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굴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Ⅱ) : 참굴의 산지별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yster , Crassostrea gigas

        유성규,유명숙 한국수산학회 197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6 No.1,2

        1972년 5월과 10월에 서해안의 대천과 부안, 남해 안의 남성, 차면, 이명 및 추봉 그리고 동해 안의 포항의 각양식장에서 양식하고 있는 참굴을 각각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안측 굴은 소형이고, 동해안측으로 갈수록 대형이었고, 또 간석지산 굴은 대체로 소형이었으나 수심이 깊은데 것은 대형이었다. 2. 추봉산과 포항산은 長型굴에 속하나, 부안, 남성, 이명 및 차면산은 서로 거의 유사한 短型굴에 속한다. 3. 수심이 다 같이 깊은 곳에서 살던 것이라 하더라도 수하 양식굴인 추봉산은 바닥 양식굴인 포항산보다도 껍데기가 가벼웠다. 4. 각고에 대한 각장은 산지에 따라 변이가 아주 심해서 각 산지별 상호간에 모두 유의의 차가 있었다 5. 껍데기 무게에 대한 살무게인 비만은 10월보다 5월이 좋았고, 산지 별로는 추봉산이 좋았고 포항산은 나빴다. 그리고 추봉산은 5월과 10월의 차이가 적었지만 포항, 차면, 이명 및 부안산은 비교적 그 차이가 크다. 6. 살무게에 대한 건조살무게의 경사값은 10월보다 5월이 크고 산지 별로는 추봉, 포항 및 대천산이 크며, 이명, 차면 및 남성산이 작다. 즉, 수분 함량은 5월보다 10월이 많았고, 산지 별로는 이명, 차면 및 남성산이 많았고, 추봉, 포항 및 대천산이 적었다.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 Korean Oyster, Crassostrea gigas, were studied on the basis of the oyster samples collected from seven ecologically different areas in May and October of 1972 respectively. The sampling areas were Daecheon and Buan in the west coast, Namseong, Chamyeon, Imyeong and Chubong in the south coast and Pohang in the east coast. The average sizes of the oysters of the west coast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south coast as well as those of the east coast. The oysters of the east were largest in size. The oysters from subtidal habitats (Chubong and Pohang) had elongated shells and those from intertidal habitats (Buan, Namseong, Imyeong and Chamyeon) had stanted shells. The samples from subtidal habitats showed size variations depending on cultural methods applied. The oysters from Chubong reared by hanging method had their shells as compared to those from Pohang reared by bottom culture method. The ratio of shell height to shell length showed a great variation froms areas to area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atness (meat weight / shell weight) of all the samples collected in October revealed higher value than those collected in May. The oysters from Chubong showed maximum fatness, and those of Pohang showed minimum fatness. Seasonal variations in fatness was not significant in Chubong. On the other hand, it was relatively significant in the oysters from Pohang, Chamyeon, Imyeong and Buan. Water content of the oyster meat was greater in October than in May. It also showed variations in the sampling areas with higher values in the oyster from Imyeong and Chamyeon than those from Chubong, Pohang and Daecheon.

      • KCI등재

        참굴의 산란기와 종굴 생산에 관한 연구

        유성규,유명숙 한국수산학회 197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 No.2

        1971년 3월∼10월까지의 사이에 남해, 통영 및 창원 연안산 참굴을 대상으로 하여 난소의 알의 크기, 부유 유생 및 부착 치패의 출현량 등에 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란 성기는 6월 상순∼7월 중순까지와 7월 중순∼9월 상순 사이였다. 2. 초기 부유 유생이 출현한 다음, 이들이 부착할 때까지의 기간은 수은 19∼20°에서는 약 3주일 이상, 수온 23℃에서는 약 2주일, 수온 27∼28℃에서는 약 10일이 각각 소요되었다. 3. 치패의 부착 성기는 간석지인 경우 6월 중순과 7월 상순이었고, 수심이 깊은 내만에서는 9월 상순이었다. 4. 통영 연안에서는 단련상의 노출 시간이 5시간 반 이상(12시간 주기)이 알맞다.

      • KCI등재

        반도체의 분광학

        유성규,추장희,김동호,박승한,이종현 한국광학회 1995 한국광학회지 Vol.6 No.1

        반도체 양자구조에 대한 광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정상상태에서의 흡수 스펙트럼과 광여기 발광측정을 통하여 양자구속효과 등의 선형 광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반도체 양자 구조를 이용한 광소자 개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반도체의 비선형 광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비선형성을 일으키는 쿨롱 스크리닝, 띠채움, 밴드갭 재규격화, 그리고 열효과 등에 대해 알아 보았다. 그리고 광여기에 의해 생성되는 운반자들의 동력학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운반자들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측정하는 degenerate four-wave mixing과 differential transmission spectroscopy등의 시간 분해 분광학에 대해 소개하였다.

      • KCI등재

        굴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Ⅲ) : 한산·거제만내 양식장별 굴의 성장비교와 부착밀도에 따른 패각의 상대성장 Oyster Growth Comparison between 4 Farms in Hansan - Geoje Bay and Density - dependent Relative Shell Growth .

        유성규,박경양 한국수산학회 198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3 No.4

        1979년 11월부터 1980년 5월까지 한산·거제만 내의 화도, 송도, 소랑 및 추봉양성장에서 양성하고 있는 굴에 대한 패각의 성장, 육중의 증가, 각중에 대한 육중의 비 그리고 부착기당 부착밀도에 따른 패각의 상대성장에 대해 조사하였다. 각고의 성장은 소랑산 굴이 가장 좋아 5월에 10.10㎝였고 다른 세지역보다 늦게 수하한 추봉산은 4월과 5월 사이에 급성장하여 5월에는 8.65㎝로 성장하여 화도(8.69㎝) 및 송도산(8.57㎝) 굴과 거의 같은 크기가 되었다. 소랑산 굴의 육중은 2월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월 이후 5월까지 급성장 하였으며 화도 및 송도산은 12월과 2월, 4월과 5월 사이에 육중의 증가가 많았으며, 늦게 수하한 추봉산은 12월부터 육중의 증가가 서서히 빨라지기 시작하여 4월과 5월 사이에는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육중량은 다른 지역의 것보다 적었다. 각중에 대한 육중비는 화도, 추봉 및 송도산의 증가 경향이 비슷하여 12월 이후 차차 증가하지만 소랑산의 경우는 2월까지 그 비가 감소하다가 2월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굴 부착기당 부착 밀도별 각고에 대한 각장의 성장비(각형)는 부착개채수가 13개 이하에서는 0.60이상으로 단형이지만 25개체까지는 0.56이었고, 28개체 이상에서는 0.51 이하로 그 비가 현저히 감소하여 장형으로 되었다. Growth rates of oysters at four oyster farms in Hansan-Geoje Bay, near Chungmu, southern Korea, and density-dependent relative shell growth were investigated from November 1979 to May 1980 with the following results: The oysters at Sorang farm showed the best growth, the shell height in May 1930 attaining 10.100㎝, at Hwado 8.69㎝ and Songdo 8.57㎝, all of which started growing in June 1979. At Chubong the oysters which started growing in July attained 8.65㎝. The best grown oysters at Sorang showed relatively slow growth in meat weight until February 1980, and then showed rapid growth upto May. At Hwado and Songdo they grew fast from December 1979 to February 1980, and from April to May 1980. Those at Chubong gradually increased growth rate from December 1979, and in April and May they showed rapid growth but still being smaller than the others. The ratio of meat weight to shell weight increased at Whado, Songdo and Chubong after December 1979, but at Sorang it increased rapidly after February 1980. The ratio of shell length to shell height was 0.60 and up when the individual number of oysters attached to each cultch-disc(oyster shell) was less than 13, 0.56 to 0.60 when 14 to 25, and 0.51 or less when over 28,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양식 가리비의 성장

        유성규,박경양,류호영 한국수산학회 198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4 No.4

        迎日灣에서 1980年 4月과, 1981년 4月 및 5月에 探苗하여 1981年 7月까지 養成한 結果와 1979年 11月에 自然産을 收集하여 1981年 7月까지 養成한 것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姜殖 가리비는 採苗後 約 1年 3個月 後에 殼長이 約 6 ㎝, 2年 後에 9.3 ㎝, 2年 7個月후에 10 ㎝, 約 3年 2個月 後에 11.2 ㎝, 約 3年 7個月 後에 11.3㎝로 성장하였다. 2. 4月에 探苗한 것이 5月에 探苗한 것에 比해 殼長의 크기가 7月 中旬까지 약 2倍 程度 더 컸다. 3. 9月 初에 中間 育成網에 옮겨 養成한 稚貝가 探苗綱에서 管理를 하지 않고 養成한 것에 비해 成長이 훨씬 良好하였다. 4. 稚貝부터 垂下式으로 養成하는 것이 바닥에서 養成한 것이나, 自然産을 收集하여 垂下養成한 가리비에 비해 약 1年 以上 成長이 빨랐다. 5. 가리비 成貝의 貝殼筋 重量은 殼長이 커짐에 따라 增加하는 傾向이었는데 15 g(殼長 60∼70㎜)에서 94.13 g(殼長 130∼140 ㎜)의 값을 보였다. The seedlings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which were collected in April 1980, April 1981 and May 1981, and the grown-up scallops collected in the sea bottom in November 1979, were reared by hanging method up to the July 1981. The growth of the seedlings collected in April 1980 was greatly affected by the time of the seedling collection, manipulation of the net cage, density in the net case and the annual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 The scallops reared from the spat collected in April 1980 reached the sizes of 0.33 ㎜, 1.23 ㎜, 29.34 ㎜ and 59.59 ㎜ in shell length in 40,75, 285 and 450 days respectively. Since then, growth rate was determined as follows based on the age estimated by the year rings on the shell:84.96 ㎜ in 19 months, 99.3 ㎜ in 31, 112.3 ㎜ in 37 and 113.64 ㎜ in 43 months. The meat and the adductor muscle weight increased with the shell length. The meat weight reached about 15 g when the shell length was 60-70 ㎜ and about 94.13 g when 130-140 ㎜, and the adductor muscle weight reached about 4.89 g when the shell length was 60-70 ㎜ and about 39.59 g when 120-130 ㎜. But the growths of the meat and the adductor muscle weight were in stagnancy after scallops reached 125 ㎜ in shell l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