an occupied territory of Japan since the breakout of Sino-Japanese War in 1937. In modern China, the city of Nanjing was an important political city. Before 1927, Theaters in Nanjing were not screening any movies either caused by the Warlord Era that lasted for over 10 years. After the Nationalist Government was established by Chiang Kai-shek in April 1927, Nanjing was finally able to get out of poverty and advance forward. In addition, the movie industry in Nanjing transformed with a sudden success and sound movies, especially influx of foreign fund. The movie industry in Nanjing hit its prime by mid-1930’s just prior to the war. As the city fell by Japan in December 1937, most theaters got destroyed and all movie screenings stopped. Starting late 1938, theaters in Nanjing began to be restored and so did movie screenings. Yet, the existing film culture of Nanjing residual after the colonialism of Japa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prior to the war. This article focuses to contemplate on how the film culture reorganized between ideology and entertainment.

      • KCI등재

        중국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대한 실증연구

        유우(Yu Liu),이승윤(Sophia Seung-Yoon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2

        본 연구는 중국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맥락에서 확대되고 있는 농민공의 노동불안성정을 고용, 임금 및 사회보험 세 가지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불안정노동 특징을 실증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중국 농민공의 형성배경, 특징 및 이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불안정노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 중국 맥락에서 고용관계의 불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① 공식부문에서의 무기계약, ② 비공식부문에서의 무기계약, ③ 공식부문에서의 단기계약 등의 비전형계약, ④ 비공식부문에서의 비전형계약 및 무계약의 4가지로 불안정성의 ‘정도(degree)’를 구분하여 고용불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이어 임금의 불안정성 그리고 사회보험의 배제 측면에서도 농민공의 불안정성을 정도를 구분하여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고용관계, 임금수준 그리고 사회보험의 측면을 모두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농민공을 불안정노동집단, 다소 불안정노동집단, 다소 안정한 노동집단, 그리고 안정적인 노동집단으로 나누어 불안정성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중국노동력동태조사 2차(Chinese Laborforce Dynamics Survey, CLDS 2014)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측면에서 모두 ‘매우 불안정한’ 농민공과 ‘불안정한’ 농민공은 전체 연구대상의 93.4%를 차지하여 중국 농민공의 노동불안정성의 정도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농민공의 심각한 불안정노동에는 특히 고용불안정성이 주요 속성으로 드러났는데 90% 이상의 농민공이 도시의 비공식부문에서 비전형계약 및 무계약 형태로 일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보이는 농민공의 다차원적 불안정노동에 대한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국의 제도적 맥락에서 형성된 복잡한 고용형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며, ‘비정규직’ 또는 ‘비전형노동’만으로는 불안정노동을 설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함의를 준다. 중국 호구제의 경로의존성과 도농이원경제구조의 제도결합과 함께 형성된 농민공의 노동불안정성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중국의 제도와 불안정노동자확대의 관계에 대한 이후 연구뿐만 아니라 불안정노동의 개념에 대한 일반 논의 확장에 있어서도 함의를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anding migrant peasants (Nong-Min-Gong) in the special socio-economic context of China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in terms of employment, wage and social insurance, and to empirical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ecarious work.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migrant peasants and their various instability experiences, and systematically reviewed existing studies on precarious work. Based on this, precarious work is classified into four degrees: very unstable, somewhat unstable, somewhat stable, stable, and unstable labor using data from the Chinese Labor-force Dynamics Survey (CLDS, 2014) and was analyzed in three aspects: employment, wage, and social insur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ose too precarious in all three aspects, that is “very precarious” and “precarious” migrant peasants accounted for 93.4%, revealing that the precariousness of Chinese migrant peasants was very serious. In addition, the fact that precarious employmen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main cause of the serious precarious labor of migrant peasants, which has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on the multidimensional precariousness of the migrant peasants have implications since there is a limit to explaining precarious work only by ‘non-regular workers’ or ‘atypical laborers’ when looking at the complex employment types in China. The results can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analyze rapi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need to analyze the historical institutional pathways surrounding workers and the combination of institutions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other words,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on the path dependence of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and the combination of the urban-rural dual structure to form the precarious workers in China, represented by migrant peas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