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술, 의미, 아름다움 : 단토의 내적 아름다움을 중심으로

        유성애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시민인문학 Vol.28 No.-

        예술에서 아름다움은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해 왔다. 현대 예술에서도 아름다움은 주요한 주제다. 하지만 지금까지와는 다른 뜻에서 주요한 주제가 되었다. 현대 예술에서 아름다움은 왕좌는커녕, 입지조차 희미해진 것처럼 보이기 때문 이다. 단토의‘내적 아름다움’논구는 오늘 날 예술 경향 안에서 아름다움을 자 리매김하려는 시도이다. 이 글은 내적 아름다움의 정체와 의의를 분명히 하기 위 한 것이다. 논의 전개에서 밝히고자 하는 바는 1) 아름다움을 비롯한 감성적 특 성은 더 이상 예술의 유일한 목적과 평가 척도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예술작품의 의미가 갖는 중요성과 예술의 지성적 측면이 강조될 것이다. 2) 예술 작품의 감성적 특성은 작품의 의미와 관련 맺고 있어야 한다. 이때 단순히 예술 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과 작품의 의미를 구분하고, 예술이 세계 상관적이라는 점을 논구한다. 3) 세계 상관성 맥락에서, 예술의 아름다움에 대한 평가가 현실 에 대한 소망 관점을 전제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때 아름다움은 예술의 선택적 양태를 넘어, 주요한 삶의 가치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내적 아름다 움 논구의 의의가 아름다움의 이중적 함의를 보여주는데 있음을 분명히 한다. 하 나의 예술적 양태로서 아름다움의 입지를 모색하는 것뿐 아니라, 다양하고 개방 적인 양상을 띠는 현대 예술 활동 전반은 아름다움이라는 포괄적 가치를 지향할 때 진정으로 다원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shall shed light on Arthur Danto”s conception of ‘internal beauty’,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beauty. Beauty has been regarded as the essence of fine art since modern times. For example, both Kant and Hegel were interested in the intimate relation between fine art and beauty. However, beauty has been disappeared in contemporary disputes of art. Beauty is just one of the many modes in today’s discussion on art. In other words, it has no privileged place in art. This paper shall raise the following question: What, then, has any role of beauty in the discussion of art and how can we talk about it? To reply this question, I shall argue as what follows. 1. I shall compare Danto’s account of beauty in comparison with Kant and Hegel’s one. I shall maintain that sensible characteristics won’t fit to the essence of art. 2. I shall concentrate on Danto’s conception of internal beauty which is internal to the meaning of the work of art. It will be contended that internal beauty cannot be grasped by both the intention of the artist and free interpretations of the reader. In this respect the medium of the work of art is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internal beauty. 3. Finally, I shall show that the beauty of artistic creation is not restricted to the “sensible embodiment”but further extended to the value of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meaning, for the meanings of the work of art are always relative to the meanings of the world.

      • 노자의 「도덕경」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 : 전통적인「도덕경」해석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중심으로

        유성애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연세 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고대 중국의 위대한 철학가이자 사상가인 노자와 그의 저술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노자는 기원전 6세기 경에 중국이 배출한 위대한 사상가이자 철학가이다. 그러나 이 위대한 인물과 그의 저서에 대한 기록은 극히 제한되어 있고, 그 기록마저도 모호한 면이 많아 역대로 수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북위(北魏, 386~534년)의 최호(崔浩)로부터 시작된 이 논쟁은 수십 세기 동안 이어졌고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주제가 바로 노자는 어느 나라 사람이고, 어느 시대 사람인가? 「도덕경」의 저자는 누구이고, 그 저술 시기는 언제인가 이다. 노자와 그의 저서에 대한 논쟁과 함께 「도덕경」에 대한 해석도 수십 세기 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쟁점이 되어왔다. 「도덕경」은 그 내용이 매우 함축되어 있고 사용된 문자도 수십 세기 전에 사용했던 고대 문자이기 때문에 역대로 가장 난해한 고서로 손꼽혀왔다. 때문에 「도덕경」에 대한 해석이 수십 세기 동안 진행되어져 왔지만 완벽한 해석서나 주석서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힘들고, 연구자에 따라 그 해석도 다양하다. 그러나 노자의 대표적인 사상으로 여겨지는 몇몇 부분에 대한 해석은 대부분 일맥상통한데 그 이유는 노자의 기본 사상에 대한 틀이 학계에 은연중에 이미 확립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전통적인 해석들이 반드시 정답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전통적인 해석에 의문을 품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 본 곽세명(郭世銘)의 「노자는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가」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해석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보았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첫째 부분에서는 노자와 「도덕경」에 관한 기본 상식들을 간단히 소개하였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전통적인 「도덕경」해석에 대한 새로운 고찰과 함께 노자의 사랑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도덕경」전체에 대한 해석과 연구를 시도해보고 싶었지만 지면의 한계로 전통적으로 전해져 내려온 몇 가지 주제, 즉 도는 말할 수 없는 것인가(제1장), 노자는 정말 우민 정책을 옹호하는가(제3장), 노자는 학습을 반대하는가(제48장), 「도덕경」은 권모 술수에 관한 저서인가(제36장, 제66장)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해석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저자의 의도를 좀 더 적절하게 드러낼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보았다. 그리고 이 새로운 해석의 기초 위에서 노자의 사상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도덕경」에 대한 이런 새로운 해석이 교육자에게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자는 먼저 솔선수범 하여 질서가 잡힌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교육자가 먼저 교육 현장에서 질서가 잡힌 모습을 보여주면 교육 현장에도 질서가 잡힐 것이고 더 나아가 학생들도 그런 조화로운 환경 속에서 함께 질서를 잡아갈 것이다. 둘째, 교육자는 개인의 욕심을 버려야 한다. 지나친 교육 열의나 개인의 명예욕 등으로 나타나는 교육자의 욕심은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변화와 발전을 저해하고, 특히 교육 목표를 세울 때 너무 과도하거나 비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게 한다. 셋째, 교육자는 무위를 통해 교육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교육자가 학생들의 자아 발전에 자꾸 개입하거나 간섭하게 되면 학생들이 스스로 질서를 잡아가기 힘들어지고, 자연스러운 변화와 발전을 이루기도 힘들어진다. 넷째, 교육 현장에서의 모델링은 학생으로 하여금 교육자의 구체적인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자의 무위와 자연의 태도, 즉 도에 따라 행하는 모습을 통해 무위와 자연의 원리를 체득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자는 양면성의 관점에서 학생들을 바라봄으로서 그들에게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그런 문제로 학생들을 비난하지 말고 문제가 생기기 전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그런 모습에서 학생들의 회복 가능성을 보아야 한다. 그리고 양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자는 학생들을 조종하거나 지배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스스로 낮아지고 스스로 학생들의 뒤에 물러섬으로서 학생들로 하여금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교육자의 간섭 없이 스스로 변화와 발전을 가져오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great Chinese philosopher and scholar, Lao Tzu and his theory have a educational significance, which educator should consider. The great philosopher and scholar, Lao Tzu was born in China around 600 B.C. However, extremely limited and even vague record on his life and writing has triggered heated dispute for ages. The dispute which was ignited by Choi Ho(崔浩) from the North Wi(北魏)(386~534) has continued for many centuries, and the most disputable questions are: where did Lao Tze come from?: What era did he live in?: Who wrote Tao-Te Ching and When? Not only Lao Tzu's life and Tao-Te Ching but the interpretation on his work has been a point of issue among scholars. Being implicative and written in ancient characters used many centuries ago, Tao-Te Ching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difficult ancient books to understand. As a result, though the ancient book of wisdom has been studied for many centuries, there has been no complete commentary or translations and no consensus on the interpretations among scholars. Fortunately, the basic of Lao Tzu's theory has been spontaneously recognized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among some interpretations of the old master's main ideas. However, we cannot say all these traditionally accepted interpretations are right. Based on 「What on earth was Lao Tzu trying to say?」by Se-myeong, Gwak(郭世銘), who questioned thes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and tried to set up new one, this study points out problems of the existing explanation and suggests a novelty.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basic informations on Lao Tzu's life and his great work, Tao-Te Ching are introduced. In the second part,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old sayings in reconsidered and the importance of the old master's theory which educators should be aware of is stressed. For want of the space of this writing, the Tao-Te Ching could not be studied as a whole. Instead, this study i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some topics which has been argued for a long time: Is there a Tao which language cannot describe? (chapter 1): Does Lao Tzu really support an obscurantist policy? (chapter 3): Is Lao Tzu against learning? (chapter 48): Is the Tao-Te Ching a book about trickery? (chapter 36, 66) Focusing on these four questions, this study reveals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n the ancient Chinese text and suggests new explanation considering the master's true intention. Based on the new translation, this study also explains what the old text means to educators, which as follows: First, Educators should set the pace with harmony and order. Educators' stability will make the education environment orderly, and students will be stable in the balanced environment. Second, Educators should control their own desire. Their undue enthusiasm on education and excessive greed for honor will not only hamper students' change and development but interfere with setting up reasonable and realistic educational goal. Third, Educators should make the education balanced by non-doing(Wu-Wei). Educators' frequent intervention in students' personal development will result in weakening students' will to establish order and to develop and change themselves. Fourth, the modeling in the educational field should teach students not just to follow educators' behavior but to learn educators' non-doing and natural behavior or to learn the principle of non-doing and nature by behaving based on Tao. Fifth, Educators should have both-sided point of view on students. When students have a problem, educators shouldn't blame them for that. Instead, they should see the students' potential of recovery, thinking of their honest behavior in the previous time. They should try to be moderate avoiding to be extreme. Sixth, Educators should not govern or control students. They should lower themselves and stand behind their students to make them feel easy and reach personal development and chang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국 절강성 항주시 행정대학 공공행정학부

        유성애 ( Sheng Ai Liu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5 동서정신과학 Vol.18 No.1

        국문요약: 상담은 인간을 다루는 분야로서 상담의 중심에 서 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상담의 성격을 결정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간은 그가 처해 있는 사회와 문화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 인간을 이해하려면 그가 속해 있는 문화권을 함께 이해해야 하고 이런 인간을 다루는 상담 역시 그 문화에 부합되어야 한다. 중국의 상담은 초창기(1949~1965), 침체기(1966~1977), 소생기(1978~1986), 상승기(1987~현재) 등 네 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왔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문화와 전통이 상담에 줄곧 영향을 끼쳐왔는데 그 영향은 주로 유가, 도가 등 전통사상의 영향, 중국이라는 특수한 사회체제의 영향이다. 이 영향으로 인해 중국의 상담은 심리치료와 상담의 미분화, 상담과 사상정치교육의 결부, 지시적 상담에 대한 선호 등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중국이라는 특정사회에서 이 사회에 부합하는 본토화 상담이론을 정립하려는 노력이 상담의 발전 초기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중국 상담의 또 다른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중국 본토화 상담의 연구는 주로 중국의 사회 문화에 부합하는 상담이론 연구, 중국 전통사상에 나타난 상담원리 연구 등 두가지 면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Like any other human activity, counseling is inevitably influenced by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such influence is substantial. Throughout the four periods that counseling has undergone in China . the beginning period (1949-1965), the recession period (1966-1977), the revival period (1978-1986), and the rising period (1987 to present) . the socio-cultural influence on counseling primarily from the traditional philosophie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and the current socio-cultural context, has never ceased. It is this unique influence that has made Chinese counseling characteristic of a mixtur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 combination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nd the preference of directive counseling. Meanwhile, another feature of Chinese counseling, emerging at the beginning period, is the localized study of counseling, which mainly focuses on the areas: developing counseling theory of Chinese characteristics based upon the Chinese socio-cultural context, and applying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into counseling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교실수업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의 개발 및 활용 모형: 학습대화 설계 중심

        김혜정(Hye Jeong Kim),유성애(Sungae Yoo),김은영(Eun-young Kim)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atbot design and development model that promotes teachers’ utilization of AI chatbots during instruction. Due to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our natural languages, AI chatbots can assist students’ learning on various subject topics through the conversations that they have with students. More importantly, AI chatbots can adapt their conversations to the learning needs of students. In spite of such potential benefits of AI chatbots, use of chatbots in Korean schools is rare. To promote use of chatbots by teachers across all disciplines, it is first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general guidelines on how to plan and build a AI chatbot. The proposed model in this study provides such guidelines, from planning to creating dialogues, for building chatbots as assistive learning tools for students. The strength of this model is in its ability to tailor instructional feedback to the needs of the students, varying instructional dialogues in accordance to the students’ knowledge level. The key steps of the model include Preparation (analyses of students’ knowledge level and subject content), Learning-Conversation Design, Development, Testing, and Application. The resulting model is intended to provide a pedagogical and technical guideline for teachers AI chatbot design and development for their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